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패킷모음과 경로설정패킷 발생빈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 기법 = Energy Saving Scheme using Packet Aggregation and Frequency of Path Setup Packe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11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는 모든 센서 노드들이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운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효율적으로 패킷 모음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싱크 노드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고, 그 결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싱크노드와의 홉 수에 따라 적절한 패킷 모음을 수행하는 계층별 패킷 모음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기법과 이동 싱크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경로 설정 패킷 발생 빈도를 고려한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절약 기법을 제안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두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과 비교하여 각각 56%와 70% 수준의 에너지 소모를 보여, 에너지 절약 면에서 기존의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번역하기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는 모든 센서 노드들이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운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는 모든 센서 노드들이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운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효율적으로 패킷 모음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싱크 노드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고, 그 결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싱크노드와의 홉 수에 따라 적절한 패킷 모음을 수행하는 계층별 패킷 모음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기법과 이동 싱크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경로 설정 패킷 발생 빈도를 고려한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절약 기법을 제안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두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과 비교하여 각각 56%와 70% 수준의 에너지 소모를 보여, 에너지 절약 면에서 기존의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nsor nodes in wireless network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lack of energy resource and network bandwidth.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extend lifetime of sensor network and enhance availability.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didn't perform optimal packet aggregation and didn’t consider the mobile sink node. Therefore, there exists inefficient energy consumption. As a result, lifetime of sensor network is decreased. In this paper, two schemes are proposed, hierarchical packet aggregation scheme and cluster based scheme considering frequency of path setup packe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s are excellent than other previous schemes in performance.
      번역하기

      Sensor nodes in wireless network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lack of energy resource and network bandwidth.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extend lifetime of sensor network and enhance availability.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didn't p...

      Sensor nodes in wireless network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lack of energy resource and network bandwidth.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extend lifetime of sensor network and enhance availability.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didn't perform optimal packet aggregation and didn’t consider the mobile sink node. Therefore, there exists inefficient energy consumption. As a result, lifetime of sensor network is decreased. In this paper, two schemes are proposed, hierarchical packet aggregation scheme and cluster based scheme considering frequency of path setup packe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s are excellent than other previous schemes in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2장 계층별 패킷 모음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기법 = 3
      • 제1절 서론 = 3
      • 제2절 기존 패킷 모음 기법의 특징과 문제점 = 4
      • 제3절 계층별 패킷 모음 기법 = 5
      • 제1장 서론 = 1
      • 제2장 계층별 패킷 모음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기법 = 3
      • 제1절 서론 = 3
      • 제2절 기존 패킷 모음 기법의 특징과 문제점 = 4
      • 제3절 계층별 패킷 모음 기법 = 5
      • 제1항 트리 구성 = 6
      • 제2항 센싱 데이터 전송 = 9
      • 제4절 성능 평가 = 9
      • 제1항 총 전송지연 = 10
      • 제2항 에너지 소모 = 11
      • 제5절 결론 = 13
      • 제3장 경로 설정 패킷 발생 빈도를 고려한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절약 기법 = 14
      • 제1절 서론 = 14
      • 제2절 기존 라우팅 기법의 특징과 문제점 = 15
      • 제1항 TTDD(Two-tier Data Dissemination) = 15
      • 제2항 CBPER(Cluster-based Power-Efficient Routing) = 16
      • 제3절 경로 설정 패킷 발생 빈도를 고려한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절약 기법 = 17
      • 제1항 헤더노드 선출 = 19
      • 제2항 데이터 공고(Data Announcement) = 20
      • 제3항 데이터 요청(Data Request) = 21
      • 제4항 데이터 전송(Data Forwarding) = 24
      • 제4절 성능 평가 = 24
      • 제5절 결론 = 30
      • 제4장 결론 = 31
      • Abstract = 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