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RE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러한 활동들이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하위 요소인 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적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28199
[아산] :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9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 교육과학과 상담심리 전공 , 2000. 2
1999
한국어
372.6261 판사항(4)
충청남도
iv, 88p. ; 26cm .
참고문헌: p. 30-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RE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러한 활동들이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하위 요소인 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적 자...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RE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러한 활동들이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하위 요소인 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O여고 2학년생 10명을 대상으로 총 12회의 RE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Self -Esteem Inventory)를 신종순(1990)이 번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C+를 사용하여 ANCOVA(공분산 분석)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E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전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긍정적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사회적, 가정적, 학교적 자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얻을 수는 없었다. 이것은 짧은 기간 상담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사려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 자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긍정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전체적인 향상은 있었으나, 일반적 자아를 제외한 사회적, 가정적, 학교적 자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얻을 수는 없었던 것은 한 달 남짓의 짧은 기간 상담 활동을 실시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여고생들의 정의적 특성이 단기간에 변화, 개선되기가 쉽지 않듯이, 성격적 특성인 자아존중감의 향상 또한 매우 힘든 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몇 년간 지속될 수 있는 학교 프로젝트를 통해 후속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함을 시사해 준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실제의 교실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등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RET group program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ir self-esteem and its sub-elements - self-esteem in general, in society, a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RET group program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ir self-esteem and its sub-elements - self-esteem in general, in society, at home and in school.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pplied the RET program to 10 students of OO high school over the course of 12 sessions and examined the effects.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is the Self-Esteem Inventory of Coopersmith(1967) translated into Korean by Shin Chong-soon(1990). To inspect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used the ANCOVA out of SPSS PC+.
This study has come to the conclusions that ; First, the effects of RET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proved to be significant and so the hypothesis is thought to be acceptable.
Second, in the sub-elements of self-esteem ―self-esteem in society, at home and in school―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s may be because the counseling period was short. Nevertheles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eneral self-esteem.
It can be assumed from these results that the reason why improvement was found in total self-esteem but little difference was found in their self-esteem in society, at home and in school is that the counseling period was a little longer than one month. As the emotional features of high school girls are not easily changed and improved in a short period. Self-esteem, which is a character trait, cannot not be easily improved in such a short time. Therefore, we need more successive studies to improve students' self-esteem through such projects as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tudents who have low self-esteem for some years.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s some perspectives for teach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since the program has been practised in a real classroom setting and that it proved helpful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