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 간 자유 왕래가 가능한 두 국가의 선호 현상이 증가하면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통일 교육의 방향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남북 간 자유 왕래가 가능한 두 국가의 선호 현상이 증가하면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통일 교육의 방향성...
최근 남북 간 자유 왕래가 가능한 두 국가의 선호 현상이 증가하면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통일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데 목적을 둔다. 통일 교육은 정치 교육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주의적, 실용주의적, 평화주의적 관점을 균형 있게 수용하는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독일의 통일 경험과 교훈을 바탕으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통일 접근법, 시민 참여 교육, 포용적 수용성을 한국통일 교육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통일 교육의 방안으로는 민주시민 교육의 강화, 실용적 차원에서의 통일 논의, 남남 갈등으로 인한 정서적 양극화 해소 방안 등을 제안한다. 특히 심화되고 있는 남남 갈등과 정서적 양극화를 해소 하는데 통일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시각의 존중, 세대 간 갈등 완화, 공동체 의식 및 사회적 통합 강화, 시민 참여 활성화, 정서적 치유와 갈등 해소를 포함한 균형 잡힌 통일 교육은 양극화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reasing preference for two separate states with freedom of mov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diminishing the positive perception of reunif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aims to propose future dir...
The increasing preference for two separate states with freedom of mov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diminishing the positive perception of reunif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aims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it. Reunification education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balances nationalist, pragmatic, and pacifist perspective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political education. Drawing on the lessons and experiences of German reunification, Korea’s re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nefit from adopting a phased and systematic approach, expanding civic participation, and fostering inclusive acceptance. Proposed direction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include strengthen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ngaging in pragmatic discussions on reunification, and addressing emotional polarization resulting from domestic conflicts. Reunification educ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alleviating deepening domestic conflicts and emotional polarization. Balanced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encompasses respect for diverse perspectives, generational conflict resolution, community awareness, social integration, active civic participation, emotional healing, and conflict resolution can positively impact efforts to reduce polarization.
북한 ‘핵무력’ 위협의 총체적 접근 및 분석: 북한 ‘공화국핵무력정책법’ 상의 ‘핵무력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