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계속교육(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관점에서 본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 고도화 방안 =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 of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2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plan for upgrading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GI was used by composing relevant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The study contents and results were presented in four main categories. First, the academic advancement pla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s concrete identification of th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perspective, basic and in-depth convergence with education-based school-age special education, restructuring into education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welfare, etc. were suggested. Second, the advancement plan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base for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d the guarantee of the establishment of one-stop (base) system infrastructure for the country and region, and the R&D business func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 development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lan for upgrading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curriculu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s the overall design of subject matter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rea of general lifelong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curriculum based on university higher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convergence flexibility as a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welfare was presented. Fourth, in the plan for upgrading the qualification base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signation as a qualification training institution for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ministries and convergence major based on a multipl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type (level) of qualification training accordingly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university formed an academic found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was suitable to have leadership capabilities to specify the organization, curriculum, and training methods for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s that are directly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plan for upgrading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GI w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plan for upgrading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GI was used by composing relevant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The study contents and results were presented in four main categories. First, the academic advancement pla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s concrete identification of th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perspective, basic and in-depth convergence with education-based school-age special education, restructuring into education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welfare, etc. were suggested. Second, the advancement plan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base for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d the guarantee of the establishment of one-stop (base) system infrastructure for the country and region, and the R&D business func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 development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lan for upgrading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curriculu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s the overall design of subject matter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rea of general lifelong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curriculum based on university higher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convergence flexibility as a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welfare was presented. Fourth, in the plan for upgrading the qualification base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signation as a qualification training institution for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ministries and convergence major based on a multipl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type (level) of qualification training accordingly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university formed an academic found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was suitable to have leadership capabilities to specify the organization, curriculum, and training methods for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s that are directly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계속교육 관점에서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에 대한 고도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발달장애 평생교육 분야의 유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FGI가 사용되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제시되었다. 먼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의 학문적 고도화 방안에는 성인계속교육 관점의 구체적 규명, 교육 기반형 학령기 특수교육과의 기초적-심화적 융합, 재활복지 중심 분야의 교육으로의 재구조화 및 심화-발전 융합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조직적 지원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국가-지역 대상 원스톱(거점) 체제 인프라 구축 담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및 전문인력 자격 개발 R&D 사업 기능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교육과정 지원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일반 평생교육 분야 교육과정 영역 기반 교과교육의 전체적 설계, 대학 고등교육 인프라 기반 교과교육 연계 비교과 활동 다양화, 재활복지 중심 유관 분야의 성인계속교육 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으로의 융합적 유연성이 제시되었다. 넷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전문인력 자격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국가 부처의 감독 관리 기반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기관 지정, 기존 대학 인프라 기반 다중 자격 양성 체계의 융합전공 및 자격 양성 유형(수준) 맥락화 등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은 성인계속교육의 원리와 의미를 통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의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의 실천에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조직, 교육과정, 전문인력 자격 양성의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는 리더십 역량을 갖추기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계속교육 관점에서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에 대한 고도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발달장애 평생교육 분야의 유관 전문가들을 대상...

      본 연구는 성인계속교육 관점에서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에 대한 고도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발달장애 평생교육 분야의 유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FGI가 사용되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제시되었다. 먼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의 학문적 고도화 방안에는 성인계속교육 관점의 구체적 규명, 교육 기반형 학령기 특수교육과의 기초적-심화적 융합, 재활복지 중심 분야의 교육으로의 재구조화 및 심화-발전 융합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조직적 지원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국가-지역 대상 원스톱(거점) 체제 인프라 구축 담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및 전문인력 자격 개발 R&D 사업 기능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교육과정 지원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일반 평생교육 분야 교육과정 영역 기반 교과교육의 전체적 설계, 대학 고등교육 인프라 기반 교과교육 연계 비교과 활동 다양화, 재활복지 중심 유관 분야의 성인계속교육 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으로의 융합적 유연성이 제시되었다. 넷째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전문인력 자격 기반 고도화 방안에는 국가 부처의 감독 관리 기반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기관 지정, 기존 대학 인프라 기반 다중 자격 양성 체계의 융합전공 및 자격 양성 유형(수준) 맥락화 등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은 성인계속교육의 원리와 의미를 통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의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의 실천에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조직, 교육과정, 전문인력 자격 양성의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는 리더십 역량을 갖추기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장순,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수업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41-60, 2011

