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일련의 2차원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두뇌구조를 분할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분할은 중앙시상 두뇌 자기 공명영상으로부터 시작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766334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000
한국어
566.74 판사항(4)
서울
v, 59p. : 삽도, 사진 ; 26 cm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일련의 2차원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두뇌구조를 분할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분할은 중앙시상 두뇌 자기 공명영상으로부터 시작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일련의 2차원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두뇌구조를 분할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분할은 중앙시상 두뇌 자기 공명영상으로부터 시작한다. 우선 중앙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에 문턱치 방법을 적용하여 이진영상을 얻는다. 대부분의 분할은 몇몇 기준자와 선행정보를 사용하여 두뇌구조의 인식이 용이한 이진영상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전처리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영역들은 연결기반 문턱치 분할기법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중앙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의 분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그 결과를 이용하여 3차원 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 분할을 시작한다. 즉, 성공적으로 분할된 중앙시상 두뇌 자기공명영상을 인접 영상에 마스크로 적용하여 인접 영상의 두뇌구조를 추출한다. 그러나 마스크 적용 시, 일부 영상에서 두뇌구조가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영역을 복원하기 위해 마스크 영상과 마스킹 방법을 적용하여 얻은 영상의 경계를 비교하여 절단영역의 경계점을 검출한다. 검출한 경계점에 대해 원영상에서 연결기반 문턱치 분할기법을 사용하여 절단영역을 복원하면 성공적으로 두뇌구조를 추출할 수 있다. 분할된 영상은 다음 영상의 분할을 위한 마스크로 사용된다. 실험결과 제안된 분할기법은 3차원 시상 두뇌 구조의 위치에 따른 모양 및 크기 변화에 강인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thesis, an automated segmentation algorithm for three-dimensional sagittal brain MR images is proposed. First, we segment 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In order to segment 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we apply thresholding to obtain bin...
In this thesis, an automated segmentation algorithm for three-dimensional sagittal brain MR images is proposed. First, we segment 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In order to segment 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we apply thresholding to obtain binary images. Most segmentation is performed on the binary image using some landmark and anatomical information. To separate regions what are incorrectly merged after this initial segmentation, we use a connectivity-based threshold segmentation algorithm. After this midsagittal brain MR image segmentation, then we segment remaining slices in lateral direction using the successfully segmented midsagittal brain MR images as a mask to neighbor slices. However, there can be truncated region in the masked image by masking oper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truncated region, we find the end points of the truncated region by comparing the boundaries of the mask image and masked image. Finally, in original image, we can restore the truncated region using the connectivity-based threshold segmentation algorithm with the end points. The segmented image is used as a mask to segment next slice. Although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s satisfactory results, some of the results still include non-brain tissu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ost processing may be required. However, considering a large variation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brain structure, it seem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relatively wel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