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일 의존명사 구성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Bound Noun Construction in Korean and Japane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4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its counterpart in the Japanese language in order to determine how similar they are to one another. We then analyze typic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in the two languag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Despite the fact that Korean and Japanese share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possibly lead to errors. This is also the case when teaching the Korean bound nouns and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that consist of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nd examine their differenc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eaching plan.
      In the study we selected 29 bound noun construction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n used corpus data on the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natural language use in daily life in order to contrast them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For the contrast, we divided the constructions into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and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and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corresponding Japanese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apanese native speakers may find learning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easy on the one hand, and also face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its counterpart in the Japanese language in order to determine how similar they are to one another. We then analyze typical characteristics, similar...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its counterpart in the Japanese language in order to determine how similar they are to one another. We then analyze typic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in the two languag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Despite the fact that Korean and Japanese share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possibly lead to errors. This is also the case when teaching the Korean bound nouns and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that consist of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nd examine their differenc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eaching plan.
      In the study we selected 29 bound noun construction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n used corpus data on the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natural language use in daily life in order to contrast them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For the contrast, we divided the constructions into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and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and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corresponding Japanese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apanese native speakers may find learning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easy on the one hand, and also face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의존명사 구성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서로 유사성이 높은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두 언어의 형태 또는 의미적인 차이로 인해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한국어의 의존명사 및 의존명사 구성을 교수할 때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요소+의존명사+후행 요소’의 구조로 이루어진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육 방안을 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빈도 높게 제시된 29개의 의존명사 구성을 선별하여 한국어 및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통해 대조하였다. 대조 방법은 ‘선행 요소+의존명사’와 ‘의존명사+후행 요소’로 분리한 후 이와 대응을 이루는 일본어 표현을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을 학습할 때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것과, 반대로 습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내용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일본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울 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의존명사 구성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의존명사 구성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서로 유사성이 높은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두 언어의 형태 또는 의미적인 차이로 인해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한국어의 의존명사 및 의존명사 구성을 교수할 때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요소+의존명사+후행 요소’의 구조로 이루어진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육 방안을 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빈도 높게 제시된 29개의 의존명사 구성을 선별하여 한국어 및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통해 대조하였다. 대조 방법은 ‘선행 요소+의존명사’와 ‘의존명사+후행 요소’로 분리한 후 이와 대응을 이루는 일본어 표현을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을 학습할 때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것과, 반대로 습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내용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일본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울 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3
      • 1.2.1 국어학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연구 3
      • 1.2.2 언어권별 의존명사의 대조 연구 6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3
      • 1.2.1 국어학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연구 3
      • 1.2.2 언어권별 의존명사의 대조 연구 6
      • 1.3 연구 대상 및 방법 8
      • 2. 이론적 배경 11
      • 2.1 대조 분석 11
      • 2.2 말뭉치 언어학 13
      • 2.2.1 말뭉치의 정의 및 종류 13
      • 2.2.2 말뭉치를 활용한 의존명사 구성 연구의 의의 15
      • 3. 의존명사 구성의 항목 선정 및 대조 16
      • 3.1 의존명사의 정의와 범위 16
      • 3.2 의존명사 및 의존명사 구성의 분류 19
      • 3.2.1 의존명사의 분류 19
      • 3.2.2 의존명사 구성의 분류 22
      • 3.2.2.1 의존명사 구성에서의 선행 요소 22
      • 3.2.2.2 의존명사 구성에서의 후행 요소 23
      • 3.3 의존명사 구성의 항목 선정 기준 26
      • 3.4 의존명사 구성의 대조 32
      • 3.4.1 일본어 말뭉치 및 분석 방법 32
      • 3.4.2 한일 ‘선행 요소+의존명사’의 대조 방법 34
      • 3.4.3 한일 ‘의존명사+후행 요소’의 대조 방법 35
      • 4. 한일 의존명사 구성의 선행 요소 대조 분석 38
      • 4.1 체언이 선행하는 한일 의존명사 구성 38
      • 4.1.1 체언이 선행하는 일치 유형 39
      • 4.1.2 체언이 선행하는 불일치 유형 40
      • 4.1.2.1 격조사 ‘의’의 생략 40
      • 4.1.2.2 의존명사의 생략 44
      • 4.1.2.3 의존명사의 불일치 44
      • 4.2 용언이 선행하는 한일 의존명사 구성 46
      • 4.2.1 용언이 선행하는 일치 유형 46
      • 4.2.1.1 동사가 선행하는 일치 유형 47
      • 4.2.1.2 형용사가 선행하는 일치 유형 66
      • 4.2.1.3 ‘이다’가 선행하는 일치 유형 74
      • 4.2.2 용언이 선행하는 불일치 유형 75
      • 4.2.2.1 의존명사의 불일치 75
      • 4.2.2.2 품사의 불일치 81
      • 4.2.2.3 관형사형 어미의 불일치 85
      • 5. 한일 의존명사 구성의 후행 요소 대조 분석 89
      • 5.1 연결형 의존명사 구성의 한일 대조 89
      • 5.1.1 연결형 의존명사 구성이 일치하는 유형 91
      • 5.1.1.1 조사 결합 불가형(∅)+조사 결합 불가형(∅) 91
      • 5.1.1.2 조사 결합형+조사 결합 불가형(∅) 92
      • 5.1.2 연결형 의존명사 구성이 불일치하는 유형 93
      • 5.1.2.1 조사 결합 불가형(∅)+조사 결합 불가형(∅) 93
      • 5.1.2.2 조사 결합형+조사 결합 불가형(∅) 94
      • 5.1.2.3 조사 결합 불가형(∅)+용언+어미 97
      • 5.2 종결형 의존명사 구성의 한일 대조 99
      • 5.2.1 종결형 의존명사 구성이 일치하는 유형 100
      • 5.2.1.1 조사 결합 불가형(∅)+용언 100
      • 5.2.1.2 조사 결합형+용언 103
      • 5.2.2 종결형 의존명사 구성이 불일치하는 유형 103
      • 5.2.2.1 조사 결합 불가형(∅)+용언 103
      • 5.2.2.2 조사 결합형+용언 105
      • 6. 결론 및 제언 108
      • 참고문헌 115
      • 영문초록 120
      • 국문초록 1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