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말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과 사회운동 = Movement for Regaining National Sovereignty and Social Movement at Sejong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the Ganjae school was formed at Sejong area. Ganjae, Jeon Woo did educational activities in Chung-cheong-do, and Sejong area was the center of the Ganjae school. the Ganjae school produced many men of letters and tend...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the Ganjae school was formed at Sejong area. Ganjae, Jeon Woo did educational activities in Chung-cheong-do, and Sejong area was the center of the Ganjae school. the Ganjae school produced many men of letters and tended to focus on pursuit of study rather than raising an army, so Confucian scholars at Sejong area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ar of righteous army. All the Confucian scholars c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Ganjae school, but formation of the Ganjae school was one of the reason why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were inactive. Jang, Jae Hak, Jang, Jae Kyu, and Jang, Hwa Jin, some of the Ganjae school led rejection census registration and tax payment after Japans’ colonization of Joseon. It was the will of anti-Japan of the Ganjae school at Sejong area.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was the central par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t Sejong. The Kiyang school, Il-eo school, Baedal school, Daedong school, Gwangdong school, Gwangdong cheuk-lyang school were established at Sejong area, and the Baedal school and Daedong school were the representative.
      In 1908, The Baedal school was established, and turned to Yeonki public primary school, the first public primary school at Sejong area in 1912. The Daedong school was established at Jeonui in 1908. Founders of the Daedong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Daedong hakhoe, and established Jeonui branch of Daedong Hak-hoe. When they established Jeon-ui branch of Daedong hakhoe, they also established the Daedong school, and instructed the science of law at the Daedong jeonmun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Daedong Hak-ho.
      At Sejong area, Yeonki cheong nyeon hoe and Kumnam cheong nyeon hoewere organized and led youth movement. Compared to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1920s, however, it was very inactive. Futhermore, the two organizations were not developed to revolutionary stage, but only conducted cultural movements.
      At Sejong area, the Jochiwon labor union was organized, but was inactive. Also, Bakjeongjaesa and workers at Jochiwon station struck, but the strike did not expand to joint strike of workers at Sejong area. It was due to lack of revolutionary groups at Sejong area. There was no group of men advocating a particular doctrine of ideology, and so-called Sam-chong related groups at Sejong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종지역은 한말 간재학파가 형성된 곳이다. 艮齋 田愚는 충청도를 중심으로강학활동을 전개했고, 세종지역에서는 다수의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세종지역 유림들은 의병전쟁에 적극적으로...

      세종지역은 한말 간재학파가 형성된 곳이다. 艮齋 田愚는 충청도를 중심으로강학활동을 전개했고, 세종지역에서는 다수의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세종지역 유림들은 의병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간재학파가 擧兵보다는 講學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세종지역 유림을 모두 간재학파로 볼 수는 없으나 간재학파의 형성은세종지역에서 의병전쟁이 활발하지 못했던 요인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세종지역문인들은 한일강제병합 후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세종지역 계몽운동은 사립학교 설립운동이 중심이었다. 세종에서는 기양학교·일어학교·배달학교·대동학교·광동학교·광동측량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세종지역 대표적 사립학교는 배달학교와 대동학교였다. 배달학교는 1904년 연기군 남면에 설립된 기양학교를 계승해 1908년 설립되었으며, 1912년 연기공립보통학교로 인가를받으면서 세종지역 최초의 공립보통학교가 되었다. 대동학교는 1908년 전의에서 설립되었다. 대동학교 설립주체들은 대동학회에 참여하고 있었고, 대동학회 전의군지회를 설립한 이들이었다. 이들은 전의군지회를 설립하는 시점에 대동학교를 설립하고 법률학을 중심으로 교육운동을 벌였다.
      세종지역에서는 연기청년회와 금남청년회가 조직되어 청년운동을 전개했다. 두청년단체는 혁신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문화운동을 전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세종지역에서는 조치원노동조합이 결성되었으나 노동조합차원의 활동은 전개되지않았고 백정제사와 조치원역 화물운송 노동자들이 파업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들의파업은 세종지역 노동자들의 연대파업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일회성 파업에 머물렀다. 이러한 원인은 세종지역에서 혁신세력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세종에서는 사상단체가 조직되지 않았으며 소위 3총(청년·농민·노동총동맹)과 관련된 단체도 조직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호, "호운최근묵교수정년기념논총" 2003

      2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3 김상기, "한말 일제하 內浦지역 畿湖學脈의 형성" 한국사상사학회 (22) : 369-404, 2004

      4 김상기, "한말 세종지역 의병의 항일투쟁" 호서사학회 (90) : 203-228, 2019

      5 김형목, "충남지방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5) : 151-187, 2010

      6 오석민, "철도도시 조치원의 역사와 장시" 세종시·국립민속박물관 2016

      7 지수걸, "일제하 충남 조치원 유지, 맹의섭(1890~?)의 ‘유지기반’과 ‘유지정치’" 웅진사학회 (3·4) : 1999

      8 최창희, "연기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세종향토사연구회 2019

      9 연기군지편찬위원회, "연기군지" 연기군 1976

      10 최창희, "부강포구의 뱃길 철도 그리고 상인" 세종시·국립민속박물관 2016

      1 김진호, "호운최근묵교수정년기념논총" 2003

      2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3 김상기, "한말 일제하 內浦지역 畿湖學脈의 형성" 한국사상사학회 (22) : 369-404, 2004

      4 김상기, "한말 세종지역 의병의 항일투쟁" 호서사학회 (90) : 203-228, 2019

      5 김형목, "충남지방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5) : 151-187, 2010

      6 오석민, "철도도시 조치원의 역사와 장시" 세종시·국립민속박물관 2016

      7 지수걸, "일제하 충남 조치원 유지, 맹의섭(1890~?)의 ‘유지기반’과 ‘유지정치’" 웅진사학회 (3·4) : 1999

      8 최창희, "연기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세종향토사연구회 2019

      9 연기군지편찬위원회, "연기군지" 연기군 1976

      10 최창희, "부강포구의 뱃길 철도 그리고 상인" 세종시·국립민속박물관 2016

      11 허종, "반민특위 충청북도 조사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44) : 222-256, 2008

      12 이연숙, "동족마을의 서당 설립과 근대적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37) : 105-140, 2006

      13 김형목, "대한제국기 충청지역 근대교육운동" 선인 2016

      14 박학래, "艮齋學派의 學統과 사상적 특징" 한국유교학회 (28) : 2007

      15 서종태, "艮齋 田愚의 충청도 중심강학 활동에 대한 연구" 역사문화학회 20 (20): 133-159, 2017

      16 박민영, "敬菴 郭漢紹의 생애와 항일투쟁 - 崔益鉉 擧義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74) : 66-97, 2015

      17 허종, "1920년대 충남지역의 청년운동 - 공주․논산․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5) : 139-17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