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사회적 논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8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건강보험제도에서 상병수당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질병에 걸린 근로자들은 소득상실, 고용관계 해지, 가구의 빈곤화라에 빠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에 상병수당을 급여로 도입하자는 주장과 민간의료보험에서 상병수당을 지급하자는 주장이 상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주장 모두는 상병수당을 소득보전이라는 관점에서만 이해하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병수당을 고용유지와 불가분의 관계인 사회보장수단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업무상 질병, 재해와 사망에 의한 근로자의 소득상실분은 산업재해보상보험이 보전한다. 반면에, 근로자 개인의 일반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 상실되는 소득은 노동관련 법률에 의한 고용주의 임금 계속지불(statutory sick payment by employer), 즉 유급 병가 및 공적 의료보험의 현금급여인 상병수당(sickness cash benefits of public health insurance)이 보전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공부문과 민간대기업과 같은 ``괜찮은 일자리``에서는 노사간 임금단체협상의 결과 통상 1년의 유급병가가 주어질 뿐이다. 상병수당도입은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첫째, 건강보험의 사회적 연대성을 medical services를 매개로 한 제한적인 것에서 질병으로 인한 소득상실 보전을 매개로 한 포괄적이며 보편적으로 확대 하는 것이다. 둘째, 근로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건강보험에서의 상병수당은 고용주의 유급 병가뿐만 아니라 고용유지와 연계하여 법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건강보험제도에서 상병수당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질병에 걸린 근로자들은 소득상실, 고용관계 해지, 가구의 빈곤화라에 빠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에 상병수당...

      [연구배경] 건강보험제도에서 상병수당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질병에 걸린 근로자들은 소득상실, 고용관계 해지, 가구의 빈곤화라에 빠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에 상병수당을 급여로 도입하자는 주장과 민간의료보험에서 상병수당을 지급하자는 주장이 상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주장 모두는 상병수당을 소득보전이라는 관점에서만 이해하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병수당을 고용유지와 불가분의 관계인 사회보장수단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업무상 질병, 재해와 사망에 의한 근로자의 소득상실분은 산업재해보상보험이 보전한다. 반면에, 근로자 개인의 일반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 상실되는 소득은 노동관련 법률에 의한 고용주의 임금 계속지불(statutory sick payment by employer), 즉 유급 병가 및 공적 의료보험의 현금급여인 상병수당(sickness cash benefits of public health insurance)이 보전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공부문과 민간대기업과 같은 ``괜찮은 일자리``에서는 노사간 임금단체협상의 결과 통상 1년의 유급병가가 주어질 뿐이다. 상병수당도입은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첫째, 건강보험의 사회적 연대성을 medical services를 매개로 한 제한적인 것에서 질병으로 인한 소득상실 보전을 매개로 한 포괄적이며 보편적으로 확대 하는 것이다. 둘째, 근로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건강보험에서의 상병수당은 고용주의 유급 병가뿐만 아니라 고용유지와 연계하여 법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