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취집단 수준별 전년도 학업성취와 학습풍토 및 학교풍토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차별적 특징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59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s personal factor, and school factor(i.e., learning climate, school climate)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throughout HLM, and to find out how these effects differ among four groups based on achievement levels. Results showed that previous year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tudent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which varied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group. The learning climate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nd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factor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group.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climate tended to decrease as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have basic academic ability showed that the effect of learning climate was limited as the student with low achievement. Also, in the group of excellent, normal, and basic educa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learning, whereas in the group with low basic education, low learning climate fixed the learning fail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generated such as simplifying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nd establishing a follow-up assessment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s personal factor, and school factor(i.e., learning climate, school climate)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throughout HLM, and to find out how these effects differ among four 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s personal factor, and school factor(i.e., learning climate, school climate)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throughout HLM, and to find out how these effects differ among four groups based on achievement levels. Results showed that previous year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tudent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which varied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group. The learning climate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nd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factor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group.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climate tended to decrease as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have basic academic ability showed that the effect of learning climate was limited as the student with low achievement. Also, in the group of excellent, normal, and basic educa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learning, whereas in the group with low basic education, low learning climate fixed the learning fail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generated such as simplifying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nd establishing a follow-up assessment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권, "현대교육평가론" 교육과학사 1996

      2 양길석, "현 정부의 교육평가 정책의 진단과 전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중심으로" 26 (26): 81-103, 2010

      3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 초 중등 교육통계편"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5 이화진, "학습부진 학생 지도 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 지원 종합 계획(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6 허유성, "학습부진 프로그램, 수준별 이동수업 및 사교육이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27-353, 2009

      7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8 이현숙,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317-344, 2011

      9 김양분, "학교 교육의 실태 및 수준 분석: 일반계고등학교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9

      10 김태은,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05-521, 2012

      1 김호권, "현대교육평가론" 교육과학사 1996

      2 양길석, "현 정부의 교육평가 정책의 진단과 전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중심으로" 26 (26): 81-103, 2010

      3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 초 중등 교육통계편" 2015

      4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5 이화진, "학습부진 학생 지도 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 지원 종합 계획(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6 허유성, "학습부진 프로그램, 수준별 이동수업 및 사교육이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27-353, 2009

      7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8 이현숙,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317-344, 2011

      9 김양분, "학교 교육의 실태 및 수준 분석: 일반계고등학교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9

      10 김태은,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05-521, 2012

      11 권재기, "일반계 고등학교의 기초학력미달 변화에 따른 학교유형 분류 및 종단적 변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037-1066, 2013

      12 좋은교사운동, "배움찬찬이 연구 프로젝트 ‘학습부진과 학습장애, 그 대안을 제안한다’"

      13 이현숙,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477-506, 2013

      14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2012

      15 조난심, "기초학력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6 김순남, "기초학력 책임지도 책무성 논리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59-183, 2011

      17 허유성,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생태학적 삶 특성"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3-148, 2011

      18 김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교 학업성취 격차"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297-317, 2013

      19 교육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재구조화 방안 연구" 2014

      20 조금주, "교육학개론" 공동체출판사 2011

      21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14

      22 이상기, "교육평가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5 (5): 1-55, 1998

      23 교육과학기술부, "‘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24 Pozzoli, T., "The role of individual correlates and class norms in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 A multilevel analysis" 83 (83): 1917-1931, 2012

      25 Vaughn, S., "Special education research advances knowledge in education" 82 (82): 11-24, 2015

      26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27 Catts. H. W., "Early identification of reading disabilities within an RTI framework" 48 (48): 281-297, 2015

      28 Boscardin, C. K., "Early identification of reading difficulties using heterogeneous developmental trajectories" 100 (100): 192-208, 2008

      29 Beach, K. D., "Early Response-to-Intervention measures and criteria as predictors of reading disability in the beginning of third grade" 48 (48): 196-223, 2015

      30 교육부, "2017 특수교육통계"

      31 반재천, "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35-61, 2013

      32 정구향, "2002년 국가수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II):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