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이 이들의 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자녀 관계가 우울과 가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4096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93-170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이 이들의 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자녀 관계가 우울과 가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이 이들의 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자녀 관계가 우울과 가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위기청소년 이용기관 이용자 실태조사로부터 쉼터 및 자립지원기관 이용 청소년 510명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은 가출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쉼터 및 자립지원기관 이용 청소년이 경험하는 우울은 이들의 가출 위험성을 증가시킨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둘째, 부모-자녀 관계는 우울과 가출 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을 증진하고 가출행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가정과 지역사회 연계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경 ; 안옥희 ; 김경희,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07-126, 2003
2 박소영 ; 조성희, "청소년의 가출충동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03-225, 2011
3 배문조 ; 전귀연, "청소년의 가출충돌과 관련된 특성 연구: 개인· 가족· 학교환경·또래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0 (40): 23-35, 2002
4 오승환, "청소년 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01-324, 2010
5 최원석 ; 강순화 ; 백승아, "중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3) : 85-108, 2020
6 유현애 ; 홍혜영, "중장기청소년쉼터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심리극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97-124, 2013
7 김현수 ; 김선영 ; 조선미 ; 정영기 ; 양재진 ; 신윤미, "쉼터에 거주중인 가출 청소년의 정신건강상태와 가족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597-603, 2005
8 권경희 ; 김영아,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7 (17): 657-667, 2022
9 김재엽 ; 성신명 ; 박하연 ; 한기주,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가출 청소년의 반복 가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39-263, 2018
10 서보람 ; 장하림, "단기청소년쉼터 입소 후 가출청소년의 정서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05-115, 2018
1 정혜경 ; 안옥희 ; 김경희,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07-126, 2003
2 박소영 ; 조성희, "청소년의 가출충동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03-225, 2011
3 배문조 ; 전귀연, "청소년의 가출충돌과 관련된 특성 연구: 개인· 가족· 학교환경·또래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0 (40): 23-35, 2002
4 오승환, "청소년 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01-324, 2010
5 최원석 ; 강순화 ; 백승아, "중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3) : 85-108, 2020
6 유현애 ; 홍혜영, "중장기청소년쉼터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심리극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97-124, 2013
7 김현수 ; 김선영 ; 조선미 ; 정영기 ; 양재진 ; 신윤미, "쉼터에 거주중인 가출 청소년의 정신건강상태와 가족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597-603, 2005
8 권경희 ; 김영아,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7 (17): 657-667, 2022
9 김재엽 ; 성신명 ; 박하연 ; 한기주,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가출 청소년의 반복 가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39-263, 2018
10 서보람 ; 장하림, "단기청소년쉼터 입소 후 가출청소년의 정서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05-115, 2018
11 김은주, "남녀 고등학생의 가출충동 원인" 동서간호학연구소 17 (17): 125-131, 2011
12 육혜련, "가출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24, 2014
13 조성희 ; 박소영, "가출 경험 청소년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89-315, 2010
1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Youth in statistics" 2022
15 H. Baek, "The impact of negative family environment and depression on running away from home among Korean adolescents" 27 (27): 188-202, 2017
16 J. S. Lee, "The classification of adolescents in runaway shelters by the evaluation of their psychopathology" 12 (12): 192-215, 2001
17 Ministry of Educati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18 G. Erdem, "That which does not kill you makes you stronger : Runaway youth’s resilience to depression in the family context" 80 (80): 195-203, 2010
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urvey on Users of Institutions for At-risk Youth Analysis Report" 2022
20 S. Bailey, "Substance use and risky sexual behavior among homeless and runaway youth" 23 (23): 378-388, 1998
21 S. W. Baron, "Street youth violence and victimization" 4 (4): 22-44, 2003
22 A. Williams, "Running away during adolescence and future homelessness : The amplifying role of mental health" 89 (89): 268-, 2019
23 K. A. Tyler, "Role of social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o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western homeless youth" 28 (28): 199-210, 2018
24 Y. J. Jung., "Research on factors that affect teenager's runway" Catholic University 2012
25 N. Slesnick, "Predictors of parental monitoring among families with a runaway adolescent" 82 (82): 10-, 2012
26 A. F. Deman, "Predictors of adolescent running away behavior" 28 (28): 261-268, 2000
27 S. Khurana, "Mental health status of runaway adolescents" 71 : 405-409, 2004
28 O. Gewirtz,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homeless, runaway, and stably housed youth" 145 (145): 2020
29 Y. H. Park, "Influential factors on the duration of runaway in adolescence" 15 : 157-186, 2010
30 L. E. Thrane, "Impact of family abuse on running away, deviance, and street victimization among homeless rural and urban youth" 30 (30): 1117-1128, 2006
31 S. B. Holliday, "Family functioning and predictors of runaway behavior among at-risk youth" 34 : 247-258, 2017
32 L B. Whitbeck, "Families of homeless and runaway adolescents: A comparison of parent/caretaker and adolescent perspectives on parenting, family violence, and adolescent conduct" 21 (21): 517-528, 1997
33 S. K. Kim,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violence experiences on runaway frequencies among runaway experiencing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7 : 93-111, 2010
34 M. J. Kim, "Early child maltreatment, runaway youths, and risk of delinquency and victimization in adolescence mediational model" 33 (33): 19-28, 2009
35 L. Fedina, "An ecolog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runaway behavior among individuals exposed to commercial sexual exploitation" 12 : 221-231, 2019
36 J. Y. Kim, "A survey on media and harmful environment of youth" 2020
37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survey o At-Risk Youth: Analysis report of the preliminary survey" 2020
노 키즈 존(No Kids Zone)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도와 향후 교육 방향
스마트팜 센서 상태 기반 건전성 관리 알고리즘 개발 연구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의 역학 탐구 : 효율성 그리고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