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5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준거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이다.
      역량 모형의 초안 제작을 위해 문헌고찰, 심층면접, 전문가 연구팀의 협의, 외부 교수 및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심층면접을 통해 역량군, 역량요소, 역량지표의 위계적 구조를 가진 잠정적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팀의 검토, 협의, 수정·보완 및 외부 교수와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피드백을 받아 총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의 내용 타당화를 위해 역량모형 초안에 대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위해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성 있는 델파이 패널을 선정하기 위해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상담 관련 전공 대학교수, 20년 이상의 대면상담 경력, 1년 이상 온라인대면상담을 수행의 기준을 적용하여 스노우볼 방식으로 대상을 표집하였고, 총 9명의 패널이 선정되었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량모형의 구조, 각 구성 요소의 정의에 대한 적절성 여부가 5점 Likert척도로 평가되었고, 역량모형 각 항목의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이루어진 역량모형을 확정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역량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과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은 자질·태도 역량군, 이론지식 역량군, 직무수행 역량군의 세 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된다. 자질·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8개의 역량지표로, 이론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4개의 역량지표로, 직무수행 역량군은 4개의 역량요소와 12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디지털 태도 역량군, 디지털 지식 역량군, 디지털 수행 역량군의 세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디지털 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6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수행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의 역량모형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가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 장면에서 요구되는 상담자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할 수 있다. 이렇게 규명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온라인대면상담의 효과적 수행과 상담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준거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준거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이다.
      역량 모형의 초안 제작을 위해 문헌고찰, 심층면접, 전문가 연구팀의 협의, 외부 교수 및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심층면접을 통해 역량군, 역량요소, 역량지표의 위계적 구조를 가진 잠정적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팀의 검토, 협의, 수정·보완 및 외부 교수와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피드백을 받아 총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의 내용 타당화를 위해 역량모형 초안에 대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위해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성 있는 델파이 패널을 선정하기 위해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상담 관련 전공 대학교수, 20년 이상의 대면상담 경력, 1년 이상 온라인대면상담을 수행의 기준을 적용하여 스노우볼 방식으로 대상을 표집하였고, 총 9명의 패널이 선정되었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량모형의 구조, 각 구성 요소의 정의에 대한 적절성 여부가 5점 Likert척도로 평가되었고, 역량모형 각 항목의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이루어진 역량모형을 확정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역량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과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은 자질·태도 역량군, 이론지식 역량군, 직무수행 역량군의 세 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된다. 자질·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8개의 역량지표로, 이론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4개의 역량지표로, 직무수행 역량군은 4개의 역량요소와 12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디지털 태도 역량군, 디지털 지식 역량군, 디지털 수행 역량군의 세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디지털 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6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수행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의 역량모형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가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 장면에서 요구되는 상담자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할 수 있다. 이렇게 규명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온라인대면상담의 효과적 수행과 상담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counselors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to develop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based on these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as well as an objectiv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stablish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constitutes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econd, i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properly constructed?
      In order to draft a competency model, literature review, interview, consultation with an expert research team, as well as reviews from an external professor and/or other expert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 provisional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etency groups, competency elem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was devised. After consulting with a research team and receiving feedback from external professo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a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a total of two sub-competences, six competency groups, sixteen competency elements, and forty competency indicators. Next,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erify and finally confirm the content’s validity of the draft competency model. In order to select a Delphi panel with expertise, the panel was sampled using the snowball method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counseling-related university professo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twenty years of experience in face-to-face counseling, and at least a yea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fter careful consideration, nine panelists were selected. In the Delphi survey, the competency model’s structural adequacy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opinions were collect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each item of the competency model.
      The contents of the confirmed competency model are as follows.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unselor competency consists of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e first competency, the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the qualification/attitude competency group,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quality/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eight competency indicators,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our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four competency elements and twelve competency indicators. The second competency,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six competency indicators, the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at the counselo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counselor's competency required in the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cene. It can be used as a basic theoretical data for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professionalism, establish a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field, and effectively conduct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strengthen counseling experti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counselors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to develop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based on these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a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counselors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to develop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based on these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as well as an objectiv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stablish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constitutes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econd, i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properly constructed?
      In order to draft a competency model, literature review, interview, consultation with an expert research team, as well as reviews from an external professor and/or other expert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 provisional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etency groups, competency elem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was devised. After consulting with a research team and receiving feedback from external professo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a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a total of two sub-competences, six competency groups, sixteen competency elements, and forty competency indicators. Next,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erify and finally confirm the content’s validity of the draft competency model. In order to select a Delphi panel with expertise, the panel was sampled using the snowball method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counseling-related university professo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twenty years of experience in face-to-face counseling, and at least a yea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fter careful consideration, nine panelists were selected. In the Delphi survey, the competency model’s structural adequacy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opinions were collect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each item of the competency model.
      The contents of the confirmed competency model are as follows.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unselor competency consists of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e first competency, the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the qualification/attitude competency group,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quality/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eight competency indicators,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our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four competency elements and twelve competency indicators. The second competency,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six competency indicators, the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at the counselo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counselor's competency required in the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cene. It can be used as a basic theoretical data for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professionalism, establish a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field, and effectively conduct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strengthen counseling experti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가. 온라인대면상담 9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가. 온라인대면상담 9
      • 나.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온라인대면상담 11
      • 가. 비대면상담 11
      • 나. 온라인대면상담의 개념 15
      • 2. 역량과 역량모형 19
      • 가. 역량의 개념과 특성 19
      • 나. 역량모형 23
      • 다.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의 개념과 위계적 구조 30
      • 3.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의 구성요소 31
      • 가. 상담자의 상담기본역량 31
      • 나. 상담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37
      • 다.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의 역량, 역량군, 역량요소의 개념 43
      • Ⅲ. 연구방법 49
      • 1. 연구절차 49
      • 2. 연구대상 52
      • 가. 전문가 심층면접 대상 52
      • 나. 상담실무자 심층면접 대상 53
      • 다. 전문가 협의팀 구성 54
      • 라. 델파이 조사 대상 54
      • 3. 측정도구 및 자료수집 56
      • 가. 문헌고찰 56
      • 나. 심층면접 질문지 및 자료수집 56
      • 다. 델파이 질문지 및 자료수집 59
      • 4. 자료분석 60
      • 가. 심층면접 자료분석 60
      • 나. 전문가 협의 자료분석 60
      • 다. 델파이 조사 자료분석 61
      • Ⅳ. 연구결과 63
      • 1.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개발 63
      • 가. 심층면접 결과 63
      • 나. 잠정적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제작 및 전문가 협의 72
      • 다. 역량모형 초안 확정 76
      • 2. 역량모형 수정 및 타당화 79
      • 가. 1차 델파이 조사 79
      • 나. 2차 델파이 조사 91
      • 다. 3차 델파이 조사 101
      • 라. 중요도 조사 107
      • 3. 최종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완성 112
      • 가. 최종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112
      • 나. 확정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의 정의 114
      • Ⅴ. 논의 및 결론 121
      • 1. 요약 121
      • 2. 논의 124
      • 가. 역량모형 구조에 관한 논의 124
      • 나. 역량모형의 내용에 관한 논의 126
      • 다. 연구문제 초안의 구성에 대한 논의 128
      • 라. 델파이 조사를 통한 내용타당화 결과에 대한 논의 129
      • 3. 결론 130
      • 4. 제언 132
      • 참고문헌 133
      • Abstract 148
      • 부록 1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