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망매가는〈삼국유사〉권5 감통제7 〈월명사 도솔가〉조에 도솔가와 연문으로 기재된 노래이다. 향가중에서도 제망매가는 시적기교에 성공하고 종교적으로 높은 시의 경지를 보여주는 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제망매가는〈삼국유사〉권5 감통제7 〈월명사 도솔가〉조에 도솔가와 연문으로 기재된 노래이다. 향가중에서도 제망매가는 시적기교에 성공하고 종교적으로 높은 시의 경지를 보여주는 작...
제망매가는〈삼국유사〉권5 감통제7 〈월명사 도솔가〉조에 도솔가와 연문으로 기재된 노래이다. 향가중에서도 제망매가는 시적기교에 성공하고 종교적으로 높은 시의 경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며, 이에 따라 ‘眞率한 心理表現’, ‘一般 抒情詩’,‘純粹抒情詩’로 文學性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작품이다. 이 노래는 월명이 누이동생의 죽음을 안타깝게 여겨 부른 애도의 정이 담겨져 있다. 월명은 죽은 누이동생을 위해 재를 올릴 때 제맹매가를 부르자 갑자기 바람이 불어 서쪽으로 紙錢을 날려 보냈다는 것이다. 이것은 노래의 내용에 주력이 남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전은 월명의 누이가 미타세계를 가는데 소용되는 노자이다. 지전이 서쪽으로 날아간 것으로 보아 누이동생은 극락왕생하였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월명의 도력이 워낙 영험한데서 서쪽으로 지전이 날아가게 된다. 일찍이 월명은 四天王寺에 있을 때 젓대를 잘 불어 달이 그 소리에 수레를 멈추었을 정도로 주술력을 지닌 郞僧이다. 〈삼국유사〉권5〈월명사 도솔가〉 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월명은 도솔가를 지어 주술력으로 二日並現의 변괴를 사라지게 한 영험한 낭승이었으므로 제망매가도 그 부류에 속하는 노래이다. 제망매가의 내용은 생사윤회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 불교 사상에 의하면 인간은 12연기에 의해서 태어나게 된다고 한다. 제망매가에 의하면 월명은 연기설에 의하여 누이와 동기 혈육으로 태어난 것으로 노래하고 있다. 그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혈육간의 정을 나뭇으로 표상하고 있다. 노래 중
에서 한가지에 낳다는 것은 한 핏줄을 의미한다. 나뭇잎과 같다는 것은 남매라는 한 동기를 뜻한다. 이는 월명이 ‘죽음에 의한 이별의 주지(tenor)를 낙엽으로 전화(vehicle)한 것’인데, 이 낙엽은 바람에 이리저리 굴러 다니게 됨에 따라 그 가는 곳을 모르게 된다. 제망매가에서 ‘간다’는 것과 ‘낙엽’은 죽음을 상징화한
표현이다. 상징은 사고의 도구인 것과 같이, 가을은 슬프게 하는 계절이기도 한 것이다. 제망매가에서 ‘미타찰에 만날 나는’이라고 한 것은 신라인의 신앙이 조성된 것으로 ‘언어가 말한다’(language speaks)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 결국 이들 남매는 12연기법에 의해 동기간으로 태어냈지만 업을 지음에 따라 생사윤회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제망매가는 경덕왕 당시에 지어졌으므로 시대적인 상황으로 규명하여 볼 필요가 있다. 결사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월명은 누이동생을 미타찰에서 만나자고 했다. 미타찰은 경덕왕때 서민들이 많이 신앙했던 종교이므로 제망매가에서 말하는 미타찰은 원왕생가와 같이 극락을 가기 위해 부처에 의존하여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미타찰을 믿기 위해 도를 닦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8세기 신라 경덕왕 대는 불교문화가 최고도로 발달한 시대였다. 제망매가는 불교 사상중 미타신앙에 대해 원숙한 경지를 나타내 주고 있다. 미타찰은 대승불교에서 많이 인용되며 종토종에서 이 부처를 본존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제망매가 속에 미타사상의 수용 양상을 규명함으로 노래에 담긴 가의를 좀더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930년대말 가족사 · 연대기소설의 인물유형과 그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