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폭력을 바라보는 두 시선: 벤야민과 아렌트 = Two Angles on Violence: Benjamin and Arend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76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olence today is an academic subject with a sense of timeliness and presence. Until now, the viewpoint of ‘violence’ in the West was very divers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and compare the viewpoints of violence by two thinkers, Benjamin and Ar...

      Violence today is an academic subject with a sense of timeliness and presence. Until now, the viewpoint of ‘violence’ in the West was very divers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and compare the viewpoints of violence by two thinkers, Benjamin and Arendt, who are prominent in Germany in the 20th century.
      First, the extent and breadth of the understanding of these two thinkers in relation to the German concept of ‘Gewalt’ varies considerably. Benjamin had a very broa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violence through a combination of law and justice,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mythical violence (mythische Gewalt)’ and ‘divine violence (göttliche Gewalt)’), and various case studies, whereas Arendt, considering violence as an opposite concept of power, understood it very narrowly. The reason Benjamin could see violence so broadly, including its positive side, was probably because he had not been directly experiencing Nazi violence as yet. On the other hand, Arendt denied completely the concept of violence on the base of its evilness, even though she might recognize its necessity and effectiveness in some cases like revolutions and wars. This may be because she experienced all kinds of viol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such as World War II, the Holocaust, the Vietnam War and the 68 Revolution.
      Nevertheless, there are some important commonalities in the violence discourse of the two thinkers. First, both considered violence only as a means. Secondly, both maintained all along a critical view of violence. This critical distance is, in case of Benjamin, somewhat diluted by his implicit recognition of divine violence, but it is clear that he largely denied the entire power of the state. The third common thing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both thinker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nonviolence’ through ‘language.’ The medium of nonviolence is ‘language.’ It was as for Benjamin ‘consultation (Unterredung),’ and for Arendt human ‘language ability’ itself.
      I think these common points are very important perspectives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 understanding violence. If there is one definite thesis that can be drawn from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t is that violence can not be justified in any case, as long as its justifica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con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폭력은 시의성과 현장성을 갖는 학문적 주제다. 그동안 서구에서 ‘폭력’이라는 주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매우 다양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 20세기 독일어권에서 두드러진 두 사...

      오늘날 폭력은 시의성과 현장성을 갖는 학문적 주제다. 그동안 서구에서 ‘폭력’이라는 주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매우 다양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 20세기 독일어권에서 두드러진 두 사상가 벤야민과 아렌트의 폭력에 대한 시선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Gewalt’라는 독일어 개념에 대한 두 사상가의 이해의 폭과 넓이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벤야민이 폭력 개념을, 법과 정의와의 연관성, 다양한 분류방법(신화적 폭력과 신적 폭력의 분류 등), 다양한 사례분석 등을 통해 매우 폭넓게 이해했다면, 아렌트는 폭력을 권력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간주하고 그 둘을 상반되게 비교하면서 매우 협소하게 이해했다. 벤야민이 폭력을 그 긍정적인 면까지 포함해 매우 폭넓게 바라볼 수 있었던 이유는 아마도 그가 나치 폭력을 시기적으로 아직 겪기 전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반면 아렌트는 제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 베트남 전쟁, 68혁명 등 20세기 온갖 종류의 폭력을 경험하고 난 뒤라서 그랬는지 몰라도 폭력의 필요성과 유효성을 완전히 부정한 것은 아니지만, 궁극적으로는 그것의 악마성에 근거해 그 개념을 근원적으로 부정해나간다.
      한편 두 사람의 폭력 담론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공통점도 발견된다. 먼저 두 사람 모두 폭력을 수단으로 간주했다. 두 번째로 두 사람 모두 폭력에 대해 근본적으로 비판적인 관점을 줄곧 유지했다. 이 비판적 거리두기는 벤야민의 경우 신적 폭력을 암묵적으로 인정하면서 희석되지만, 그가 국가의 공권력 전반을 대체로 부정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세 번째 공통점은 두 사상가 모두 ‘언어’를 통한 ‘비폭력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두었다는 점이다. 비폭력의 매개체는 ‘언어’다. 벤야민의 경우 그것은 ‘상의(相議, Unterredung)’였고, 아렌트의 경우 인간의 ‘언어 능력’ 자체였다.
      나는 이들 공통점이 우리가 폭력을 이해하는 데서 주목해야 할 매우 중요한 관점들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의 결론으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확실한 테제가 하나 있다면, 그것은 폭력이란 국가에 의한 것이든, 개인에 의한 것이든, 심지어 법에 의해 제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의 정당성이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바뀔 수 있는 한, ‘완벽하고 절대적인 의미에서 정당화될 수 없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고현범,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50) : 73-97, 2010