      2 김영준 ; 김화수 ; 권량희, "한국 장애학생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모델 융합 재구성: 학교­지역사회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 타당성 관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95-104, 2021

      3 김영준 ; 강경숙,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 한국융합학회 10 (10): 81-91, 2019

      4 김경열, "학령기이후 발달장애 성인학습자의 전환교육을 위한 평생학습참여 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7 (7): 119-140, 2011

      5 김경열, "학령기 이후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발전 방안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1-18, 2017

      6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6, 2015

      7 김기룡, "평생교육법 개정 시행에 따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향후 과제" 3 (3): 1-30, 2017

      8 강은영,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모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수렴하지 않는 접근 허용을 고려하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61-94, 2021

      9 김영준 ; 정연수, "특수교육, 재활, 평생교육 간 실천적 통합 모델화 : 장애인 평생교육사의 양성 방향성 정립"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87-111, 2018

      10 김남진 ; 박재국,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1 유장순,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수업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41-60, 2011

      2 김영준 ; 김화수 ; 권량희, "한국 장애학생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모델 융합 재구성: 학교­지역사회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 타당성 관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95-104, 2021

      3 김영준 ; 강경숙,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 한국융합학회 10 (10): 81-91, 2019

      4 김경열, "학령기이후 발달장애 성인학습자의 전환교육을 위한 평생학습참여 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7 (7): 119-140, 2011

      5 김경열, "학령기 이후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발전 방안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1-18, 2017

      6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6, 2015

      7 김기룡, "평생교육법 개정 시행에 따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향후 과제" 3 (3): 1-30, 2017

      8 강은영,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모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수렴하지 않는 접근 허용을 고려하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61-94, 2021

      9 김영준 ; 정연수, "특수교육, 재활, 평생교육 간 실천적 통합 모델화 : 장애인 평생교육사의 양성 방향성 정립"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87-111, 2018

      10 김남진 ; 박재국,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11 강현주 ; 현영섭 ; 최지수,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동향 분석: 최근 40년간 중앙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5 (15): 25-59, 2019

      1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아카데미프레스 2016

      13 김원호,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에 대한 의미와 지원방안 탐색: 특수교사와 교과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41-170, 2020

      14 김영준 ; 박재국, "지적장애자녀의 학교 졸업 이후 성인기 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29-255, 2014

      15 주교영, "지적장애인의 중등 이후 맞춤형 교육계획을 위한 개인중심계획(PCP)절차 상세화 연구" 단국대학교 2021

      16 김영준 ; 김진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9-54, 2011

      17 김형일, "지적 및 자폐성장애인의 직무중심 직업훈련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95-111, 2017

      18 김진호 ; 김영준 ; 차재경,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19 김영준 ; 강경숙,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73-101, 2012

      20 김진호 ; 김영준, "지역사회 직업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중․고등부 지적장애학생 부모들의 인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47-73, 2009

      21 김영준 ; 도명애, "지역사회 사업체 참조 직업훈련이 비고용 발달장애인의 직무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15-237, 2014

      22 김주영 ; 주교영 ; 강은영,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23 (23): 211-245, 2021

      23 김진호 ; 김영준, "중․고등부 지적장애학생들의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44, 2010

      24 김원호 ; 이윤우, "주제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의 개념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6대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23-649, 2020

      25 김영준 ; 김화수 ; 이근용,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273-280, 2022

      26 김주영, "제4차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 실행과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방향 및 과제"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4 (4): 1-28, 2018

      27 정인숙, "정신지체 성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07-232, 2005

      28 김영준 ; 강경숙,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71-101, 2013

      29 김영준 ; 권량희, "장애인평생교육사의 전문적 역량 수행 범위 조직화: 코디네이터형 전문교사형 자격 분류 융합체계 개발" 인문사회 21 12 (12): 1123-1138, 2021

      30 김영준 ; 김화수 ; 권량희, "장애인평생교육‘의’, ‘을 위한’, ‘으로부터’ 내부 토대: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학교(schools) 융합"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67-74, 2021

      31 김영준 ; 김문섭,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의 교과교육과정 내용 수업 지도 한정성 검토: 자격 수요 기반 타당화 및 현행 평생교육사 전문 수행역량 대비 변별화" 인문사회 21 11 (11): 1425-1440, 2020

