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松菊里 54地區 高床建物의 形式 推論 (Ⅰ) = Tentative Structural Reconstruction of a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at Songguk-ri Site (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7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asoning of structure of the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unearthed at District No. 54 at Songguk-ri residential site in 2008. After defining the nature of the elevated building, we thought over function and effectiveness of availa...

      This study is a reasoning of structure of the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unearthed at District No. 54 at Songguk-ri residential site in 2008. After defining the nature of the elevated building, we thought over function and effectiveness of available woodworking tools, mostly lithic implements, and potential woodworking capability of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unearthed artifacts from the site. Based on the available woodworking tools and technology, the detail of joint was reasoned. Finally the whol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elevated building was reasoned with applying the joint.
      Considering available archaeological data and a variety of circumstances, following architectural technologies may have been available in the middle Bronze Age when Songguk-ri population constructed the lifted floor buildings.
      · Cutting a log at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ber · Smoothly trimming end pieces · Making grooves at the end pieces · Appropriately seasoning wood before using · Making a log to a wood panel · Using cords for maintain stiffness of the joint · Using earth and twigs

      While it is still uncertain, on the other hand, the Songguk-ri people might not have more advanced woodworking technologies such as making a deep sharp groove with a right angle on a timber and making a penetrated hole on a timber. Based on the reasoning, joint type of the elevated building is divided into a Weak joint Type and a Strong joint Type to the level of woodworking technology. While the weak joint type with low-level woodworking technology might inevitably need cords to maintain stiffness of the joint, the strong joint type with more advanced woodworking technology might maintain the stiffness without help of cords.
      Because the degree of stiffness of the joint may influence building size, kind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connecting method, connecting methods of each joint type are considered to be the first premise. In addition, a possibility of floor extension outside column-lines is consider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otential (but not all) variables, 3 connecting methods of weak type and 2 connecting methods of strong type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부여 송국리 유적 제 54지구에서 확인된 굴립주 건물 (또는 고상건물)의 구조 복원을 시도하였다. 먼저 54지구에서 확인된 고상건물(지)의 성격을 규정하였고, 발굴된 도구의 기능...

      본고에서는 부여 송국리 유적 제 54지구에서 확인된 굴립주 건물 (또는 고상건물)의 구조 복원을 시도하였다. 먼저 54지구에서 확인된 고상건물(지)의 성격을 규정하였고, 발굴된 도구의 기능 및 효율성과 당시의 건축 부재 가공 기술에 대한 추론을 근거로 접합부의 제 측면들을 추정하였다. 또 추정된 접합부를 적용하여 송국리 54지구 고상건물의 건축형식을 추정하였다.
      출토된 석기들과 당시의 제반 양상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 고상건물을 축조하고 사용했던 당시 송국리 주민들이 활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기술로는 목재를 섬유 직각방향으로 자르는 것, 잘려진 마구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는 것, 마구리 부분에 홈을 내는 것, 목재를 적당히 건조해서 사용하는 것, 판재를 가공하는 것, 접합부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끈을 사용하는 것과 흙과 잔가지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겠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당시의 목재 가공도구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목재에 직각의 깊은 홈을 내거나 목재를 관통하는 홈을 가공하는 수준의 건축기술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추론을 근거로, 목재 가공능력의 수준에 따라 접합부 형식을 약한 접합부와 강한 접합부로 구분하였다.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낮은 수준으로 보고 접합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끈이 필요했다는 가정 하에서 ‘약한 접합부’가 설정되었으며,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보다 높게 보고 끈 없이 접합부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강한 접합부’가 설정되었다.
      가구법의 추론은 가구 형식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인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접합부의 튼튼함의 정도에 따라 고상건물의 규모, 부재의 종류, 가구법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약한 접합부’로 구성된 가구법과 ‘강한 접합부’로 구성된 가구법이 존재할 수 있었다는 측면을 가장 상위의 전제조건으로 설정하였고, 다음으로 기둥선 외곽으로 평면을 확장했을 가능성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3가지 형식의 ‘약한 접합부’ 적용 가구법과 2가지 형식의 ‘강한 접합부’ 적용 가구법을 제시하였고, 각 가구법에 적용되는 중요 접합부 형식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경, "한국 고대 목조건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0

      2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3 이홍종, "송국리형취락의 공간배치" 호서고고학회 (17집) : 114-133, 2007

      4 김지태, "송국리형 주거지의 연구" 동아대학교 1999

      5 신상효, "송국리형 주거지의 복원적 고찰" 4 : 1996

      6 김재호, "송국리형 주거지의 구조와 분포권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7 이종철,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한 연구" 호남고고학회 12 : 2000

      8 안재호, "송국리유형의 검토" 11 : 1992

      9 김도경, "考古遺物로 본 先史時代 建築道具" 14 (14): 211-229, 2005

      10 河姆渡遺址考古隊, "浙江河姆渡遺址第2期發掘的主要收擭" (5) : 1980

      1 김도경, "한국 고대 목조건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0

      2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3 이홍종, "송국리형취락의 공간배치" 호서고고학회 (17집) : 114-133, 2007

      4 김지태, "송국리형 주거지의 연구" 동아대학교 1999

      5 신상효, "송국리형 주거지의 복원적 고찰" 4 : 1996

      6 김재호, "송국리형 주거지의 구조와 분포권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7 이종철,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한 연구" 호남고고학회 12 : 2000

      8 안재호, "송국리유형의 검토" 11 : 1992

      9 김도경, "考古遺物로 본 先史時代 建築道具" 14 (14): 211-229, 2005

      10 河姆渡遺址考古隊, "浙江河姆渡遺址第2期發掘的主要收擭" (5) : 1980

      11 이종철, "松菊里型 住居址의 構造變化에 대한 試論" 호남고고학회 16 : 25-52, 2002

      12 國立扶餘博物館, "松菊里Ⅵ" 國立扶餘博物館 2000

      13 金吉植, "松菊里Ⅴ" 國立公州博物館 1993

      14 姜仁求, "松菊里Ⅰ" 國立中央博物館 1979

      15 權五榮, "松菊里 Ⅳ" 國立中央博物館 1991

      16 國立中央博物館, "松菊里 Ⅲ" 國立中央博物館 1987

      17 지건길, "松菊里 Ⅱ" 國立中央博物館 1986

      18 이병건, "日本의 高床式 建築에 關한 硏究" 12 (12): 2003

      19 金永培, "扶餘 松菊里 遼寧式銅劍出土 石棺墓" 7 : 7-29, 1975

      20 배덕환, "先史ㆍ古代의 地上式建物" 東亞文化硏究院 1 : 3-41, 2005

      21 李昌浩, "中西部地域 靑銅器時代 貯藏施設의 硏究" 공주대학교 2004

      22 萧默, "中國建築藝術史. in : 中國建築藝術史" 文物出版社 1999

      23 梁金石, "中國建築槪說. in : 中國建築史" 태림문화사 2003

      24 김경택, "「부여 송국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008 호서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69-8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59 0.81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