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점필재종택마을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99842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환경설계학과 , 2024.8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기타서명

        FengShui Geography Analysis on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Goryeong Jeompiljae Jongtaek Village

      • 형태사항

        ⅵ, 116 p. : 삽도, 표, 사진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재락, 권진욱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814986

      • 소장기관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남사림파의 종조인 김종직의 후손이 세거지를 이루며 350여년을 이어져 온 고령의 점필재종택마을을 대상으로 입지 및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개실마을은 점필재종택을 비롯하여 문충세가, 화산재, 추우재, 문충사당 , 도연재 등의 문화유산이 현존하고 있는 역사성을 갖춘 입지공간이다. 따라서당시 입향조에 의해 입지선정시 풍수지리사상이 내재된 터 잡이와 공간설계가 이루어진 것인지에 대해 풍수지리의 형식논리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실마을의 점필재종택 및 세거지를 중심으로 입지 고찰은 풍수지리의 형식 논리인 간룡, 장풍, 득수, 정혈, 좌향 등을 고찰 한 뒤 풍수지표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생활공간, 강학공간, 수기및 여가공간, 의례 및 추모공간 등을 영역별로 분류한 뒤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풍수지표를 적용한 입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백두대간-수도지맥을 이룬 용맥이 주산을 세운 뒤 현무봉을 이룬 곳을 의지하여 정주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산세에 의해 보국을 형성한 곳에 점필재종택을 비롯하여 도연재, 화산재, 추우재, 사당 등이 지기를 받는 터에 자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면에는 계류수가 궁수형태를 이루며 흐른 뒤 사격에 의해 물을 걷어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주공간의 좌향은 감궁리향을 하고 있으며 전면의 안산이 목형체를 이룬 것을 마주하는 것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풍수지표 계량화 수치는 산세(6점), 지세(30점: 현무 9, 청룡 8, 백호 8, 안산 5), 수세(6점), 좌향(7점), 정혈(15점: 혈장 12, 경제 3), 비보(10점)로 분석되어 중격(54-72점)과 상격(81-100점) 사이인 중상격(74점)의 터 잡이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시 입향조가 입지선정시 풍수지리사상을 적용한 입지관과 공간설계가 이루어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남사림파의 종조인 김종직의 후손이 세거지를 이루며 350여년을 이어져 온 고령의 점필재종택마을을 대상으로 입지 및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개실마을은 점필재종택...

      본 연구는 영남사림파의 종조인 김종직의 후손이 세거지를 이루며 350여년을 이어져 온 고령의 점필재종택마을을 대상으로 입지 및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개실마을은 점필재종택을 비롯하여 문충세가, 화산재, 추우재, 문충사당 , 도연재 등의 문화유산이 현존하고 있는 역사성을 갖춘 입지공간이다. 따라서당시 입향조에 의해 입지선정시 풍수지리사상이 내재된 터 잡이와 공간설계가 이루어진 것인지에 대해 풍수지리의 형식논리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실마을의 점필재종택 및 세거지를 중심으로 입지 고찰은 풍수지리의 형식 논리인 간룡, 장풍, 득수, 정혈, 좌향 등을 고찰 한 뒤 풍수지표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생활공간, 강학공간, 수기및 여가공간, 의례 및 추모공간 등을 영역별로 분류한 뒤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풍수지표를 적용한 입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백두대간-수도지맥을 이룬 용맥이 주산을 세운 뒤 현무봉을 이룬 곳을 의지하여 정주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산세에 의해 보국을 형성한 곳에 점필재종택을 비롯하여 도연재, 화산재, 추우재, 사당 등이 지기를 받는 터에 자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면에는 계류수가 궁수형태를 이루며 흐른 뒤 사격에 의해 물을 걷어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주공간의 좌향은 감궁리향을 하고 있으며 전면의 안산이 목형체를 이룬 것을 마주하는 것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풍수지표 계량화 수치는 산세(6점), 지세(30점: 현무 9, 청룡 8, 백호 8, 안산 5), 수세(6점), 좌향(7점), 정혈(15점: 혈장 12, 경제 3), 비보(10점)로 분석되어 중격(54-72점)과 상격(81-100점) 사이인 중상격(74점)의 터 잡이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시 입향조가 입지선정시 풍수지리사상을 적용한 입지관과 공간설계가 이루어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Jeompiljae Jongtaek(佔畢齋宗宅) Village in Goryeong(高靈), where the descendants of Kim Jong-jik(金宗直), the founder of the Yeongnam Sarimpa(嶺南士林派), have lived for over 350 years. This is a historical location where cultural heritage sites such as Jeompiljae's head house, Hwasanjae(화산재), Chuwoojae(추우재), Munchung shrine(문충사당), and Doyeonjae(도연재) still exist.
      The study of the location, focusing on the Jeompiljae head house and the three residences in Gaesil Village, examined the formal logic of Feng Shui geography, such as Ganryong(간룡), Jangpung(장풍), Deuksu(득수), Jeonghyeol(정혈), and jwahyang(좌향), and then applied Feng Shui indicators. In addition, the space composition was analyzed after classifying living space, teaching space, meditation and leisure space, ritual and memorial space, etc. by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using feng shui indicators show that the settlement space was formed by relying on the place where the Yongmaek(용맥), which formed the Baekdudaegan(백두대간)-Sudo branch(수도지맥), established the main mountain and then formed Hyeonmubong Peak(현무봉). It was analyzed that Jeompiljae Jongtaek, Doyeonjae, Hwasanjae, Chuwoojae, and a shrine were located in a place where Boguk(보국) was formed due to the mountain slopes.
      The quantification of feng shui indicators shows that the foundation has been established at a mid-to-high level (74 points).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ite view and space design were made by applying the Feng Shui theory when selecting a location for the arrival of the family at the time.

