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광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 - 강릉시 도자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he ceramic cultural products of Gangneung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6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과 국가적인 행사를 접목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문화적 교류를 활발히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발전에 기여 하는 바가 크므로 각 국가나 지자체에서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방문객들에게 구매력을 자극할만한 고유한 관광문화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릉 지역 문화의 고유성뿐만 아니라 상업적 가치를 반영한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상품은 고유한 지역적, 철학적,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실현가능성을 결합한 모든 공예품을 포함하며 관광상품은 효과적인 대중매체의 하나로서 지역 이미지를 창출하고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상품의 개념과 그 특성, 범주, 사례등을 알아보고, 강릉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며,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 조사를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초충도 시리즈, 경포 시리즈의 관광문화상품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이 상품들을 통해 지역 문화의 가치와 상징성, 기능성, 창의성을 구현하는 도자 관광문화상품 개발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과 국가적인 행사를 접목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문화적 교류를 활발히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발전에 기여 하는 바가 크므로 각 국가나 지자체에서는 많은 ...

      오늘날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과 국가적인 행사를 접목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문화적 교류를 활발히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발전에 기여 하는 바가 크므로 각 국가나 지자체에서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방문객들에게 구매력을 자극할만한 고유한 관광문화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릉 지역 문화의 고유성뿐만 아니라 상업적 가치를 반영한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상품은 고유한 지역적, 철학적,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실현가능성을 결합한 모든 공예품을 포함하며 관광상품은 효과적인 대중매체의 하나로서 지역 이미지를 창출하고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상품의 개념과 그 특성, 범주, 사례등을 알아보고, 강릉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며,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 조사를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초충도 시리즈, 경포 시리즈의 관광문화상품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이 상품들을 통해 지역 문화의 가치와 상징성, 기능성, 창의성을 구현하는 도자 관광문화상품 개발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engaged in cultural exchanges with each other by combining the tourism industry and national events. Since the tourism industry contributes greatly to economic development, each country or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ttract a lot of touri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unique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can stimulate purchasing power for vis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reflect not only the uniqueness of the Gangneung local culture but also commercial values. Cultural products include all crafts that combine unique regional, philosophical, cultural values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tourism produc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d delivering a local image as one of the effective mass medi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categories, and examples of cultural products, understood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preferences, and sought design directions based on the survey. As a result, a prototype was produced with tourism cultural products of the Chochungdo series and Gyeongpo series. Through these products, we would like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eramic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realize the value, symbolism,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of local culture.
      번역하기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engaged in cultural exchanges with each other by combining the tourism industry and national events. Since the tourism industry contributes greatly to economic development, each country or local governmen...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engaged in cultural exchanges with each other by combining the tourism industry and national events. Since the tourism industry contributes greatly to economic development, each country or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ttract a lot of touri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unique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can stimulate purchasing power for vis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reflect not only the uniqueness of the Gangneung local culture but also commercial values. Cultural products include all crafts that combine unique regional, philosophical, cultural values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tourism produc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d delivering a local image as one of the effective mass medi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categories, and examples of cultural products, understood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preferences, and sought design directions based on the survey. As a result, a prototype was produced with tourism cultural products of the Chochungdo series and Gyeongpo series. Through these products, we would like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eramic tourism cultural products that realize the value, symbolism,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of local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브리테니커 온라인"

      2 "한국공예문화진흥원"

      3 한영숙, "제작 및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공예문화상품연구" 한국도자학회 3 (3): 86-101, 2007

      4 매일경제연구소,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 1997

      5 "솔향강릉"

      6 정항교, "사임당을 그리다" 생각정거장 2016

      7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의 길" 신구문화사 1993

      8 염미란, "공예문화상품 개발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자학회 17 (17): 53-67, 2020

      9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93

      10 Edward Lucie-smith, "공예론" 도서출판 창미 2001

      1 "한국브리테니커 온라인"

      2 "한국공예문화진흥원"

      3 한영숙, "제작 및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공예문화상품연구" 한국도자학회 3 (3): 86-101, 2007

      4 매일경제연구소,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 1997

      5 "솔향강릉"

      6 정항교, "사임당을 그리다" 생각정거장 2016

      7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의 길" 신구문화사 1993

      8 염미란, "공예문화상품 개발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자학회 17 (17): 53-67, 2020

      9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93

      10 Edward Lucie-smith, "공예론" 도서출판 창미 2001

      11 김기설, "경포호수와 그 주변의 문화" 해람기획 2001

      12 강릉시오죽헌,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도록" 신유문화사 2003

      13 "강릉시오죽헌 시립박물관"

      14 "강릉시"

      15 Valene L. smith, "Host and Guests" The Free Pres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