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들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10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Computer of the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an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October, 2003. 5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539 out of them has been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toward computer among the respondents is positive(Mean=2.8 out of 4.0). Among sub categories of Computer Attitude Scale, particularly usefulness is the most positive attitude(3.0 out of 4.0), the least one is confidence(2.7 out of 4.0). 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elderly, on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 with no computer education. The attitude of th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3)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computer are age, living with unmarried adult children among socioeconomic variances, use of computer and exposure to computer related information out of computer environmental variances,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having computer training out of computer educational variances. These variables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an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an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October, 2003. 5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539 out of them has been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toward computer among the respondents is positive(Mean=2.8 out of 4.0). Among sub categories of Computer Attitude Scale, particularly usefulness is the most positive attitude(3.0 out of 4.0), the least one is confidence(2.7 out of 4.0). 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elderly, on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 with no computer education. The attitude of th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3)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computer are age, living with unmarried adult children among socioeconomic variances, use of computer and exposure to computer related information out of computer environmental variances,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having computer training out of computer educational variances. These variables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세대들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사회변화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는 실정이다. 핵가족화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가족과 별거해서 지내는 노인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또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그렇지 않아도 정보에 어두운 노인들에게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화사회의 등장에 따른 정보화격차는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벌어지고 있다.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정보화격차를 해소하고 새로운 사회변화에 노인층이 보다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 보다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목적의식 아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컴퓨터태도 차이를 분석하고,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한 설문조사가 2003년 10월 한 달 동안 서울시내 10곳의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거된 590개의 설문지 중 엄격한 검토를 거쳐 53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응답자들의 컴퓨터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점 척도, 평균 2.8). 하위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유용성에서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고, 자신감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컴퓨터교육을 받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태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변인으로서는 연령과 미혼자녀와의 동거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컴퓨터환경변인으로는 컴퓨터소유여부보다는 컴퓨터 이용여부가 컴퓨터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컴퓨터관련 정보에의 노출 정도 또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 교육변인으로는 현재 수강하고 있는 컴퓨터교육수준보다는 이전 컴퓨터 교육 수강 경험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고립을 예방하고, 노인세대간 또는 다른 세대들과의 연결망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화격차 해소, 노인컴퓨터 교육의 대중화 및 컴퓨터 교육의 질적인 향상, 정보화사회에서의 친(親)노인적 환경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번역하기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세대들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사회변화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는 실정이다. 핵가족화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가족과 별거해서 지내는 노인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세대들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사회변화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는 실정이다. 핵가족화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가족과 별거해서 지내는 노인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또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그렇지 않아도 정보에 어두운 노인들에게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화사회의 등장에 따른 정보화격차는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벌어지고 있다.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정보화격차를 해소하고 새로운 사회변화에 노인층이 보다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 보다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목적의식 아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컴퓨터태도 차이를 분석하고,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한 설문조사가 2003년 10월 한 달 동안 서울시내 10곳의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거된 590개의 설문지 중 엄격한 검토를 거쳐 53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응답자들의 컴퓨터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점 척도, 평균 2.8). 하위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유용성에서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고, 자신감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컴퓨터교육을 받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태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변인으로서는 연령과 미혼자녀와의 동거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컴퓨터환경변인으로는 컴퓨터소유여부보다는 컴퓨터 이용여부가 컴퓨터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컴퓨터관련 정보에의 노출 정도 또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 교육변인으로는 현재 수강하고 있는 컴퓨터교육수준보다는 이전 컴퓨터 교육 수강 경험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고립을 예방하고, 노인세대간 또는 다른 세대들과의 연결망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화격차 해소, 노인컴퓨터 교육의 대중화 및 컴퓨터 교육의 질적인 향상, 정보화사회에서의 친(親)노인적 환경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숙, "컴퓨터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연구" 1992

      2 정광선, "컴퓨터 학습환경이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1994

      3 한국전산원, "취약계층의 컨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전산원 2001

      4 오치선, "청소년의 컴퓨터 불안에 관한 연구" 2 (2): 15-34, 1997

      5 조아미, "청소년의 컴퓨터 경험에 따른 컴퓨터 불안과 컴퓨터 태도" 9 (9): 17-41, 1998

      6 양재선, "정보화교육에 참여한 노인의 컴퓨터 태도에 관한 연구" 2000

      7 김영석,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출판 1997

      8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4 : 7-29, 2000

      9 박숙경, "국민학교 고학년 아동의 PC 태도연구" 1993

      10 Gardner, "The measurement of computer attitudes An empirical comparison of available scal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87-507, 1993

      1 김진숙, "컴퓨터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연구" 1992

      2 정광선, "컴퓨터 학습환경이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1994

      3 한국전산원, "취약계층의 컨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전산원 2001

      4 오치선, "청소년의 컴퓨터 불안에 관한 연구" 2 (2): 15-34, 1997

      5 조아미, "청소년의 컴퓨터 경험에 따른 컴퓨터 불안과 컴퓨터 태도" 9 (9): 17-41, 1998

      6 양재선, "정보화교육에 참여한 노인의 컴퓨터 태도에 관한 연구" 2000

      7 김영석,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출판 1997

      8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4 : 7-29, 2000

      9 박숙경, "국민학교 고학년 아동의 PC 태도연구" 1993

      10 Gardner, "The measurement of computer attitudes An empirical comparison of available scal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87-507, 1993

      11 Loyd, "The effects of sex and computer Experience on computer attitud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the Ea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84

      12 Cody, M. J.,, "Siver surfers: Training and evaluation internet use among older adults learners" 48 (48): 269-287, 1999

      13 Erickson, "Sex difference in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puters University of Califor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87

      14 Irizarry, C.,, "Promoting modern technology and internet access for under-represented older populations" 19 (19): 13-30, 2002

      15 Adler, R. P, "Older adults and computer: Report of National Survey" 1996

      16 Ellis, R. D.,, "Modeling computer interest in older adult: The role of age, education, computer knowledge and computer anxiety" 41 (41): 345-, 1999

      17 Sherer,M, "Introducing computers to frail residents of homes for the aged" 23 (23): 345-358, 1997

      18 Colley, "Effects of gender role identity and experience on computer attitude component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29-137, 1994

      19 Thompson, M, "Computer technology: How it impacts the lives of older adults" 23 (23): 85-91, 1996

      20 Nash, J. B.,, "An examination of the factor structures of the computer attitude scale" The University of Texas at El Paso 1997

      21 Koohang,A.A, "A study of the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the use of computers" 35 : 145-149, 1987

      22 통계청, "2003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