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북 인식의 프레임과 네트워크: 개성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 Frame and Network of Public Awareness about North Korea: Focused o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남북협력의 대표적 상징인 개성공단에 대한 언론의 정보생산 내용과 온라인 여론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대북인식의 중요내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대북 인식의 중요 정보생산·...

      이 글은 남북협력의 대표적 상징인 개성공단에 대한 언론의 정보생산 내용과 온라인 여론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대북인식의 중요내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대북 인식의 중요 정보생산·유통·확산 구조를 분석한다.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트위터, 구글트렌드에 나타난 지난 6개월간의 정보와 여론을 프레이밍 분석과 사회연결 망 분석을 통해 정리한 결과, 언론보도논조는 과거 냉전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냉전의 유제 속에서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지형과 실천방식을 통한 뉴스 생산이 지속되고 있고, 그 결과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미지에 대한 접근에는 많은 한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보도에 대한 온라인 댓글은 그다지 많이 나타나지 않고, 논쟁도 진행되지 않으며 정보생산보다는 수동적인 정보 수용에 머물러 있다. 또한 조선일보보다 한겨레 신문 뉴스에 대한 댓글이 훨씬 많았고, 네이버보다는 다음에서의 댓글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상에서의 관심 구조는 자체 생산트윗이 멘션보다 적었다가 개성공단이 정상화되면서 많이 늘어나 존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트위터 네트워크도 시간이 지나면서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뉴스보도 댓글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온라인 여론의 높은 관심도와 다양한 행위자의 정보생산성 및 유통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었다. 연구결과, 북한 및 통일 관련논의의 개방화와 민주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media reports and the network of online public opinion in relation to the issue of Gaeseong Industrial Complex,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ublic aw...

      This study analyzes media reports and the network of online public opinion in relation to the issue of Gaeseong Industrial Complex,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ublic awareness about North Korea, based on which production, circulation and spread of information about the issue is analyzed. A frame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media reports and public opinion provided by Chosun Ilbo, Hangyeore Newspaper, Twitter and Google Trend for 6 months, and found that the tone of media coverage is moving away from Cold War paradigm. However, news production through ideological geography and practices still continues, preventing the public from taking an objective approach to North Korea. As for online comment, only a small numbers without online discussion were found about related news articles, hinting that the public remains in a passive role by adopting the information only than producing it. In detail, more comments were posted on Hangyeore Newspaper than Chosun Ilbo, as well as on Daum portal than Naver portal. On Twitter, independent tweets were less than mentions but increased in line with reopening of the complex, showing that there was a high interest among the public over whether the complex survives. In addition, the network became more activated as time passed. Unlike online comments on media coverage, Twitter indicated that the public are highly concerned about the issue and adopted a more active role by produc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by themselves. As a result, the public discussion abou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s assumed to be more opened and democratiz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현,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7) : 123-168, 2010

      2 김병길, "한미 시사 잡지의 북한 관련 보도 분석" 44 (44): 1999

      3 박용규, "한국 언론의 북한 보도 현황과 통일 지향성에 관한 연구" (19) : 1998

      4 백선기, "한국 언론의 남북 관련 사안 보도 태도와 문제점 : 김일성 사망과 성혜림사건에 관한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35 (35): 1996

      5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6 이준웅,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 북한 관련 정보 추구와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에 미치는 영향" (겨울) : 2000

      7 권장원, "통일 시대를 맞기 위한 우리 언론의 보도 태도 : 남북정상회담을 둘러싼우리 언론의 보도 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 31 (31): 2000

      8 박진형, "최근 남북관계 관련 언론보도 분석" 2008

      9 임소정, "천안함 사태 국내 신문 프레임 분석 : 과학적 불확실성과 안보 연계 사안에서 신문사의 논조가 보도 방향에 미치는 영향" 2011

      10 전일욱, "중국 언론매체(연변일보)의 보도내용 비교연구: 남북한 관련보도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7 (17): 241-264, 2012

      1 반현,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7) : 123-168, 2010

      2 김병길, "한미 시사 잡지의 북한 관련 보도 분석" 44 (44): 1999

      3 박용규, "한국 언론의 북한 보도 현황과 통일 지향성에 관한 연구" (19) : 1998

      4 백선기, "한국 언론의 남북 관련 사안 보도 태도와 문제점 : 김일성 사망과 성혜림사건에 관한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35 (35): 1996

      5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6 이준웅,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 북한 관련 정보 추구와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에 미치는 영향" (겨울) : 2000

      7 권장원, "통일 시대를 맞기 위한 우리 언론의 보도 태도 : 남북정상회담을 둘러싼우리 언론의 보도 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 31 (31): 2000

