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상호, "함평나비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6 (16): 101-116, 2004
2 송학준, "한방의료 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1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2 (22): 221-233, 2013
3 이충기, "풍기인삼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2 (22): 21-33, 2008
4 이충기, "크루즈산업의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4개 기항지(인천, 부산, 제주, 전남)별 지역산업연관모델 적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47-60, 2015
5 이충기, "추가질문에 의한 가상가치 수정을 통한 서울빛초롱축제의 체험가치 평가"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5-19, 2017
6 윤설민, "체험경제(4Es) 관점에 따른 축제체험,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정서적 몰입 간 영향관계 규명 : 2016 서울빛초롱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79-96, 2017
7 서울특별시, "참여예산 2017 서울빛초롱축제"
8 시사인, "지자체가 그 많은 축제를 만든 까닭"
9 김상호,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2007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57-76, 2009
10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9 (19): 7-26, 2007
1 김상호, "함평나비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6 (16): 101-116, 2004
2 송학준, "한방의료 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1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2 (22): 221-233, 2013
3 이충기, "풍기인삼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2 (22): 21-33, 2008
4 이충기, "크루즈산업의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4개 기항지(인천, 부산, 제주, 전남)별 지역산업연관모델 적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47-60, 2015
5 이충기, "추가질문에 의한 가상가치 수정을 통한 서울빛초롱축제의 체험가치 평가"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5-19, 2017
6 윤설민, "체험경제(4Es) 관점에 따른 축제체험,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정서적 몰입 간 영향관계 규명 : 2016 서울빛초롱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79-96, 2017
7 서울특별시, "참여예산 2017 서울빛초롱축제"
8 시사인, "지자체가 그 많은 축제를 만든 까닭"
9 김상호,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2007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57-76, 2009
10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9 (19): 7-26, 2007
11 이정훈,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활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351-374, 2014
12 이충기,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크루즈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을 사례로 -" 한국관광학회 39 (39): 133-145, 2015
13 이충기,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83-100, 2010
14 김연형, "지역문화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전주 국제 영화제를 중심으로" 한국통계학회 21 (21): 125-140, 2008
15 권태일, "지역문화축제 참가자의 관광행태 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을 통한 발전방안 도출 - 2008 파주 율곡문화제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53-66, 2009
16 윤설민, "수정된 방법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지역축제의 러브마크 형성 비교" 관광연구소 29 (29): 81-101, 2017
17 박재호, "서비스·관광 행태·정체성 분석을 통한 문화 예술 축제의 아이덴티티 확립 -서울빛초롱축제를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11 (11): 125-145, 2015
18 박소연,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하수처리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29 (29): 171-182, 2015
19 서울빛초롱축제조직위원회, "빛초롱축제 연혁"
20 안소현, "방문경험율 도출을 통한 마포 외래관광객 추정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38-55, 2016
21 중앙일보, "난립한 지역 축제에 국고 지원 끊는다. 지출 구조조정 33개 과제 확정"
22 이충기, "관광응용경제학" 대왕사 2017
23 이충기, "調査法과 非調査法간 지역산업연관모델의 비교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63-78, 2008
24 Leontief, W., "Quantitative input and output relations in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18 (18): 105-125, 1936
25 Džupka, P., "Local economic impact of the white night festival in Košice" 19 (19): 132-141, 2016
26 Lee, C. K.,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a mega-event on host and neighboring regions" 36 (36): 138-152, 2017
27 강순화,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2008 Ham-Pyeong World Butterfly and Insect Expo Korea -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61-78, 2010
28 Burgan, B., "Economic impact of sporting events" 19 (19): 700-710, 1992
29 Crompton, J. L., "A guide for undertaking economic impact studies : The Springfest example" 40 (40): 79-87, 2001
30 서울특별시, "2018 관광체육국 예산서"
31 서울빛초롱축제조직위원회, "2017 서울빛초롱축제 개최 및 운영사업 결과보고" 2017
32 서울문화재단, "2016 서울시 축제평가 연구보고서" 2017
33 한국은행, "2013 지역 산업연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