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인 이만흥의 영화계 활동 연구 = Research on the movie activity of Lee, Man-he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3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만흥 가족들의 증언과 연구자가 조사·확보한 자료 등을 토대로 전북영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영화인 이만흥의 영화계 활동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불분명한 채로 남아있는 그의 생애의 일단을 밝혀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그러한 이력과 관련지어 그의 영화계 활동의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고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 군산과 1950년대 각 지역에서 활동했던 이만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이만흥 가족들의 증언과 신문 자료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던 이만흥의 실체와 행적을 발굴함으로써 전북영화사와 한국영화사의 저변과 토대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실제로 이만흥의 생애와 영화계 활동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기존의 한국영화사 저작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그동안 이에 대한 기록이 드러나지 않은 것은 중앙중심의 영화 연구에 비해 지역의 영화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지역의 영화 기록들은 앞으로 한국영화사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만흥 가족들의 증언과 연구자가 조사·확보한 자료 등을 토대로 전북영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영화인 이만흥의 영화계 활동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

      이 글은 이만흥 가족들의 증언과 연구자가 조사·확보한 자료 등을 토대로 전북영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영화인 이만흥의 영화계 활동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불분명한 채로 남아있는 그의 생애의 일단을 밝혀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그러한 이력과 관련지어 그의 영화계 활동의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고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 군산과 1950년대 각 지역에서 활동했던 이만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이만흥 가족들의 증언과 신문 자료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던 이만흥의 실체와 행적을 발굴함으로써 전북영화사와 한국영화사의 저변과 토대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실제로 이만흥의 생애와 영화계 활동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기존의 한국영화사 저작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그동안 이에 대한 기록이 드러나지 않은 것은 중앙중심의 영화 연구에 비해 지역의 영화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지역의 영화 기록들은 앞으로 한국영화사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escribe the film industry activities of Lee Man-heung, a filmmaker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Jeonbuk film history, based on the testimony of Lee Man-heung’s family and the data I was able to survey and secure. Through my research, I was able correct erroneous information about his life by revealing one part of his life that remained unclear, and I supplement and discuss the missing information about his film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his history.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fills in details about the life of Lee Man-heung, who was active in Gun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as active in every region during the 1950s. In particular, through information from Lee Man-heung’s family and several newspaper articles, I discovered the life and activity of Lee Man-heung, who had not been very well known until now,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and foundation of Jeonbuk and Korean film history.
      In fact, detailed records of Lee Man-heung’s life and film activities were not found in existing Korean film history archives because regional film research has not been active compared to national film research. I think the film records of these regions should be used as information to fill the gaps in Korean film history and supplement the weakness of Korean film history research.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escribe the film industry activities of Lee Man-heung, a filmmaker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Jeonbuk film history, based on the testimony of Lee Man-heung’s family and the data I was able to survey and secure. ...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escribe the film industry activities of Lee Man-heung, a filmmaker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Jeonbuk film history, based on the testimony of Lee Man-heung’s family and the data I was able to survey and secure. Through my research, I was able correct erroneous information about his life by revealing one part of his life that remained unclear, and I supplement and discuss the missing information about his film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his history.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fills in details about the life of Lee Man-heung, who was active in Gun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as active in every region during the 1950s. In particular, through information from Lee Man-heung’s family and several newspaper articles, I discovered the life and activity of Lee Man-heung, who had not been very well known until now,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and foundation of Jeonbuk and Korean film history.
      In fact, detailed records of Lee Man-heung’s life and film activities were not found in existing Korean film history archives because regional film research has not been active compared to national film research. I think the film records of these regions should be used as information to fill the gaps in Korean film history and supplement the weakness of Korean film history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전기적 정보와 영화계 활동의 문제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전기적 정보와 영화계 활동의 문제
      • Ⅲ.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경혜, "호남의 극장문화사" 다할미디어 2012

      2 황태묵, "해방기 군산지역 영화사 연구" 우리문학회 (48) : 427-453, 2015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디지털군산문화대전"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도서출판 소도 2004

      5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를 말한다 :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 이채 2005

      6 "한국영상자료원 데이터베이스(KMDb)"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인물자료"

      8 탁광, "전북영화이면사" 한국영화인협회전북지부 1995

      9 조시돈, "전북영화사" 신아출판사 2006

      10 위경혜, "식민지 개항도시 극장의 장소성 -군산 지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2) : 35-75, 2010

      1 위경혜, "호남의 극장문화사" 다할미디어 2012

      2 황태묵, "해방기 군산지역 영화사 연구" 우리문학회 (48) : 427-453, 2015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디지털군산문화대전"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도서출판 소도 2004

      5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를 말한다 :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 이채 2005

      6 "한국영상자료원 데이터베이스(KMDb)"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인물자료"

      8 탁광, "전북영화이면사" 한국영화인협회전북지부 1995

      9 조시돈, "전북영화사" 신아출판사 2006

      10 위경혜, "식민지 개항도시 극장의 장소성 -군산 지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2) : 35-75, 2010

      11 정봉석, "부산영화사"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14) : 1997

      12 "마산일보"

      13 염보화, "대한민국인사록" 내외홍보사 1950

      14 "대구매일신문"

      15 정종화, "대구 지역 영화사: 1950년대를 중심으로" 영상예술학회 (01) : 207-226, 2001

      16 "근현대영화인사전"

      17 "군산신문"

      18 "경향신문"

      19 국제영화사, "韓國映畵人百人選(一)" 4 (4): 19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