      32 김영준 ; 한승아,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재활 설계 요소 개발: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427-434, 2022

      33 김영준 ; 김주영, "장애인의 평생교육(직업)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1-359, 2018

      34 김영준,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원 조직 및 교육과정체계 구축방안"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3 (13): 89-124, 2017

      35 김두영 ; 김호연 ; 박원희,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59-383, 2014

      36 박현일, "장애인 평생학습을 위한 여가문화 연구" 1 (1): 71-96, 2015

      37 이지수, "장애인 평생교육의 쟁점과 현장의 목소리" 한국평생교육학회 25 (25): 55-83, 2019

      38 박미진 ;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들의 메타포(metaphor) 의미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63-82, 2016

      39 주영하 ; 박미진 ; 김기룡,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인식 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23 (23): 119-139, 2021

      40 이은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수업운영에 대한 강사 인식연구" 고려대학교 2021

      41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42 이홍열,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추진의 현황과 방향" 310 : 8-10, 2019

      43 현영섭 ; 양세희 ; 배홍연,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의 양성/자격/배치 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79-108, 2017

      44 김규영 ; 최재희 ; 이희수,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97-710, 2021

      45 박현일,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과제: 일심(一心)의 관점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4 (14): 25-47, 2018

      46 주재승 ; 윤지현 ;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 (20): 23-42, 2016

      47 백종면 ; 김영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법규 및 지원체계의 현황과 과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859-871, 2019

      48 이하영 ; 임경원,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분석: 1998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평생교육학회 25 (25): 1-28, 2019

      49 정동영 ; 정동일 ; 정인숙,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방향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2 (2): 5-35, 2003

      50 이수정 ; 허준, "장애 성인 대상 교육적 중재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61-90, 2017

      51 김영준 ; 권량희 ; 도명애,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간 융합 타당성 탐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82-91, 2021

      52 김두영 ; 박원희 ; 김호연, "일반교육학 분야와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51-274, 2013

      53 백수진 ; 안성우,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5-145, 2017

      54 김호연 ; 고등영, "시각중복장애인 평생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1 (31): 43-68, 2015

      55 김영준 ; 강영심, "스마트폰 어머니 모델링 중재패키지가 지적장애학생의 라면조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89-110, 2013

      56 한국성인교육학회, "성인교육의 현재와 미래" 학지사 2012

      57 고장완 ; 김효선 ; 김선주, "성인계속교육의 관점에서 본비서의 핵심역량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8 (18): 101-121, 2015

      58 김영준 ; 강경숙, "사회교과 통합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식당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36, 2012

      59 김영준, "사업장 부설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운영방안"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73-198, 2017

      60 김은하, "분야 간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소고: SRV철학 기반의 실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5 (5): 1-24, 2019

      61 윤명희 ; 박재국 ; 이충렬 ; 서희정 ; 김영미, "부산지역 대학 평생교육원의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5 (5): 219-248, 2009

      62 신붕섭, "백워드 모형을 적용한 장애인 평생교육 연계전공의 교과목과 수업 설계-‘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사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77-101, 2021

      63 김경열, "발달장애학습자의 학령기 이후의 교육 참여에 관한 전문가 심층면담"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97-116, 2015

      64 김경열, "발달장애학습자의 고등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0, 2015

      65 백종남, "발달장애학생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및 그 영향력 검증" 1 (1): 185-202, 2015

      66 김영준 ; 도명애,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직업교육 측면에서 본 직무기술과 자기관리기술의 통합적 교수 접근에 관한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91-330, 2014

      67 김영준 ; 도명애, "발달장애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연구과제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39-68, 2014

      68 김원호 ; 박다원, "발달장애인훈련센터의 운영 성과와 개선 방향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55-186, 2020

      69 박미진 ; 김기룡,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종사자의 직무연수 내용 요구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26, 2019

      70 김기룡,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융합학회 11 (11): 333-341, 2020

      71 한경근 ; 김원호 ; 주교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의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35-157, 2020

      72 신현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해설 및 운영자료" 국립특수교육원(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2020

      73 김주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2 (2): 65-92, 2016

      74 김영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전문교사형 자격 융합(convergence) 요구: FGI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721-752, 2022

      75 한경근 ; 노용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활동 특성" 한국발달장애학회 26 (26): 19-40, 2022

      76 강동선,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 적용효과" 과학교육연구소 56 (56): 12-28, 2017

