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윌리엄 에임스(William Ames: 1576-1633)의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764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72 p. : 차트; 26cm

      • 일반주기명

        국문 및 영문 초록 수록
        총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안인섭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윌리엄 에임스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교회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주요하게 다루어져왔던 논쟁 중의 하나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관한 교리였다.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하여 칼빈과 같은 종교개혁자들은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은혜에만 공로를 두었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와 의지에 공로를 두려고 하는 시도들은 교회 역사 속에서 계속 있어 왔다.
      윌리엄 에임스는 청교도 신학자이면서 네덜란드에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을 연 인물이다. 당시 네덜란드는 개혁주의 신학이 뿌리를 내리는데 성공하였지만 동시에 아르미니우스에 의해 촉발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논의에 격렬한 전장터이기도 했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의 유효성을 부인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의 주장들에 대항하여 인간의 구원에 대한 공로가 오직 하나님께만 돌려지는데 헌신하였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있어서 개혁주의 신학의 연속성 위에 있었다. 인간의 전적 타락으로 인해 구원은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로만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단독적인 사역임을 강조하였다. 그에게 하나님의 은혜는 택하신 자를 반드시 부르셔서 구원하시는 유효하고 불가항력적인 은혜이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성품에서 비롯된 하나님의 유효성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유효성이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을 이루고 보증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하나님의 택하심은 인간의 선택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하나님의 유효성이 불가항력적인 은혜로 인한 중생과 칭의를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은혜의 유효성이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인간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는 아르미니우스의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또한 하나님의 예정에 인간의 의지와 선택, 행위가 개입할 여지를 두는 ‘예지된 믿음’과 ‘중간지식’의 개념을 철저히 거부하였다.
      에임스는 실천적인 신학자로서 신학과 삶의 일치, 거룩한 순종을 강조한다. 그러나 신앙의 핵심주체를 이성이 아닌 의지라고 보았던 에임스의 주장은 이성을 강조하는 당시의 신학 풍토 속에서 많은 오해와 공격을 받았다. 신앙에 있어서 의지를 강조한 에임스의 주장은 이해의 영역을 무시하거나 간과한 것이 아니다. 그는 신앙을 이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만이 아니라 인간의 전인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로 보았으며 이것은 에임스만의 독특한 주장이 아니라 개혁주의 신학이 줄곧 견지해오던 입장이었다.
      윌리엄 에임스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대한 성경적이고 건강한 균형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이 균형 속에서 인간의 의지는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나며 거룩한 삶으로 나아가게 된다.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영광을 조금도 훼손하지 않고, 은혜를 원천으로 하여 하나님을 향한 순종이 이루어진다.
      윌리엄 에임스의 실천적인 신학은 삶이 실종되어가는 한국 교회에 삶을 회복하는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윌리엄 에임스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교회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주요하게 다루어져왔던 논쟁 중의 하나가 하나님의 은...

