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詩意圖를 통한 시대 문화의 발현 = Expressing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via Joseon’poem-Based Pain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65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창작된 詩를 화제로 하는 朝鮮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회화로 표현되며 나타내는 시대문화를 규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15세기부터 19세기의 조선시대 畵員과 문인화가들은 중국의 詩가 아닌 先人이 지은 시를 화제로 한 시의도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먼저 조선시대 학자인 趙光祖, 鄭汝昌, 李珥의 시를 그린 李澄의 <난죽병>,<화개현구장도>, 김홍도 등에 의해 그려진 <고산구곡도>등에선 조선성리학의 이념, 학통의 계승을 공고화하려는 당시 사대부들학문적 지향과 권력 의지 등을 밝힐 수 있다. 주문자들은 회화 제작으로 先賢의 가르침과 이와 연관된 학통의 맥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려했고 문학 작품과 더불어 시각적 표현을 통해 선현의 뜻을 존숭하고 잇는 매개체로 삼고자했다. 따라서 이징의 <난죽병>과 <화개현구장도>는 중국문학에 대한 축적된 소양과 인식이 회화 표현으로 전환되며 정여창의 시를 화제로 제작되는 목적을 더욱 명료하게 했다. 자연에 대한 기초적인 인지를 바탕으로 공감각적인 시구 표현에도 거침이 없었다. 또한 金弘道 등에 의해 그려진 <고산구곡시화병풍>은 다른 작품들과는 차별화된 화면 구성과 내용, 인용 시구 등의 배열 등으로 회화 제작의 의도를 충실하게 실현했다. 이징, 김홍도 등의 화가들에 의해 구현된 이러한 작품들은 조선 중, 후기의 주요 화풍을 구사하며, 주문자들의 의도를 화면에 반영했다.
      이어 이규보, 최치원, 박은, 이병연, 김명원등이 지은 시 중 유명 시구는 강세황, 정선, 이인상, 김홍도, 이인문, 신윤복 등 조선후기의 주요 화가들에 의해 화면에 옮겨졌다. 이러한 작품들은 당시 人口에 널리 膾炙되던 선인들의 시구로 修身의 의미를 담거나 자연의 풍광을 읊은 것이었다. 김홍도의 <渡江圖>를 통해 신분제 사회인 조선이 후기에 이르면 그 경계가 느슨해지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었고, 신윤복의 <월하정인도>를 통해 선인의 시구 한 줄의 詩情으로 조선 후기 도시문화의 한켠에 자리했던 삶의 은밀한 영역을 화면에 담아냈음을 알 수 있었다. 鄭敾의 <시화환상간>, <양천현아도>에서는 화가의 畵意가 문학의 抒情에 대응하는 새로운 양상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회화가 당시 유행했던 풍속화, 진경산수화의 유형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일이다. 이같은 양상은 중국의 유명시를 화제로 한자 문화권의 주요국에서 그려지던 시의도와는 차별화되는 조선만의 고유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주어진 틀에 우리의 시를 담아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문화로 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의도가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3국의 공통적 예술형태임을 전제할 때, 自國의 시를 그린 시의도는 동일한 양식의 문화형태이지만 그 소재의 차별화로 인해 창작자의 고유한 특성이 획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동일 문화권에서 이루어지는 동일한 형태의 예술 창작 행위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며 각국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을 내재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창작된 詩를 화제로 하는 朝鮮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회화로 표현되며 나타내는 시대문화를 규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15세기부터 19세기의 조선시대...