      77 김경열, "발달장애성인의 국내 · 외 고등교육 프로그램 비교" 1 (1): 37-55, 2011

      78 홍성두 ; 조은혜, "발달장애 평생교육 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초등교육연구원 29 (29): 95-113, 2018

      79 김영준 ; 권량희,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한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 요구 분석"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3 (13): 119-163, 2022

      80 안혜신 ; 이숙향,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155-182, 2019

      81 정인숙,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73-193, 2007

      82 김영준 ; 권량희,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 환류체계 구축 및 고도화 방안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07-122, 2021

      83 김영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기반의 장애인 직업코디네이터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9-42, 2017

      84 이병인 ; 강수정 ; 조은영 ; 정연수, "대학기반 발달장애인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부모인식- 경기도 부모연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2 (12): 133-141, 2017

      85 김영준 ; 강경숙,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사업화 운영방안"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501-540, 2018

      86 김건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강사들의 교육 경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21-39, 2018

      87 김영준 ; 도명애,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개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61-100, 2017

      88 김두영,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모형 개발" 1 (1): 85-103, 2015

      89 김영준, "대학교 특수교육과의「장애인 평생교육사 양성」협동과정 개설을 위한 교육과정체계 모색" (사)한국직업자격학회 7 (7): 187-213, 2018

      90 정연수, "대학 기반 비학위과정으로 운영된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프로그램 실천 사례연구: D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185-207, 2017

      91 김영준 ; 김화수 ; 이근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사회복지 기반 학제 간 융합전공(장애인평생교육) 신설 논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147-156, 2022

      92 김창엽, "국내의 평생교육 개념 연구에 대한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4 (14): 1-24, 2018

      93 지은, "국내외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433-450, 2019

      94 이지연, "국내 성인교육 학술지 분석을 통한 성인교육과 HRD의 관계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23 (23): 27-55, 2020

      95 김송석, "고령화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미래교육학회 9 (9): 1-23, 2019

      96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일상생활자립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44, 2013

      97 김영준 ; 김진호 ; 김덕규,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33-159, 2009

      98 김영준 ; 김진호,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유아특수교육교사와의 협력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75-310, 2009

      99 Braun,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3 (3): 77-101, 2006

      100 Benitez, D. T., "Transition service and delivery: a multi-state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transition competencies" University of Kansas 2005

      101 Wehman, P., "Transition from schoo lto adulthood for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25 (25): 30-40, 2014

      102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ntice Hall 2010

      103 Miller, R. J., "Transition assessment : Planning transition and IEP development for youth with mild to moderate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2007

      104 Newman, L., "The post-high school outcomes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up to 6 years after high school : Key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NLTS2)"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2011

      105 김영준, "The Challenges of University-Based “Special Creative Converg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8 (38): 63-94, 2022

      106 McDonnell, J. M., "Secondary and transi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ge Publishing 2010

      107 Phelps, L. A., "School-to-work transition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 A review of outcomes and practices" 67 : 197-227, 1997

      108 Spall, S., "Peer debriefing in qualitative research : Emerging operational models" 4 (4): 280-292, 1998

      109 O’Brien, J., "Pathfinders :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allies building communities that work better for everybody" Inclusion Press 2015

      110 남현정 ; 오민석, "Lindeman의 성인교육의 의미에 담긴 장애인평생교육 이념" 원격교육연구소 16 (16): 1-26, 2020

      111 Cronin, M. E., "Life skills instruction : A practical guide for integrating real-life content into the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or who are placed at risk" PRO-ED 2007

      112 김영준, "Integrated Structuring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gher Education for the Independent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Perspective of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Age - Foundation of the Vision of Daegu University K-PACE Center in Terms of Base University Samples -"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989-1010, 2021

      113 Hewitt, A. S., "Handbook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891-905, 2016

      114 김영준, "Exploring the Plan of Linkages Between Regional Relevant Institutions for a Cycle Model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Majoring Courses, Training Center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Universities (MC-TCIDD-U)"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2 (32): 5-47, 2022

      115 Trainor, A. A., "Evaluating rigor in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dissemination" 35 (35): 267-274, 2014

      116 Bogenschutz, M., "Critical issues i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empora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36, 2016

      117 Sitlington, P. L., "Assess for success : A practitioner's handbook on transition assessment" Corwin Press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