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사회가 복잡해지고 각종 문화의 충격이 커지며 경쟁이 격심해짐에 따라 직장에 대한 적응문제(adaptation problem)가 심각해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경우 자신에게 맡겨진 일이 적성에 맞...
오늘날 사회가 복잡해지고 각종 문화의 충격이 커지며 경쟁이 격심해짐에 따라 직장에 대한 적응문제(adaptation problem)가 심각해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경우 자신에게 맡겨진 일이 적성에 맞지 않고, 일이 과중하게 느껴지며, 때로는 일이 단조로워서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사의 관리방법이나, 사회의 정책, 동료들, 기타 회사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심한 심리적 갈등(conflict)을 느낀다. 갈등 속에 빠지면 심리적으로 욕구좌절(frustration)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며, 이것이 곧 정신건강을 해쳐 직장생활을 망치게 할 수도 있다. 이른바 부적응(maladjustment), 적응곤란(adaptation difficulty), 적응상실(adaptation lost)이라 부르는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개인은 정서적 혼란(emoti- onal disorders)을 가져오기도 한다.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는 현대 조직체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는 문제로 산업발전이 고도화되고 직무환경과 직무내용이 복잡해질수록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과다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건강문제와 심리적 불만족은 물론, 조직체에서 개인의 성과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 내지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스트레스란 개인의 육체적 또는 심리적 불균형을 가져오는 내적상태로서 전통적으로 주로 의학분야에서만 연구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 조직체의 문제로 제기되기 시작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졌다. 스트레스는 환경, 조직체, 개인자신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발생가능하지만, 이것이 실제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데는 개인적 특성이 스트레스에 매개적 역할(moderating role)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그 개념을 분명히 하고, 현재 광주·전남지역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상태를 파악하여 그 관리와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고, 다음으로는 실증적 연구로 이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대상은 광주·전남지역에 소재한 금융기관의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조사 외에 스트레스 증세 진단부분과 요인별 질문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를 통하여 통계처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변수는 설문지에 의한 조사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문항을 설정했다.
(1) 개인적 요인
(2) 직무상 스트레스 요인
⓵직무몰입도
⓶직무애착도
⓷스트레스의 정도 및 관리
앞에서 살펴본 요인별 변수들을 중심으로 조직내에서 발생하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알아 보기위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