      본 연구는 윌리엄 에임스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교회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주요하게 다루어져왔던 논쟁 중의 하나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관한 교리였다.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하여 칼빈과 같은 종교개혁자들은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은혜에만 공로를 두었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와 의지에 공로를 두려고 하는 시도들은 교회 역사 속에서 계속 있어 왔다.
      윌리엄 에임스는 청교도 신학자이면서 네덜란드에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을 연 인물이다. 당시 네덜란드는 개혁주의 신학이 뿌리를 내리는데 성공하였지만 동시에 아르미니우스에 의해 촉발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논의에 격렬한 전장터이기도 했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의 유효성을 부인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의 주장들에 대항하여 인간의 구원에 대한 공로가 오직 하나님께만 돌려지는데 헌신하였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있어서 개혁주의 신학의 연속성 위에 있었다. 인간의 전적 타락으로 인해 구원은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로만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단독적인 사역임을 강조하였다. 그에게 하나님의 은혜는 택하신 자를 반드시 부르셔서 구원하시는 유효하고 불가항력적인 은혜이다.
      에임스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성품에서 비롯된 하나님의 유효성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유효성이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을 이루고 보증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하나님의 택하심은 인간의 선택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하나님의 유효성이 불가항력적인 은혜로 인한 중생과 칭의를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은혜의 유효성이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인간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는 아르미니우스의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또한 하나님의 예정에 인간의 의지와 선택, 행위가 개입할 여지를 두는 ‘예지된 믿음’과 ‘중간지식’의 개념을 철저히 거부하였다.
      에임스는 실천적인 신학자로서 신학과 삶의 일치, 거룩한 순종을 강조한다. 그러나 신앙의 핵심주체를 이성이 아닌 의지라고 보았던 에임스의 주장은 이성을 강조하는 당시의 신학 풍토 속에서 많은 오해와 공격을 받았다. 신앙에 있어서 의지를 강조한 에임스의 주장은 이해의 영역을 무시하거나 간과한 것이 아니다. 그는 신앙을 이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만이 아니라 인간의 전인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로 보았으며 이것은 에임스만의 독특한 주장이 아니라 개혁주의 신학이 줄곧 견지해오던 입장이었다.
      윌리엄 에임스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대한 성경적이고 건강한 균형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이 균형 속에서 인간의 의지는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나며 거룩한 삶으로 나아가게 된다.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영광을 조금도 훼손하지 않고, 은혜를 원천으로 하여 하나님을 향한 순종이 이루어진다.
      윌리엄 에임스의 실천적인 신학은 삶이 실종되어가는 한국 교회에 삶을 회복하는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윌리엄 에임스에 대한 연구 현황 2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윌리엄 에임스에 대한 연구 현황 2
      • 1) 국외연구 2
      • 2) 국내연구 3
      • 3. 연구 방법 및 범위 5
      • II.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에 관한 사상적 흐름 6
      • 1. 펠라기우스 6
      • 1) 인간의 본성과 죄에 대한 견해 6
      • (1) 타락 전 인간의 본성 6
      • (2) 죄와 타락의 결과 6
      • 2)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7
      • (1) 하나님의 은혜 7
      • (2) 자유의지 8
      • 2. 아우구스티누스 9
      • 1) 인간의 본성과 죄에 대한 견해 9
      • (1) 타락 전 인간의 본성 9
      • (2) 죄와 타락의 결과 9
      • 2)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11
      • (1) 하나님의 은혜 11
      • (2) 자유의지 12
      • 3. 칼빈 14
      • 1) 인간의 본성과 죄에 대한 견해 14
      • (1) 타락 전 인간의 본성 14
      • (2) 죄와 타락의 결과 14
      • 2)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16
      • (1) 하나님의 은혜 16
      • (2) 예정론 17
      • (3) 효과적인 부르심 18
      • (4) 그리스도와 연합 20
      • 4. 소결 21
      • III. 윌리엄 에임스(William Ames: 1576-1633)의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23
      • 1. 시대적 상황 23
      • 1) 영국의 정치적 상황 23
      • (1)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영국(1533-1603) 23
      • (2) 제임스 1세 시대의 영국(1566-1635) 24
      • 2) 네덜란드의 정치적 상황 25
      • (1) 80년 전쟁(1568-1648) 25
      • (2) 북부 네덜란드의 7개주 공화국 출범(1588) 26
      • 3) 아르미니우스 논쟁 27
      • (1) 아르미니우스 논쟁의 배경 27
      • ① 아르미니우스 27
      • ② 도르트총회(1618-19) 28
      • (2) 아르미니우스의 사상 29
      • ① 하나님의 은혜 29
      • a) 가항력적인 은혜 30
      • b) 도구적인 원인 32
      • ② 신인협력 32
      • a) 아르미니우스의 예정론 32
      • b) 중간지식 34
      • 2. 윌리엄 에임스의 생애와 사상 34
      • 1) 생애 34
      • 2) 에임스의 사상 36
      • 3. 에임스 신학에 대한 논의 38
      • 1) 에임스는 개혁파 입장에서 벗어났는가? 38
      • 2) 에임스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인가? 40
      • 4. 『신학의 정수』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42
      • 1) 『신학의 정수』의 분석 42
      • 2) 하나님의 유효성 43
      • (1) 하나님의 의지의 전능성 43
      • (2) 하나님의 지식의 전능성 43
      • (3) 하나님의 의지의 자유성 44
      • 3) 인간의 본성과 죄에 대한 견해 45
      • (1) 타락 전 인간의 본성 45
      • (2) 죄와 타락의 결과 46
      • ① 원죄 47
      • ② 자범죄 47
      • ③ 죄의 확산 48
      • 4)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49
      • (1) 구속과 구속의 적용 49
      • ① 그리스도의 구속 49
      • ② 구속의 적용 50
      • (2) 예정 51
      • (3) 부르심 53
      • (4) 칭의 56
      • (5) 성화 57
      • 5) 하나님의 의지에서 힘을 얻은 인간의 의지 58
      • (1) 하나님께 도달하는 전인적 믿음 58
      • (2) 신앙의 주체로서의 의지 59
      • 5. 소결 62
      • Ⅳ. 결론 65
      • 참고문헌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