      3 홍원표, "혁명론" 한길사 2004

      4 필립 한센, "한나 아렌트의 정치이론과 정치철학" 삼우사 2008

      5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6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 폭력에 대한 6가지 삐딱한 성찰" 난장이 2011

      7 한나 아렌트,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8 조르주 소렐, "폭력에 대한 성찰" 도서출판 나남 2007

      9 칼 슈미트,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10 홍원표, "전체주의의 기원 1/2" 한길사 2006

      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고현범,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50) : 73-97, 2010

      3 홍원표, "혁명론" 한길사 2004

      4 필립 한센, "한나 아렌트의 정치이론과 정치철학" 삼우사 2008

      5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6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 폭력에 대한 6가지 삐딱한 성찰" 난장이 2011

      7 한나 아렌트,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8 조르주 소렐, "폭력에 대한 성찰" 도서출판 나남 2007

      9 칼 슈미트,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10 홍원표, "전체주의의 기원 1/2" 한길사 2006

      11 장제형, "신적 폭력과 신화적 폭력의 단절과 착종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을 위하여>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3 (23): 315-344, 2015

      12 김항, "신의 폭력과 지상의 행복: 발터 벤야민의 탈정치신학" 영미문학연구회 (29) : 99-129, 2010

      13 자크 데리다, "법의 힘" 문학과지성사 2004

      14 홍원표, "발터 벤야민과 한나 아렌트의 유산: 진주조개잡이 어부들의 ‘정치적’ 이야기" 21세기정치학회 21 (21): 1-24, 2011

      15 노베르트 볼츠, "발터 벤야민: 예술, 종교, 역사철학" 서광사 2000

      16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 선집 5: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길 2008

      17 최성만,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길 2014

      18 Robitzsch, Jan Maximilian, "Walter Benjamins blosses Leben und Hannah Arendts blosses Menschsein. Ein Vergleich" 118 : 104-128, 2011

      19 Caygill, Howard, "Walter Benjamin: The Colour of Experience" Routledge 1998

      20 Žižek, Slavoj, "Violence: Six Sideways Reflections" Picador 2008

      21 Breen, Keith, "Violence and Power: A Critique of Hannah Arendt on the ‘Political’" 33 : 343-372, 2007

      22 Steiner, Uwe, "The True Politician: Walter Benjamin’s Concept of the Political" 83 : 43-88, 2001

      23 Arendt, Hannah,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Brace & World 1951

      24 Sorel, Georges, "Réflexions sur la violence" Riviere 1908

      25 Keenan, Alan, "Promises, Promises: The Abyss of Freedom and the Loss of the Political in the Work of Hannah Arendt" 22 : 297-322, 1994

      26 Schmitt, Carl, "Politische Theologie – Vier Kapitel zur Lehre von der Souveränität" Duncker u. Humblot 1922

      27 Arendt, Hannah, "On Violence" Harcourt, Brace & World 1969

      28 Arendt, Hannah, "On Revolution" Viking Press 1963

      29 Fraser, Elisabeth, "On Politics and Violence: Arendt Contra Fanon" 7 : 90-108, 2008

      30 Ribeiro, Karla Pinhel, "Law and Violence in Hannah Arendt and Walter Benjamin" 2013

      31 Agamben, Giorgio, "Homo sacer: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Einaudi 1995

      32 Röttgers, Kurt, Art.,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vol. 3" Schwabe 562-570, 1974

      33 LaCapra, Dominick, "Gewalt und Gerechtigkeit" Suhrkamp 143-161, 1994

      34 Haverkamp, Anselm, "Gewalt und Gerechtigkeit" Suhrkamp 1994

      35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Suhrkamp 1972

      36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Suhrkamp 1972

      37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Suhrkamp 1972

      38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Suhrkamp 1972

      39 Derrida, Jacques, "Force de loi" Éditions Galilée 1994

      40 김현강, "Die göttliche Gewalt bei Benjamin und Žižek" 한국뷔히너학회 (42) : 205-225, 2014

      41 Clausert, Dieter, "Das Problem der Gewalt in Luthers Zwei-Reiche-Lehre" 26 : 36-56, 1966

      42 Hanssen, Beatrice, "Critique of Violence: Between Poststructuralism and Critical Theory" Routledge 2000

      43 Opitz, Michael, "Benjamins Begriffe, 2 vols." Suhrkamp 2000

      44 Galtung, Johan, "Beiträge zur Friedens- und Konfliktforschung" Rowohlt 1975

      45 Schöttker, Detlev, "Arendt und Benjamin: Texte, Briefe, Dokumente" Suhrkamp 2006

      46 Tomba, Massimiliano, "Another Kind of Gewalt: Beyond Law. Re-Reading Walter Benjamin" 17 : 126-14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28 0.811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