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과 영국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안산시와 영국 레스터(Leicester)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3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안산시와 영국의 레스터시의 이주민의 구성은 상이하다. 안산시의 경우 주로 체류기간 종료 후 귀국해야 하는 외국인근로자가 이주민의 주를 이루는 상황이고, 레스터시의 경우 정주를 목적으로 이주해온 이주민의 경우가 다수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주의 유형과 이주민의 영구 정착 등의 맥락에 있어 차이를 두 도시는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안산시의 경우도 결혼이주민과 같이 점차적으로 정주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레스터시와 같은 정주하는 이주민의 비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레스터시의 다문화정책 모델은 안산시를 포함한 한국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함의를 제공해주고 있다.
      첫째 레스터시가 다문화사회에서 노정될 수 있는 인종불평등과 이주민공동체의 경제적 빈곤문제에 주목하고 있는 것처럼 한국의 지방정부도 이들 영역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인종간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반차별 정책이 수립되어 시행되어야 하며 특별히 교육과 결합되어야 한다. 경제적 빈곤 문제는 프랑스의 인종폭동에서처럼 심각한 사회갈등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하며 경제적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야 한다.
      둘째 레스터시는 문화적 다양성의 유지와 발전에 관한 확고한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또한 문화적 다양성을 시의 자산으로 제시함으로써 레스터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유럽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가장 번성한 도시라는 비전 제시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주민공동체 가 자신들의 문화정체성을 유지하고 다른 공동체와 공유하기 위한 행사를 시정부는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한국에서도 지방정부 차원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자산화하고 비전으로 제시할 수 있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주민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지원정책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보면 안산시의 경우 관주도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단체와의 지원프로그램 중복과 과도한 경쟁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레스터시의 경우 시정부는 공동체 화합을 위해 불평등과 경제적 빈곤 해소, 청년층과 외곽지역 백인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통해 개입하는 한편, 문화적 다양성은 이주민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제한적 개입을 하고 있다. 개별 문화 행사의 경우 이주민 공동체와 공동체 사이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의 지방정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가 시정부와 이주민공동체 사이 또는 이주민공동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들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관과 민간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공히 발전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해야 한다.
      넷째 레스터시의 경우 이주민공동체의 정치사회 진출이 활발하다. 이를 통해 레스터시의 다문화정책은 분명히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토대를 확보했다. 한국의 경우 이주민의 정계진출이 간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면 다문화정책 관련 거버넌스에 이주민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주민공동체가 형성되고 자조모임 등의 조적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한국의 안산시와 영국의 레스터시의 이주민의 구성은 상이하다. 안산시의 경우 주로 체류기간 종료 후 귀국해야 하는 외국인근로자가 이주민의 주를 이루는 상황이고, 레스터시의 경우 정...

      한국의 안산시와 영국의 레스터시의 이주민의 구성은 상이하다. 안산시의 경우 주로 체류기간 종료 후 귀국해야 하는 외국인근로자가 이주민의 주를 이루는 상황이고, 레스터시의 경우 정주를 목적으로 이주해온 이주민의 경우가 다수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주의 유형과 이주민의 영구 정착 등의 맥락에 있어 차이를 두 도시는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안산시의 경우도 결혼이주민과 같이 점차적으로 정주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레스터시와 같은 정주하는 이주민의 비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레스터시의 다문화정책 모델은 안산시를 포함한 한국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함의를 제공해주고 있다.
      첫째 레스터시가 다문화사회에서 노정될 수 있는 인종불평등과 이주민공동체의 경제적 빈곤문제에 주목하고 있는 것처럼 한국의 지방정부도 이들 영역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인종간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반차별 정책이 수립되어 시행되어야 하며 특별히 교육과 결합되어야 한다. 경제적 빈곤 문제는 프랑스의 인종폭동에서처럼 심각한 사회갈등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하며 경제적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야 한다.
      둘째 레스터시는 문화적 다양성의 유지와 발전에 관한 확고한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또한 문화적 다양성을 시의 자산으로 제시함으로써 레스터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유럽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가장 번성한 도시라는 비전 제시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주민공동체 가 자신들의 문화정체성을 유지하고 다른 공동체와 공유하기 위한 행사를 시정부는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한국에서도 지방정부 차원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자산화하고 비전으로 제시할 수 있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주민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지원정책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보면 안산시의 경우 관주도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단체와의 지원프로그램 중복과 과도한 경쟁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레스터시의 경우 시정부는 공동체 화합을 위해 불평등과 경제적 빈곤 해소, 청년층과 외곽지역 백인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통해 개입하는 한편, 문화적 다양성은 이주민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제한적 개입을 하고 있다. 개별 문화 행사의 경우 이주민 공동체와 공동체 사이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의 지방정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가 시정부와 이주민공동체 사이 또는 이주민공동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들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관과 민간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공히 발전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해야 한다.
      넷째 레스터시의 경우 이주민공동체의 정치사회 진출이 활발하다. 이를 통해 레스터시의 다문화정책은 분명히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토대를 확보했다. 한국의 경우 이주민의 정계진출이 간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면 다문화정책 관련 거버넌스에 이주민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주민공동체가 형성되고 자조모임 등의 조적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훈,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69-100, 2010

