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53936
민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Korean
The Principle of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 ; 사사무애 ; The theory of citta-vijna ̄na ; 심지설 ;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 대승종교 ; The Old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 구유지 ;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 신유지 ;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 일승원교 ; The Newer-translated Vija ̄pti-ma ̄trata ̄ school ; 법상종 ; The Non-obstruction of Universal-Principle and Particular-Phenomena ; 리사무애 ; The Abrupt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 돈교 ; The Universe of Four kinds ; 사종법계
810
KCI등재
학술저널
223-25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
『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구유식(舊唯識)을 화엄교학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것은 특히 신유식(新唯識)에 대한 견제의식 때문이다. 법장은 화엄교학을 '원교(圓敎)'라고 정의하고, 그것을 대승종교의 위 단계에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승종교의 심식설로 원교의 심식설을 대신했다. 그리고 그것으로 신유식, 즉 법상종의 교학을 비판했다. 결국 법장은 법상종에 대응할만한 원교의 심식설을 따로 제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원교는 교리적 측면으로는 대승종교의 이사무애를, 수행론적 측면에서는 돈교(頓敎)의 입장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또 하나의 교학적 입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원교의 핵심교학으로서 특별한 경험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는 사사무애란 그 실질적인 내용은 이사무애의 연장선성에 지나지 않는다. 사사무애란 다만 화엄교학이 여러 교학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교학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의한 의도 하에 만들어진 하나의 방편적 개념이자, 사종법계(四種法界)라는 화엄만의 특별한 가르침을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구성물에 지나지 않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king into account Fa-Tsang's intentions and the context behi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contents of the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actual contents of Huayen doctrine is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Fin...
Taking into account Fa-Tsang's intentions and the context behi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contents of the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actual contents of Huayen doctrine is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大乘終敎). The reason Fa-Tsang chose the Old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舊唯識)as his theoretical basis for the Hua-yen doctrine seems to have been his wariness for the growing powers of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新唯識). Although Fa-Tsang defined Hua-yen doctrine as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一乘圓敎) and put it on a higher level, he replaced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by the one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And this is what he used to criticiz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法相宗). Fa-Tsang did not come up with a theory of citta-vijna ̄na of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which can replac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
Subsequently,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is in fact just another doctrinal position, formulated by the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Non-obstruction of Universal-Principle and Particular-Phenomena(理事無碍)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in terms of doctrinal aspects, along with the Abrupt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頓敎) in terms of the practice theory. 頓敎 the principle of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事事無碍) is an intentional and expediential concept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Hua-yen doctrine among other doctrines, even a sort of composition forged with the intention of teaching the Universe of Four kinds(四宗法界) which is a unique teaching of Hua-ye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