      이 글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창작된 詩를 화제로 하는 朝鮮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회화로 표현되며 나타내는 시대문화를 규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15세기부터 19세기의 조선시대 畵員과 문인화가들은 중국의 詩가 아닌 先人이 지은 시를 화제로 한 시의도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먼저 조선시대 학자인 趙光祖, 鄭汝昌, 李珥의 시를 그린 李澄의 <난죽병>,<화개현구장도>, 김홍도 등에 의해 그려진 <고산구곡도>등에선 조선성리학의 이념, 학통의 계승을 공고화하려는 당시 사대부들학문적 지향과 권력 의지 등을 밝힐 수 있다. 주문자들은 회화 제작으로 先賢의 가르침과 이와 연관된 학통의 맥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려했고 문학 작품과 더불어 시각적 표현을 통해 선현의 뜻을 존숭하고 잇는 매개체로 삼고자했다. 따라서 이징의 <난죽병>과 <화개현구장도>는 중국문학에 대한 축적된 소양과 인식이 회화 표현으로 전환되며 정여창의 시를 화제로 제작되는 목적을 더욱 명료하게 했다. 자연에 대한 기초적인 인지를 바탕으로 공감각적인 시구 표현에도 거침이 없었다. 또한 金弘道 등에 의해 그려진 <고산구곡시화병풍>은 다른 작품들과는 차별화된 화면 구성과 내용, 인용 시구 등의 배열 등으로 회화 제작의 의도를 충실하게 실현했다. 이징, 김홍도 등의 화가들에 의해 구현된 이러한 작품들은 조선 중, 후기의 주요 화풍을 구사하며, 주문자들의 의도를 화면에 반영했다.
      이어 이규보, 최치원, 박은, 이병연, 김명원등이 지은 시 중 유명 시구는 강세황, 정선, 이인상, 김홍도, 이인문, 신윤복 등 조선후기의 주요 화가들에 의해 화면에 옮겨졌다. 이러한 작품들은 당시 人口에 널리 膾炙되던 선인들의 시구로 修身의 의미를 담거나 자연의 풍광을 읊은 것이었다. 김홍도의 <渡江圖>를 통해 신분제 사회인 조선이 후기에 이르면 그 경계가 느슨해지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었고, 신윤복의 <월하정인도>를 통해 선인의 시구 한 줄의 詩情으로 조선 후기 도시문화의 한켠에 자리했던 삶의 은밀한 영역을 화면에 담아냈음을 알 수 있었다. 鄭敾의 <시화환상간>, <양천현아도>에서는 화가의 畵意가 문학의 抒情에 대응하는 새로운 양상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회화가 당시 유행했던 풍속화, 진경산수화의 유형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일이다. 이같은 양상은 중국의 유명시를 화제로 한자 문화권의 주요국에서 그려지던 시의도와는 차별화되는 조선만의 고유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주어진 틀에 우리의 시를 담아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문화로 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의도가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3국의 공통적 예술형태임을 전제할 때, 自國의 시를 그린 시의도는 동일한 양식의 문화형태이지만 그 소재의 차별화로 인해 창작자의 고유한 특성이 획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동일 문화권에서 이루어지는 동일한 형태의 예술 창작 행위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며 각국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을 내재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인희, "李澄의 詩意圖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12) : 103-124, 2011

      2 "해동잡록"

      3 이명우, "한국역대 한시선집" 집문당 2007

      4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8

      5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6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민주식, "조선시대 지식인의 미적 유토피아 - ' 무이구곡 (武夷九曲) ' 의 예술적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회 (26) : 23-51, 1999

      8 백인산, "조선시대 묵작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강명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 푸른역사 2002

      10 정우락, "일두 정여창의 학문과 문화공간으로서의 악양정과 남계서원" 경남문화연구원 (36) : 231-261, 2012

      1 조인희, "李澄의 詩意圖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12) : 103-124, 2011

      2 "해동잡록"

      3 이명우, "한국역대 한시선집" 집문당 2007

      4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8

      5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6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민주식, "조선시대 지식인의 미적 유토피아 - ' 무이구곡 (武夷九曲) ' 의 예술적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회 (26) : 23-51, 1999

      8 백인산, "조선시대 묵작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9 강명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 푸른역사 2002

      10 정우락, "일두 정여창의 학문과 문화공간으로서의 악양정과 남계서원" 경남문화연구원 (36) : 231-261, 2012

      11 "동문선 권19"

      12 "동국이상국집 부록"

      13 민족문화추진위원회, "대동야승" 1989

      14 최완수, "겸재 정선 2" 현암사 2009

      15 이동주, "韓國繪畵小史" 범우사 1996

      16 鄭蘊, "靜菴先生文集 附錄"

      17 崔笠, "簡易集"

      18 趙秀三, "秋齋紀異" 한겨레 출판사 2010

      19 윤진영, "朝鮮時代 九曲圖의 受容과 展開" 한국미술사학회 217·218 : 1998

      20 朴誾, "挹翠軒遺稿"

      21 金喬軒, "大東風雅" 右文館 1908

      22 안대회, "18세기의 노비 시인 정초부" 역사문제연구소 (94) : 361-390, 2011

      23 이규상, "18세기 조선인물지 : 幷世才彦錄" 창작과비평사 1997

      24 윤진영, "16세기 계회도에 나타난 산수양식의 변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 : 199-23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9 0.61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