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법성분별론』의 법(dharma)과 법성(dharmatā) = Dharma & Dharmatā in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1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도불교에서 그 어떤 용어도 다르마(dharma)만큼 집중적으로 연구된 것이 없다. 하지만, 그만큼 일치하지 않는 것도 없다. 무엇보다 이 용어의 의미는 너무 포괄적이어서 한 가지로 확정하기...

      인도불교에서 그 어떤 용어도 다르마(dharma)만큼 집중적으로 연구된 것이 없다. 하지만, 그만큼 일치하지 않는 것도 없다. 무엇보다 이 용어의 의미는 너무 포괄적이어서 한 가지로 확정하기가 쉽지 않다. 여러가지 문헌들 가운데 다양한 맥락 속에 등장하기 때문이다. 불교에서 법의 의미 역시 붓다의 교설이나 궁극적인 진리, 개별적인 사물이나 현상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다.
      불교 문헌 가운데 법과 법성을 직접적으로 논의하고 그것을 논서의 제목으로 삼은 『법법성분별론』이 있다. 이 논서에서 법의 특징은 소취·능취와 소전·능전이라는 비존재의 현현, 이른바 허망분별로 정의된다. 반면에 법성의 특징은 그러한 현현이 사라진 진여로서 정의된다. 법성은 여러가지 현상계의 법들과 구분되지만, 인식되는 그 대상을 달리하는 것은 아니다. 대승경전에서 법성이라는 개념은 개개의 사물을 넘어서는 보편적인 관념, 즉 공상(共相)으로서 무상·고·무아 등을 표현하는 데 점차 유력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법법성분별론』에 나타나는 법성의 개념이 『중변분별론』의 공성이나 『유식삼십송』의 원성실성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것은 유식학파와의 깊은 영향 관계를 보여준다. 법과 윤회, 법성과 열반을 연결 짓는 논리가 『중론』의 구도와 일치한다는 점에서는 중관 논서와의 영향관계도 간과 할 수 없다.
      법과 법성을 분별하는 이 논서의 궁극적 의도가 법과 법성의 구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음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법법성분별론』의 교학적 위상은 중관과 유식의 영향 관계를 모두 고려할 때, 보다 온전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Indian Buddhism no term has been more extensively studied, but has generated a inconsistency than dharma. Above all the meaning of this term is so comprehensive that it is not easy to confirm it as one thing. Because it appears in different context...

      In Indian Buddhism no term has been more extensively studied, but has generated a inconsistency than dharma. Above all the meaning of this term is so comprehensive that it is not easy to confirm it as one thing. Because it appears in different contexts among various literature. The meaning of dharma in Buddhism also spans a wide range from Buddha's doctrine to ultimate truth and individual objects and phenomena.
      Among the Buddhist literature there is Dharmadharmatāvibhaṅga, which directly discusses dharma & dharmatā, and makes it the title of the text. In this text the dharma is defin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non-existence, namely untrue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dharmatā is defined as the disappearance of such a manifestation.
      The dharmatā is different from the dharmas in various phenomena, but it is not different on the object which is perceived.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dharmatā gradually became more prevalent in the Mahāyāna scriptures for the expression of universal ideas, namely sāmānyalakṣaṇa beyond individual objects, in expressing anityatā, duḥkhatā, nairātmyatā. The use of the concept of dharmatā in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 as a synonym for the sūnyatā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 and the pariniṣpanna- svabhāva in the Triṃśikāvijñaptibhāsya shows a deep influence with the Vijñānavād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 and saṃsāra, dharmatā and nirvāṇa is consistent with the composition in the Mūlamadhyamakakārikā, so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adhyamaka cannot be overlooke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ultimate intention of this text to distinguish between dharma & dharmatā does not end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dharma & dharmatā. Both are neither the same nor the different. The doctrinal status of Dharmadharmatāvibhaṅga would be able to establish itself more fully when considering both the relationship of Madhyamaka and Vijñānavād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長尾雅人, "중관과 유식" 동국대출판부 2005

      2 김재권, "인도불교사상사에서 유식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법과 법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0 : 59-82, 2017

      3 "섭대승론"

      4 "반야경"

      5 袴谷憲昭, "驅澤大學佛敎學部論集 5" 仏教学部研究室 170-186, 1974

      6 北野新太郎, "唯識思想におけるdharmaとdharmatāについて" 大正大学出版部 30 : 72-76, 2008

      7 勝呂信静, "仏教における法の研究, 平川彰博士還暦記念論集" 春秋社 1975

      8 金倉圓照, "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 1" 春秋社 1973

      9 平川彰, "『인도불교의 역사』 상" 민족사 1994

      10 Sylvain Lévi, "TrBh : Triṃśikāvijñaptibhāsyaṃ" Librairie ancienne honore champion 1940

      1 長尾雅人, "중관과 유식" 동국대출판부 2005

      2 김재권, "인도불교사상사에서 유식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법과 법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0 : 59-82, 2017

      3 "섭대승론"

      4 "반야경"

      5 袴谷憲昭, "驅澤大學佛敎學部論集 5" 仏教学部研究室 170-186, 1974

      6 北野新太郎, "唯識思想におけるdharmaとdharmatāについて" 大正大学出版部 30 : 72-76, 2008

      7 勝呂信静, "仏教における法の研究, 平川彰博士還暦記念論集" 春秋社 1975

      8 金倉圓照, "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 1" 春秋社 1973

      9 平川彰, "『인도불교의 역사』 상" 민족사 1994

      10 Sylvain Lévi, "TrBh : Triṃśikāvijñaptibhāsyaṃ" Librairie ancienne honore champion 1940

      11 Olivelle, "The Semantic History of Dharma the Middle and the Late Vedic periods" 32 : 491-511, 2004

      12 Josho Nozawa,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 and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vṛtti, Tibetan Texts, Edited and Collated, Based upon the Peking and Derge Editions" 印度學佛敎學論叢 1955

      13 Josho Nozawa,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 and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vṛtti, Tibetan Texts, Edited and Collated, Based upon the Peking and Derge Editions" 法藏館 1955

      14 "TD : 대정신수대장경"

      15 Johanes Bronkhost, "Some Use of Dharma i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32 : 733-750, 2004

      16 Mark Siderits, "Nāgārjuna's Middle way : Mūlamadhyamakakārikā" Wisdom Publications 2013

      17 松田和信, "Nirvikalpapraveśa再考:特に『法法性分別論』との關係について" 日本印度学仏教学会 45 (45): 154-160, 1996

      18 Jim Scott, "Maitreya's Distinguishing Phenomena and Pure Being with commentary by Mipham" Snow Lion 2004

      19 Scott, Jim, "Maitreya's Distinguishing Phenomena and Pure Being with commentary by Mipham" Snow Lion 2004

      20 Gajin Nagao, "MVBh : Madhyāntavibhāga-Bhāṣya" Suzuki Research Foundation 1964

      21 "MN : Majjhima-nikāya"

      22 Geiger, M., "Kleine Schriften zur Indologie und Buddhismuskunde" Franz Steiner 1973

      23 Halbfass, W., "India and Europe : An Essay in Understandi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24 Gethin, "He who sees dhamma sees dhammas" 32 : 513-542, 2004

      25 Collet Cox, "From category to ontology: the changing role of dharma in sarvāstivāda abhidharma" 32 : 543-597, 2004

      26 Dharmachakra Translation Committee, "Distinguishing Phenomena from Their Intrinsic Nature" Snow Lion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 1.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