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조직 목적과 활동 = Organizational Purpose and Activities of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8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Far Eastern Committee of the Young Korean Academy, organized by Ahn Chang-ho in Shanghai. The previous research regar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as identical to the ‘suyang(修...

      This paper examined the Far Eastern Committee of the Young Korean Academy, organized by Ahn Chang-ho in Shanghai. The previous research regar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as identical to the ‘suyang(修養)’ movement by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As a result, it was hard to clear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carried out by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In response, this paper distinguished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from Suyangdongmaenghoe(修養同盟會), which played a role as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and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of Young Korean Academy, to re-spotligh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Firs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gion referred by “Far East” and organized how the American branch perceived “Far East”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organizing Far Eastern Committee.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the process of separating “Domestic Area” from Far Eastern Committee since 1924 in order to distinguish the activities of Far Eastern Committee and Suyangdongmaenghoe, which played a role as the domestic branch of a Young Korean Academy since 1924.
      Secondly, this paper focused on the point that “Domestic Area” was separated from the scope of Far Eastern Committee since 1924 and clarified the publisher of Dongkwang(東光) published in Korea in 1926. This paper confirmed that Dongkwang magazine was published by Suyangdonguhoe(修養同友會) to show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the two organizations.
      Lastly, this paper looked through the efforts made by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to mainta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lost its power after the meeting of national representatives in 1923,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planned a new cabinet to mainta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1926,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organized Association for Supporti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led the organization of a revolutionary party to assemble the independence movement pow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안창호가 1920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에 관하여 서술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을 미주 흥사단의 수양운동과 동일한 ...

      본 논문은 안창호가 1920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에 관하여 서술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을 미주 흥사단의 수양운동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했다. 그 결과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를 미주 흥사단 및 흥사단 국내지부 역할을 했던 수양동맹회와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첫 번째로 원동임시위원부의 ‘원동(遠東)’이 지칭하는 지역을 알아보고, 미주에서 ‘원동’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정리함으로써 원동임시위원부의 조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1924년 이후로 원동임시위원부의 관할 범위에서 ‘국내’가 분리되는 과정을 정리함으로써 1924년 이후 흥사단 국내지부 역할을 했던 수양동맹회와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활동을 구분 지었다.
      두 번째로 1924년 이후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관할 범위에서 ‘국내’가 분리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1926년 국내에서 발간된 잡지 『동광(東光)』의 발간 주체를 명확히 했다. 『동광(東光)』의 발간 주체가 원동임시위원부가 아닌 수양동우회라는 점을 확인하여 두 단체의 활동을 구분했다.
      마지막으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지를 위해 노력한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 성격을 드러내고자 했다.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는 1923년 국민대표회의 이후 권위가 하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유지시키고자 새로운 내각을 조각했다. 1926년 이후에는 임시정부경제후원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 세력을 결집시키고자 ‘일대혁명당(一大革命黨)’ 조직에 앞장섰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만규, "흥사단의 이념과 활동" 9 : 2003

      2 조지숙, "흥사단의 1차 약법개정 논의와 운동노선" 한국근현대사학회 (87) : 289-322, 2018

      3 "흥사단보"

      4 이만열, "흥사단과 민족운동" 9 : 2003

      5 박수현, "차리석 : 임시정부와 흥사단을 이끈 독립운동계의 재상" 역사공간 2015

      6 이현주, "일제하 (수양)동우회의 민족운동론과 신간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85-209, 2003

      7 이명화, "이강의 독립운동과 안중근의거"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291-331, 2009

      8 "신한민보"

      9 조배원, "수양동우회 연구 : 조직 변화와 운동론을 중심으로" 6 : 2000

      1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 박만규, "흥사단의 이념과 활동" 9 : 2003

      2 조지숙, "흥사단의 1차 약법개정 논의와 운동노선" 한국근현대사학회 (87) : 289-322, 2018

      3 "흥사단보"

      4 이만열, "흥사단과 민족운동" 9 : 2003

      5 박수현, "차리석 : 임시정부와 흥사단을 이끈 독립운동계의 재상" 역사공간 2015

      6 이현주, "일제하 (수양)동우회의 민족운동론과 신간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85-209, 2003

      7 이명화, "이강의 독립운동과 안중근의거"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291-331, 2009

      8 "신한민보"

      9 조배원, "수양동우회 연구 : 조직 변화와 운동론을 중심으로" 6 : 2000

      1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1 송하연, "상해 임시정부의 安昌浩 지지 세력에 대한 재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91) : 39-61, 2019

      12 "동아일보"

      13 "동광"

      14 "독립신문"

      15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8권" 2000

      16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7권" 2000

      17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1권" 2000

      18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10권" 2000

      1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2" 2009

      20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4

      21 김은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전쟁의 해’ 선포와 국내에서의 군사적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3) : 141-177, 2020

      22 "기러기"

      23 김광재,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8

      24 "공립신보"

      25 국회도서관, "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編)" 1976

      26 이명화, "興士團遠東臨時委員部와 島山 安昌浩의 民族運動" 8 : 1994

      27 흥사단운동70년사편찬위원회, "興士團運動七十年史" 흥사단출판부 1986

      28 李明花, "興士團 遠東臨時委員部의 人的 構成과 그 性格" 한국근현대사학회 22 : 88-160, 2002

      29 "思想彙報"

      3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島山安昌浩資料集 3권" 1992

      3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島山安昌浩資料集 1권" 1990

      32 이명화, "島山 安昌浩의 獨立運動과 統一路線" 경인문화사 2002

      33 김희곤, "尹炳奭敎授華甲紀念韓國近代史論叢" 知識産業社 1990

      34 도산기념사업회, "安島山 全書(中)" 1990

      35 조범래, "再建 韓國獨立黨 硏究" 5 : 1991

      36 조범래, "上海 韓國獨立黨의 組織變遷과 活動에 대하여" 3 : 1989

      37 조규태, "1920년대 북경지역의 흥사단원과 민족운동" 대구사학회 142 : 133-172, 2021

      38 김상태, "1920~30년대 동우회‧흥업구락부 연구" 28 : 1992

      39 김도훈, "1910년 전후 미주지역 공립협회·대한인국민회의 민족운동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40 장석흥, "(임시정부 버팀목)차리석 평전" 역사공간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