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개발을 위한 시론 = An Essay for Development of a Model for Lifetime Learning in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73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는 전통적으로 학령기의 학생 교육을 위주로 운영되어온 학교 기능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급격한 사회의 변천으로 인하여 이제 학교는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장(場)으로 지역주민의 사회 참여와 활동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시각에서 현재까지의 학교기능을 확대하여 학교를 학생을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 전체의 평생학습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우리 나라와 외국의 학교평생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 운영형태와 모형을 분석하고,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물을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교평생교육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향후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차원의 시도이다.
      번역하기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는 전통적으로 학령기의 학생 교육을 위주로 운영되어온 학교 기능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급격한 사회의 변천으로 인하여 이제 학교는 학생뿐만 아니라 지...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는 전통적으로 학령기의 학생 교육을 위주로 운영되어온 학교 기능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급격한 사회의 변천으로 인하여 이제 학교는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장(場)으로 지역주민의 사회 참여와 활동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시각에서 현재까지의 학교기능을 확대하여 학교를 학생을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 전체의 평생학습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우리 나라와 외국의 학교평생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 운영형태와 모형을 분석하고,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물을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교평생교육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향후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차원의 시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rival of lifetime learning community requires changes in school functions which is traditionally being operated centered on educating the school age students. The schools must be reborn as a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center as a place to provide lifetime learning opportunity for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and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the arrival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five day workweek society and leisure time society. In such viewpoint,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s an attempt to change schools into lifetime learning center for students and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For this, the form of school lifetime learning operation and model has been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lifetime learning in schools has bee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of school lifetime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a model program for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time learning in the school.
      번역하기

        The arrival of lifetime learning community requires changes in school functions which is traditionally being operated centered on educating the school age students. The schools must be reborn as a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center as a ...

        The arrival of lifetime learning community requires changes in school functions which is traditionally being operated centered on educating the school age students. The schools must be reborn as a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center as a place to provide lifetime learning opportunity for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and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the arrival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five day workweek society and leisure time society. In such viewpoint,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s an attempt to change schools into lifetime learning center for students and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For this, the form of school lifetime learning operation and model has been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lifetime learning in schools has bee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of school lifetime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a model program for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time learning in the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연구목적과 방법
        Ⅱ. 학교평생교육의 개념과 구성 요소
        Ⅲ.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분석
        Ⅳ. 학교평생교육 운영 모형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연구목적과 방법
        Ⅱ. 학교평생교육의 개념과 구성 요소
        Ⅲ.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분석
        Ⅳ. 학교평생교육 운영 모형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의 사회교육적 기능 제고에 관한 연구 학교새마을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87

      2 "학교 주5일제 운영 관련 사회적 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1

      3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지역전략 일본의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추진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인천: 인천광역시교육청 2004

      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혁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참여자 중심의 취미 활동을 통한 평생학습기회제공: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경기도: 남양초등학교 2001

      6 "지역사회학교 운영에 있어서의 관련 집단의 인식과 역할 갈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998

      7 "지역사회 중심 평생학습운동의 추진방행 탐색 외국의 평생학습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112-114, 2006

      8 "주5일 근무제와 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주5일 근무제 대비 평생교육정책방향과 과제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9 "주5일 근무제 대비 학교시설을 이용한 평생학습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10 "주5일 근무제 대비 평생교육정책 발전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 평생학습시대 학교를 주목하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1 "학교의 사회교육적 기능 제고에 관한 연구 학교새마을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87

      2 "학교 주5일제 운영 관련 사회적 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1

      3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지역전략 일본의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추진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인천: 인천광역시교육청 2004

      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혁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참여자 중심의 취미 활동을 통한 평생학습기회제공: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경기도: 남양초등학교 2001

      6 "지역사회학교 운영에 있어서의 관련 집단의 인식과 역할 갈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998

      7 "지역사회 중심 평생학습운동의 추진방행 탐색 외국의 평생학습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112-114, 2006

      8 "주5일 근무제와 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주5일 근무제 대비 평생교육정책방향과 과제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9 "주5일 근무제 대비 학교시설을 이용한 평생학습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10 "주5일 근무제 대비 평생교육정책 발전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 평생학습시대 학교를 주목하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11 "방과후학교, 교육적 의미가 사교육비 경감에 우선한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12 "건강한 지역교육공동체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학교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공주: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13 "Transforming schools into community learning centers" LARCHMONT: EYE ON EDUCATION 1999

      14 "The learning society" New York: Routledge 162-183, 1996

      15 "School as center of lifelong learning for all" 1979

      16 "Lifelong Learning" London: Kogan Page 1996

      17 "12st Century Community Learning Centers Non-Regulatory Guidance."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