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전라도 강진 출신의 실학자 李如樸의 水車觀에 해 연구한 것이다. 그는 부친의 영향을 받아 일찍부터 서양학문에 관심을 갖고 서양식 수차를 연구하였다. 서양 식 수차는 명나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라도 강진 출신의 실학자 李如樸의 水車觀에 해 연구한 것이다. 그는 부친의 영향을 받아 일찍부터 서양학문에 관심을 갖고 서양식 수차를 연구하였다. 서양 식 수차는 명나라 ...
이 논문은 전라도 강진 출신의 실학자 李如樸의 水車觀에 해 연구한 것이다. 그는 부친의 영향을 받아 일찍부터 서양학문에 관심을 갖고 서양식 수차를 연구하였다. 서양 식 수차는 명나라 말기에 유럽 선교사가 편찬한 西學 서적에 수록되어 조선에 소개되었 다. 이여박은 서양식 수차 가운데서도 龍尾車 연구에 매진하였다. 용미차는 물을 아래에 서 위로 끌어올리는 양수기로써, 논이 강물보다 높은 곳에 있는 우리나라 지형에서 그리 고 논이 많은 전라도 지역에서 꼭 필요한 것이었다. 그래서 이여박은 기하학을 포함한 고도의 수학 지식을 토로 용미차를 연구·개발하여 영광과 서울에서 제작·가동한 후 널리 보급할 것을 주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Lee Yeo-bak’s viewpoint of waterwheels. Lee Yeo-bak was a Silhak scholar from Gangjin, JeollaProvince. Being influenced by hisfather, he took interestin Western study at anearly age and later conducted resea...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Lee Yeo-bak’s viewpoint of waterwheels. Lee Yeo-bak was a Silhak scholar from Gangjin, JeollaProvince. Being influenced by hisfather, he took interestin Western study at anearly age and later conducted research on western-style waterwheels. Western-style waterwheels were recorded in Western books published by European missionaries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y were then introduced to Joseon. Lee was devoted to research about Yongmicha, a type of Western-style waterwheel. Yongmicha was a water pump that drew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is design was definitely needed in Joseon. The topography included many rice paddies located higher than rivers. Lee carried ou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Yongmicha based on his highly advanced math knowledge including geometry. He manufactured and operated these types of waterwheels in Yeongwang and Seoul. He insisted on the widespread use of these waterwheel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2 "태서수법"
3 "죽석관유집"
4 문중양,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 집문당 2000
5 김기주, "조선중기 錦南 崔溥의 정치활동" 호남사학회 (24) : 191-232, 2005
6 姜在彦, "조선의 書學史" 민음사 1990
7 "조선왕조실록"
8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9 林學成, "조선 후기 「反畓」의 성행과 그 배경" 仁荷歷史學會 2 : 1994
10 조창록, "조선 실학에 끼친 徐光啓의 영향 ― 서유구 가문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1) : 101-118, 2012
1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2 "태서수법"
3 "죽석관유집"
4 문중양,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 집문당 2000
5 김기주, "조선중기 錦南 崔溥의 정치활동" 호남사학회 (24) : 191-232, 2005
6 姜在彦, "조선의 書學史" 민음사 1990
7 "조선왕조실록"
8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9 林學成, "조선 후기 「反畓」의 성행과 그 배경" 仁荷歷史學會 2 : 1994
10 조창록, "조선 실학에 끼친 徐光啓의 영향 ― 서유구 가문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1) : 101-118, 2012
11 崔奭祐, "전근대 傳統 知識人의 對西洋 인식" 국사편찬위원회 76 : 1997
12 "영재집"
13 "연려실기술"
14 "승정원일기"
15 "성호사설"
16 "목민심서"
17 히라가와 스케히로, "마테오 리치" 동아시아 2002
18 "농포문답"
19 "농정전서"
20 안동교, "간찰에 나타난 학술적 교유의 양상들 -홍대용과 서유구의 간찰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38 : 67-91, 2011
21 "雪岫外史"
22 "進水車說疏及理數源流"
23 정동찬, "自升車의 復元 및 實驗硏究" 호남사학회 (24) : 23-72, 2005
24 "耳溪集"
25 徐仁源, "耳溪 洪良浩의 實學思想" 漢陽大 韓國學硏究所 37 : 2003
26 "海東農書"
27 金容燮, "朝鮮後期農業史硏究 (1)" 一潮閣 1987
28 "旅菴遺稿"
29 金容燮, "增補版 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Ⅱ" 一潮閣 1990
송기숙의 『오월의 미소』에 드러난 국가폭력과 치유의 형상화 양상 고찰
순천지역 교육선교와 매산학교 - 선교부와 지역교회의 교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