      2 오경석, "한국의 다문화주의:특징과 과제" 1 : 9-32, 2009

      3 박세훈,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정책의 비판적 성찰 : ‘다문화 도시정책’의 제언"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5-34, 2011

      4 임영언, "초국가시대 외국인근로자 기관 운영 실태와 정책 지원방안" 325-358, 2011

      5 송석원,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근로자 지원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안산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한상문화연구단 5 (5): 29-62, 2011

      6 장영진,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 지역의 성장과 민족 네트워크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523-539, 2006

      7 박세훈, "외국인의 공간분포 특성과 국토 · 도시정책 과제" 342 : 20-30, 2010

      8 박배균,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관한 연구" 10 (10): 173-176, 2003

      9 오경석, "누구를 위한 ‘다문화주의’인가?: 안산지역 이주민 지원 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7) : 190-222, 2010

      10 Veltovec, S., "Towards post-multiculturalism? Changing communities, conditions and contexts of diversity" 199 : 83-95, 2010

      1 박세훈,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69-100, 2010

      2 오경석, "한국의 다문화주의:특징과 과제" 1 : 9-32, 2009

      3 박세훈,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정책의 비판적 성찰 : ‘다문화 도시정책’의 제언"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5-34, 2011

      4 임영언, "초국가시대 외국인근로자 기관 운영 실태와 정책 지원방안" 325-358, 2011

      5 송석원,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근로자 지원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안산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한상문화연구단 5 (5): 29-62, 2011

      6 장영진,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 지역의 성장과 민족 네트워크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523-539, 2006

      7 박세훈, "외국인의 공간분포 특성과 국토 · 도시정책 과제" 342 : 20-30, 2010

      8 박배균,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관한 연구" 10 (10): 173-176, 2003

      9 오경석, "누구를 위한 ‘다문화주의’인가?: 안산지역 이주민 지원 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7) : 190-222, 2010

      10 Veltovec, S., "Towards post-multiculturalism? Changing communities, conditions and contexts of diversity" 199 : 83-95, 2010

      11 Joppke, C., "The retreat of multiculturalism in the liberal state: theolyand policy" 55 (55): 237-257, 2004

      12 Meer, N., "The Multicultural State We're In: Muslims, 'Multiculture' and 'Civic Re-balancing' of British Multiculturalism" 57 : 473-497, 2009

      13 Leicester City Council, "The Diversity of Leicester: Summary of Key Facts 2011" 1-4, 2012

      14 Leicester City Council, "Leicester Community Cohesion Paper D" 1-20, 2011

      15 Leicester City Council, "Leicester Community Cohesion Paper C" 1-15, 2011

      16 Kim, Nam-Kook, "Ethnic Violence and Ethnic Cooperation in New Labour's Britain" 39 (39): 133-152, 2005

      17 Leicester City Colmcil, "Diversity and migration"

      18 Veltovec, S., ": Assessing d1e backlash against multiculturalism in Europe, In The Multiculturalism Backlash" Roudedge 1-31, 2010

      19 Singh, G.,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Blitain: Reflections on the ''Leicester Model"" 5 (5): 40-54,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 0.71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