      8 박진형, "최근 남북관계 관련 언론보도 분석" 2008

      9 임소정, "천안함 사태 국내 신문 프레임 분석 : 과학적 불확실성과 안보 연계 사안에서 신문사의 논조가 보도 방향에 미치는 영향" 2011

      10 전일욱, "중국 언론매체(연변일보)의 보도내용 비교연구: 남북한 관련보도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7 (17): 241-264, 2012

      11 전일욱, "중국 언론 매체의 남북한 보도 태도 비교 연구 : 길림 신문을 중심으로" 22 (22): 2013

      12 허진, "중국 신문의 남북한 관련 보도 내용 분석" 9 (9): 2009

      13 이우승, "정당회담에 나타난 북한과 김정일 이미지 분석" (31) : 2000

      14 정영철, "유령처럼 떠도는 북한 붕괴론, ‘3-3-3 가설’ 부활하나: 북한 정보와 해석의정치학"

      15 이오현, "위기 부추기기 : 북한 핵 문제에 대한 NewYork Times의 보도 태도" 2 (2): 2002

      16 백선기., "우리 언론의 남북 관련 사안 보도 태도의 문제점" 21 : 1997

      17 이준웅,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대한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48 (48): 28-56, 2004

      18 하승희,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222-241, 2012

      19 이광엽, "북한 핵 사태와 언론의 대응 : 뉴스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1) : 2007

      20 강태완, "북한 문제에 관한 텔레비전과 신문의 보도 관행 비교 연구" 23 : 1997

      21 배성인, "북한 문제 관련 방송 3사 저녁뉴스의 외신 인용 보도 실태" 9 : 2006

      22 주창윤, "북한 관련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 방송 영역, In 남북 화해시대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2000

      23 김성진, "북한 관련 보도의 현황과 문제" (64) : 1997

      24 장수근, "북한 관련 보도의 매커니즘 분석 : 정보원의 폐쇄성으로 남발되는 추측성보도" (14) : 1994

      25 한동섭, "북한 관련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 지형과 실천방식" 1 (1): 2001

      26 김성준, "북한 관련 TV뉴스의 프레이밍 방식에 따른 수용자의 인식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19 : 95-123, 2002

      27 김지윤, "북한 ‘North Korea’를 키워드로 한 Google의 이미지 검색 결과에나타나는 언어·지리·정치적 차이에 대한 연구" 2009

      28 손영준, "미디어 이용이 보수 진보적 의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8 (48): 240-266, 2004

      29 유세경, "미국과 중국 일간지의 ‘천안함 침몰 사건’뉴스 보도 비교 분석"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6) : 105-141, 2010

      30 김관규, "다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전파에 관한 연구: 노무현대통령서거 뉴스와 북핵실험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125-156, 2010

      31 박정순, "뉴스의 객관성과 이념성 : 남북화해시대의 남북언론의 대립과 변화" (29) : 2000

      32 이원섭, "노무현 정부 시기 남북문제에 대한 언론 보도 분석:조선·중앙·동아일보와 한겨레·경향·서울신문을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52) : 325-366, 2007

      33 정재철, "남한 방송의 북한 보도 생산자 연구: KBS와 MBC 북한 문제 담당기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8 (48): 135-152, 2009

      34 김상준, "남북한 방송 보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 615 정상회담의 남북한 TV 보도를 중심으로" (4) : 2002

      35 윤영철, "남북한 관계의 변화와 언론 : 남북한 신문의 보도 시각 비교를 중심으로, In 국제커뮤니케이션과 한국사회" 나남 1997

      36 김택환,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 이미지 : 한국 언론과 북한 전문가들의 북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가을) : 2000

      37 곽정래,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 「조선일보」ㆍ「한겨레」 등 5대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96-217, 2009

      38 김재홍,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언론노조와 국민여론의 비교 분석" 한국정치학회 37 (37): 197-218, 2003

      39 이우승, "국내방송의 북한관련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 KBS의 9시 종합뉴스와 남북의 창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0 (10): 257-285, 2006

      40 백선기,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 경향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뉴스기사들에 대한 백선기의 기호네트워크분석(SNA)과 담론구조분석(DSA)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93-135, 2011

      41 Herman, E. S., "Manufacturing consent :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Pantheon Books 1988

      42 김근식, "MB 5년, 강고한 ‘북한 혐오’의식 만들어"

      43 설진아, "<6자 회담>에 관한 텔레비전 외교 뉴스의 정보원 분석" 한국방송학회 21 (21): 69-100, 2007

      44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의식조사 발표자료집"

      45 심훈, "1994년 북한 기아에 대한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 분석 : 허만과 촘스키의 프로파간다 모델을 중심으로" 48 (48): 1994

      46 이완수, "1994 vs. 2011: 김일성과 김정일 사후 한국 언론의 북한문제 보도 프레임 변화"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9) : 149-18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