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전약자 접근성 프로파일을 활용한 장애포괄적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K-가드 앱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K-Guard App, a Inclusive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Using the Accessibility Profile for the Vulnerable to Saf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1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zed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mobile app, K-guard, that can protect the life safety of ordinary citizens, including persons vulnerable to safet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pp.
      Methods : A model of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tailored to the persons vulnerable to safety was applied to an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to prevent actual everyday life safety, and a satisfaction survey and usability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107 subjects after conducting a demonstration service to 200 people in Seo-gu, Daegu-si, Republic of Korea.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item among the app was the daily life risk notification, and 55.14% of the subjects used the app every day.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K-guard confirmed through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usefulness of information was the highest with 4.15 points, followed by aesthetics with 4.13 points. In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groups of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positive responses were mainly low in the elderly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inclu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satisfy both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also confirmed the various needs of those vulnerable to safety that may further embody this possibility.
      번역하기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zed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mobile app, K-guard, that can protect the life safety of ordinary citizens, including persons vulnerable to safet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zed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mobile app, K-guard, that can protect the life safety of ordinary citizens, including persons vulnerable to safet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pp.
      Methods : A model of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tailored to the persons vulnerable to safety was applied to an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to prevent actual everyday life safety, and a satisfaction survey and usability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107 subjects after conducting a demonstration service to 200 people in Seo-gu, Daegu-si, Republic of Korea.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item among the app was the daily life risk notification, and 55.14% of the subjects used the app every day.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K-guard confirmed through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usefulness of information was the highest with 4.15 points, followed by aesthetics with 4.13 points. In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groups of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positive responses were mainly low in the elderly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inclu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satisfy both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also confirmed the various needs of those vulnerable to safety that may further embody this possi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안전약자를 포함한 일반 시민의 생활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생활안전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앱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안전약자 맞춤형 생활안전 정보서비스 모형을 실제 생활안전예방을 위한 정보서비스 플랫폼에 적용하여, 이를 활용한 대국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대구광역시 서구지역에서 200명에게 실증 서비스를 진행한 후 107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을 통해 앱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은 일상위험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55.14%가 앱을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를 통해 확인한 K-가드에 대한 만족도는 정보가 4.1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심미성이 4.1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를 비장애인, 장애인, 고령자 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한 사용성 평가에서는 주로 고령자 그룹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낮게 나타났고, 이외의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애포괄적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약자들의 요구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안전약자를 포함한 일반 시민의 생활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생활안전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앱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안전약자 맞춤형 생활안...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안전약자를 포함한 일반 시민의 생활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생활안전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앱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안전약자 맞춤형 생활안전 정보서비스 모형을 실제 생활안전예방을 위한 정보서비스 플랫폼에 적용하여, 이를 활용한 대국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대구광역시 서구지역에서 200명에게 실증 서비스를 진행한 후 107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을 통해 앱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은 일상위험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55.14%가 앱을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를 통해 확인한 K-가드에 대한 만족도는 정보가 4.1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심미성이 4.1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를 비장애인, 장애인, 고령자 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한 사용성 평가에서는 주로 고령자 그룹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낮게 나타났고, 이외의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애포괄적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약자들의 요구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해조 ; 길태수 ; 강은정, "한국판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의 혈압관리 앱의 질 평가에 대한 실행가능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5 (35): 41-51, 2018

      2 안지원 ; 박경옥,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3 소비자 안전국 위해정보팀, "주방내 안전사고 실태조사: 위해정보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2010

      4 성기환 ; 최일문, "주민 안전복지 실현을 위한 생활안전체계 구축 방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1 (11): 43-71, 2015

      5 이용직 ; 지석연 ; 김상화, "정보시스템을 통한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안전약자 요구사항 분석모델 연구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10 (10): 1-13, 2020

      6 김수동 ; 이사홍 ; 최길현 ; 정종수, "재난취약자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대상으로" 한국재난정보학회 13 (13): 155-162, 2017

      7 한승혜, "재난유형별 재난문자 발송의 적절성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6 (16): 1-14, 2020

      8 구효정 ; 주성빈, "재난약자를 위한 정보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83-92, 2018

      9 유지영 ; 오충원,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의 코로나19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1-22, 2020

      10 김명엽, "재난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입법적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49) : 3-27, 2021

      1 장해조 ; 길태수 ; 강은정, "한국판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의 혈압관리 앱의 질 평가에 대한 실행가능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5 (35): 41-51, 2018

      2 안지원 ; 박경옥,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3 소비자 안전국 위해정보팀, "주방내 안전사고 실태조사: 위해정보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2010

      4 성기환 ; 최일문, "주민 안전복지 실현을 위한 생활안전체계 구축 방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1 (11): 43-71, 2015

      5 이용직 ; 지석연 ; 김상화, "정보시스템을 통한 생활안전 위험의 예방·대응을 위한 안전약자 요구사항 분석모델 연구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10 (10): 1-13, 2020

      6 김수동 ; 이사홍 ; 최길현 ; 정종수, "재난취약자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대상으로" 한국재난정보학회 13 (13): 155-162, 2017

      7 한승혜, "재난유형별 재난문자 발송의 적절성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6 (16): 1-14, 2020

      8 구효정 ; 주성빈, "재난약자를 위한 정보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83-92, 2018

      9 유지영 ; 오충원,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의 코로나19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1-22, 2020

      10 김명엽, "재난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입법적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49) : 3-27, 2021

      11 이동섭 ; 권보라 ; 김병식, "재난안전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화 연구" 한국방재학회 19 (19): 75-83, 2019

      12 배대식, "안전한 캠퍼스 구현을 위한 생활안전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 구축방안: 미국 주요 대학의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를 중심으로"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5 (5): 27-43, 2009

      13 이용직 ; 이춘엽 ; 지석연 ; 김상화, "안전약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체계 및 접근성 프로파일 연구: 생활안전 예방 및 대응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11 (11): 43-55, 2021

      14 나대철 ;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고등학생의 이러닝 이용실태와 만족도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25, 2009

      15 이창길,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7 (7): 23-42, 2011

      16 박진혁 ; 박혜연 ; 박지혁, "라이프 스타일 관리 앱의 질적 평가: 한국판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를 활용하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4 (14): 134-141, 2020

      17 신동희 ; 김용문, "국내 재난관련 공공 앱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44-656, 2014

      18 황우석 ; 표경수,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7 (27): 80-90, 2022

      19 이재은 ; 유현정,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분류와 운영 방안 모색"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3 (3): 1-17, 2007

      20 Ko, K. K. H.,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mobile app rating scale(MARS)for apps targeting disease management" 28 : 14604582221091975-, 2022

      21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report on the digital devid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1

      22 Rasche, P., "Satisfying product features of a fall prevention smartphone app and potential users' willingness to pay : Web-based survey among older adults" 6 (6): e75-, 2018

      23 Hyun, S. H., "Problems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its efficiency" 10 (10): 39-56, 2015

      24 Stoyanov, S. R., "Mobile app rating scale : A new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health mobile apps" 3 (3): e27-, 2015

      25 EUROPA Major Hazards Agreement, "Major hazard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 toolkit for good practice"

      26 Lee, C. 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gnitive training applica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Dongshin University 2022

      27 Choe, S. J., "Analysis of emergency alert services and systems" 14 (14): 5-15, 2009

      28 Jeong, J. H.,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for the elderly" The Korean Institute of Broadcast and Media Engineers 223-224, 2020

      29 Smith, E. M.,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social and community activities for wheelchair users" 11 (11): 361-374, 2016

      30 Kailes, J. I., "A function-based framework for emergency management and planning" 17 (17): 230-237,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