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환경수정을 통한 안전 위험요인 감소가 노인의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afety Risk Factor Reduction through Home Modification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in the Elderly : Focusing on Community Care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1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through home modification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Methods :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127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d in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received community care services, who had the conditions to receive home modification servic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tudy period was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1, and the evaluation tool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fall risk residential environment assessment (HOME FAST)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blem checklist to identify safety risk factors in the home, and the subject's func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List (WHODAS 2.0)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disabilit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s desire, and the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re-evaluation.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of the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all risk environment factors had a relatively higher impact tha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improved in all areas (p<.001), and among them, Life activities, Mobility and Participation showed the greatest change in order.
      Conclusion :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to meet the subject's needs, fall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future, by continuing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in the community care project,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all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disabled and children living in the community, participate in activities on their own to live a self-directed life. Efforts are needed to nurture experts, collaborate, and expand service support.
      번역하기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through home modification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Methods :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127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through home modification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Methods :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127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d in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received community care services, who had the conditions to receive home modification servic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tudy period was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1, and the evaluation tool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fall risk residential environment assessment (HOME FAST)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blem checklist to identify safety risk factors in the home, and the subject's func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List (WHODAS 2.0)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disabilit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s desire, and the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re-evaluation.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of the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all risk environment factors had a relatively higher impact tha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improved in all areas (p<.001), and among them, Life activities, Mobility and Participation showed the greatest change in order.
      Conclusion :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to meet the subject's needs, fall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future, by continuing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in the community care project,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all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disabled and children living in the community, participate in activities on their own to live a self-directed life. Efforts are needed to nurture experts, collaborate, and expand service sup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수정을 통한 노인의 안전 위험요인 감소가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서비스를 받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가정환경수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진 127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였으며, 평가도구는 가정 내 안전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글판 낙상 위험주거환경 평가(HOME FAST)와 주거환경문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목록(WHODAS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가정환경수정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재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보다는 낙상 위험환경 요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차이 결과에서는 낙상위험환경과 주거환경 문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기능장애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향상되었는데(p<.001), 그중에서도 돌아다니기(8.74), 참여하기(8.11), 일상생활 활동(4.10) 영역 순으로 큰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 대상자의 욕구에 맞는 가정환경수정을 통해 낙상 및 주거환경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기능장애수준의 변화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사업으로 영양, 운동, 돌봄 서비스 등 개인의 상태 개선뿐 아니라 가정환경수정은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추후 맞춤형 가정환경수정 서비스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수정을 통한 노인의 안전 위험요인 감소가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고 지역사회 통합...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수정을 통한 노인의 안전 위험요인 감소가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서비스를 받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가정환경수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진 127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였으며, 평가도구는 가정 내 안전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글판 낙상 위험주거환경 평가(HOME FAST)와 주거환경문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목록(WHODAS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가정환경수정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재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보다는 낙상 위험환경 요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차이 결과에서는 낙상위험환경과 주거환경 문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기능장애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향상되었는데(p<.001), 그중에서도 돌아다니기(8.74), 참여하기(8.11), 일상생활 활동(4.10) 영역 순으로 큰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 대상자의 욕구에 맞는 가정환경수정을 통해 낙상 및 주거환경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기능장애수준의 변화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사업으로 영양, 운동, 돌봄 서비스 등 개인의 상태 개선뿐 아니라 가정환경수정은 대상자의 기능장애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추후 맞춤형 가정환경수정 서비스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유미 ; 조선영, "한글판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의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 연구"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8 (8): 77-92, 2019

      2 박영주 ; 이춘엽 ; 지석연 ; 박강현 ; 김희정,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103-113, 2019

      3 김희걸 ; 남혜경,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실태조사 –보건소 방문보건사업 대상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528-539, 2015

      4 조예지 ; 유두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6 (26): 129-138, 2018

      5 이광수 ; 박수빈, "지속적인 거주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 (20): 123-132, 2009

      6 김승연 ; 김세림 ; 이진석,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09-133, 2013

      7 조예지 ; 김희, "작업기반의 가정환경 수정 및 보조도구 제공 중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가정 내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6 (26): 79-90, 2018

      8 한상우, "맞춤형 주거환경수정을 이용한 노인의 건강상태 차이비교 분석: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76-184, 2021

      9 이연숙 ; 박지선 ; 이학성 ; 김윤수, "농촌거주 장애인 여성독거노인의 맞춤형 주택개조안 모색"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71-80, 2017

      10 박은주 ; 권현수,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59-81, 2020

      1 주유미 ; 조선영, "한글판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의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 연구"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8 (8): 77-92, 2019

      2 박영주 ; 이춘엽 ; 지석연 ; 박강현 ; 김희정,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103-113, 2019

      3 김희걸 ; 남혜경,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실태조사 –보건소 방문보건사업 대상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528-539, 2015

      4 조예지 ; 유두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6 (26): 129-138, 2018

      5 이광수 ; 박수빈, "지속적인 거주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 (20): 123-132, 2009

      6 김승연 ; 김세림 ; 이진석,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09-133, 2013

      7 조예지 ; 김희, "작업기반의 가정환경 수정 및 보조도구 제공 중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가정 내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6 (26): 79-90, 2018

      8 한상우, "맞춤형 주거환경수정을 이용한 노인의 건강상태 차이비교 분석: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76-184, 2021

      9 이연숙 ; 박지선 ; 이학성 ; 김윤수, "농촌거주 장애인 여성독거노인의 맞춤형 주택개조안 모색"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71-80, 2017

      10 박은주 ; 권현수,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59-81, 2020

      11 홍소영,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9 (9): 11-19, 2019

      12 권오정 ; 김서연 ; 이용민, "국내 노인 주택개조 선행연구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0 (30): 44-54, 2021

      13 박상미 ; 박지혁 ; 정민예, "고령자를 위한 국내 가정환경수정 연구 경향 분석: 고령자의 정주성 도모 방안으로서의 가정환경수정" 대한작업치료학회 28 (28): 1-14, 2020

      14 Jo, H., "The influence of home modification on ADL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environment" 5 (5): 1-7, 2013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seniors"

      1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nior citizen total rate"

      17 Stark, S., "Removing environmental barriers in the home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mproves occupational performance" 24 (24): 32-40, 2008

      18 Wilcock, A. A., "Reflections on doing, being and becoming" 65 (65): 248-256, 1998

      19 Rostad, W. L., "Reducing safety hazards in the home through the use of an evidence-based parenting program" 26 (26): 2602-2609, 2017

      20 Steinman, B. A., "Outcome analysis of the InSTEP home modification component Symposium"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1

      21 Emlet, C. A., "In-home assessment of older adults :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14 (14): 735-, 1996

      22 Weeks, A. L., "Home modification assessments : Clinical utility and treatment context" 28 (28): 396-409, 2010

      23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Home improvement manual for elderly households (For Professionals)"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and disability measurement WHO disability assessment list manual"

      25 Ainsworth, E., "An occupational therapist's guide to home modification practice" Slack Incorporated 2011

      26 Cumming, R. G., "Adher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 recommendations for home modifications for falls prevention" 55 (55): 641-64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