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효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588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How early childhood educators affect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their perception toward the rights of the child : focusing on empathy as a mediating effect

      • 형태사항

        iii, 69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주리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632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교사의 공감 능력의 관계는 상관이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인천,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8명이었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UN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해서 Hart & Zeider(1993)가 연구 개발한 척도를 기초로 하여 윤진희(2006)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사회 유능감 평가도구’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교사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Davis(1980)의 대인관계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 IRI)를 박성희(1980)가 번안하고 황인호(2010)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이 서로 간의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교사의 공감능력을 통하여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유아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지각함과 동시에 유아교사가 관점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관심, 개인적고통이 충족되며,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공감능력의 충족은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공감에 해당하는,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는 완전매개를 하였고, 정서적 공감에 해당하는, 공감적관심과 개인적고통에는 부분 매개를 나타냈다. 이는 유아교사이 아동인권인식이 교사의 공감능력을 통하여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y ability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Based on the scale researched and developed by Hart & Zeider (1993) based on the U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human rights, Jinhee Yoon (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criteria us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measuring tool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t was measured using the ‘Teacher’s Social Competency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Hyewon Lee (2005).
      In order to examine the empathy ability of teachers, Davis (1980)'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was used as a questionnaire adapted by Park Seong-hee (1980)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wang In-ho (2010).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describ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y ability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t has a fully mediating e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ffec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 teacher's empathy ability. Appropriate interest and personal suffering are satisfied, a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fulfillment of empathy have an effect on forming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factor of empathy ability, taking a viewpoint and imagining, corresponding to cognitive empathy, were fully mediated, and empathic interest and personal pain, corresponding to emotional empathy, were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ffec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rough teachers' empathy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1) 아동인권인식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1) 아동인권인식 7
      • 2)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7
      • 3) 공감능력 8
      • Ⅱ. 이론적 배경 9
      • 1. 아동인권인식 9
      • 2.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11
      • 3. 공감 13
      • 1) 공감의 개념 13
      • 2) 공감의 의의 14
      • 4.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의 연관성 17
      • 1)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17
      • 2)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교사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19
      • 3)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22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연구도구 25
      • 3. 연구절차 29
      • 4. 자료처리 및 분석 29
      • Ⅳ. 연구결과 31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1
      • 2.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 33
      • 3.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상관관계 36
      • 4.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39
      • Ⅴ. 결론 및 제언 47
      • 1. 논의 및 결론 47
      • 2. 제한점 및 제언 51
      • 참고문헌 52
      • <부 록> 57
      • 국문초록 65
      • ABSTRACT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