      keyword : Jeompiljae Jongtaek, Indicators, Boguk, Yongmaek, Lo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Jeompiljae Jongtaek(佔畢齋宗宅) Village in Goryeong(高靈), where the descendants of Kim Jong-jik(金宗直), the founder of the Yeongnam Sarimpa(嶺南士...

      This study conducted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Jeompiljae Jongtaek(佔畢齋宗宅) Village in Goryeong(高靈), where the descendants of Kim Jong-jik(金宗直), the founder of the Yeongnam Sarimpa(嶺南士林派), have lived for over 350 years. This is a historical location where cultural heritage sites such as Jeompiljae's head house, Hwasanjae(화산재), Chuwoojae(추우재), Munchung shrine(문충사당), and Doyeonjae(도연재) still exist.
      The study of the location, focusing on the Jeompiljae head house and the three residences in Gaesil Village, examined the formal logic of Feng Shui geography, such as Ganryong(간룡), Jangpung(장풍), Deuksu(득수), Jeonghyeol(정혈), and jwahyang(좌향), and then applied Feng Shui indicators. In addition, the space composition was analyzed after classifying living space, teaching space, meditation and leisure space, ritual and memorial space, etc. by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using feng shui indicators show that the settlement space was formed by relying on the place where the Yongmaek(용맥), which formed the Baekdudaegan(백두대간)-Sudo branch(수도지맥), established the main mountain and then formed Hyeonmubong Peak(현무봉). It was analyzed that Jeompiljae Jongtaek, Doyeonjae, Hwasanjae, Chuwoojae, and a shrine were located in a place where Boguk(보국) was formed due to the mountain slopes.
      The quantification of feng shui indicators shows that the foundation has been established at a mid-to-high level (74 points).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ite view and space design were made by applying the Feng Shui theory when selecting a location for the arrival of the family at the time.

      keyword : Jeompiljae Jongtaek, Indicators, Boguk, Yongmaek, Lo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4
      • 제1장 서 론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6
      • 제3절 선행연구의 고찰7
      • 제2장 풍수지리의 사상과 형식논리 고찰9
      • 제1절 풍수지리사상의 고찰 9
      • 1. 산악숭배사상11
      • 2. 지모사상 12
      • 3. 음양오행사상14
      • 4. 동기감응사상17
      • 5. 천인합일사상19
      • 제2절 풍수지리의 형식논리 고찰22
      • 1. 산세론22
      • 2. 지세론27
      • 3. 수세론35
      • 4. 정혈론40
      • 5. 좌향론47
      • 6. 비보론49
      • 제3장 개실마을의 개관과 공간구성 고찰 53
      • 제1절 개실마을의 개관 및 입지고찰 53
      • 1. 개실마을의 개관과 연혁53
      • 2. 개실마을의 입지고찰55
      • 제2절 개실마을의 공간구성 고찰 58
      • 1. 생활공간 58
      • 2. 강학공간 68
      • 3. 수기 및 여가공간70
      • 4. 의례 및 추모공간72
      • 제4장 개실마을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 75
      • 1. 산세분석 75
      • 2. 지세분석 77
      • 3. 수세분석 89
      • 4. 좌향분석 93
      • 5. 정혈분석 99
      • 6. 비보분석106
      • 제5장 결 론 108
      • 참고문헌110
      • 국문초록113
      • 영문초록1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