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광고에 사용된 단서적 소재들의 브랜드 전달력에 관한 연구 = The potential of non-product cues for brand trasmission - explored in TV advertisement set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2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공적인 광고란 과연 무엇인가? Weingarten은 이렇게 말한다. “소비자를 즐겁게 하지만 제품을 팔지 못하는 광고는, 수술을 성공적이었지만 환자는 죽었다고 말하는 의사와 같다.” 시청자의 이목을 끌고 그들을 즐겁게 하지 않으면 철저히 외면을 당할 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광고는 그야말로 진퇴양란의 딜레마에 처해있다.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볼거리와 마케팅 목표를 위해 반드시 전달해야 하는 브랜드 정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소비자들이 텔레비전 광고물들을 보고 얼마나 정확히 브랜드네임을 상기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여, 오늘날 텔레비전 광고가 의도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138개의 광고를 대상으로 115명의 피조사자들의 응답을 분석해본 결과, 브랜드 정보를 제외한 광고의 나머지 부분을 보고 브랜드네임을 정확히 상기해낸 상기율이 31.7%, 브랜드네임 상기를 전혀 못한 비상기율이 61.3%, 경쟁브랜드로 오인한 오상기율이 7%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대상이 된 138개의 광고 중 39개의 광고가 10% 미만의 브랜드 상기율을 기록했고, 30개의 광고가 10% 이상의 브랜드 오상기율을 기록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어떠한 메시지, 매체, 그리고 수용자 측면에서의 특성들이 브랜드 상기의 정확도를 결정짓는가를 탐색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메시지 특성으로 유명모델 사용 여부, 시리즈 광고 여부, 그리고 연상보조물의 투입 여부가 포함되었으며, 매체 특성으로 노출빈도와 경쟁광고의 수, 수용자 특성으로 성별, 광고에 대한 흥미, 제품 관여도가 포함되었다. 이들 요인들의 브랜드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고에 대한 흥미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광고제작자가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인 연상보조물의 투입이 브랜드네임의 상기에 유의한 공헌을 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번역하기

      성공적인 광고란 과연 무엇인가? Weingarten은 이렇게 말한다. “소비자를 즐겁게 하지만 제품을 팔지 못하는 광고는, 수술을 성공적이었지만 환자는 죽었다고 말하는 의사와 같다.” 시청자...

      성공적인 광고란 과연 무엇인가? Weingarten은 이렇게 말한다. “소비자를 즐겁게 하지만 제품을 팔지 못하는 광고는, 수술을 성공적이었지만 환자는 죽었다고 말하는 의사와 같다.” 시청자의 이목을 끌고 그들을 즐겁게 하지 않으면 철저히 외면을 당할 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광고는 그야말로 진퇴양란의 딜레마에 처해있다.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볼거리와 마케팅 목표를 위해 반드시 전달해야 하는 브랜드 정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소비자들이 텔레비전 광고물들을 보고 얼마나 정확히 브랜드네임을 상기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여, 오늘날 텔레비전 광고가 의도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138개의 광고를 대상으로 115명의 피조사자들의 응답을 분석해본 결과, 브랜드 정보를 제외한 광고의 나머지 부분을 보고 브랜드네임을 정확히 상기해낸 상기율이 31.7%, 브랜드네임 상기를 전혀 못한 비상기율이 61.3%, 경쟁브랜드로 오인한 오상기율이 7%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대상이 된 138개의 광고 중 39개의 광고가 10% 미만의 브랜드 상기율을 기록했고, 30개의 광고가 10% 이상의 브랜드 오상기율을 기록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어떠한 메시지, 매체, 그리고 수용자 측면에서의 특성들이 브랜드 상기의 정확도를 결정짓는가를 탐색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메시지 특성으로 유명모델 사용 여부, 시리즈 광고 여부, 그리고 연상보조물의 투입 여부가 포함되었으며, 매체 특성으로 노출빈도와 경쟁광고의 수, 수용자 특성으로 성별, 광고에 대한 흥미, 제품 관여도가 포함되었다. 이들 요인들의 브랜드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고에 대한 흥미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광고제작자가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인 연상보조물의 투입이 브랜드네임의 상기에 유의한 공헌을 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브랜드 최초상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11 (11): 61-87, 2000

      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연구회 역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The Free Press 1992

      3 "구조모형을 통한 브랜드 성과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광고노출 후 형성되는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성과를 중심으로" 14 (14): 141-163, 2003

      4 "광고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44 : 89-104, 1999

      5 "What do we know about how advertising works" 1967

      6 "Varieties of brand memory induced by advertising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raum Associate Publishers 143-161, 1993

      7 "Top-of-mind awareness and share of famili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7-231, 1969

      8 "The comprehension and miscomprehension of print communications" 1987

      9 "The Role of Emotion in Memory for Television Commerci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o (ho): 1985

      10 "The Effects of Involvement and Viewing Conditions on Memory and Evaluation of TV Commerci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1986

      1 "브랜드 최초상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11 (11): 61-87, 2000

      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연구회 역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The Free Press 1992

      3 "구조모형을 통한 브랜드 성과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광고노출 후 형성되는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성과를 중심으로" 14 (14): 141-163, 2003

      4 "광고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44 : 89-104, 1999

      5 "What do we know about how advertising works" 1967

      6 "Varieties of brand memory induced by advertising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raum Associate Publishers 143-161, 1993

      7 "Top-of-mind awareness and share of famili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7-231, 1969

      8 "The comprehension and miscomprehension of print communications" 1987

      9 "The Role of Emotion in Memory for Television Commerci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o (ho): 1985

      10 "The Effects of Involvement and Viewing Conditions on Memory and Evaluation of TV Commerci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1986

      11 "The Effects of Emotion on Episodic Memory for TV Commerci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984

      12 "The Effect of Humor on Advertising Credibility and Recal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1982

      13 "Testing thirteen attitude scales for agreement and br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Marketing" 20-32, 1979

      14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1991

      15 "Organization of Memory" Academic Press 1972

      16 "Non-Product Cues in an Advertisement Their Nature and Roles for Product Claim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1994

      17 "Journal of Marketing" 1-22, 1993

      18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6-29, 1990

      19 "Is far-out advertising Entertaining the public more but selling it less" 27-28, 1967

      20 "Influencing choice without altering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90

      21 "Finding choice alternatives in memory Probability models of brand name recal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 : 441-461, 1994

      22 "Emotion Eliciting Qualities of Television Campaign Advertising as a Predictor of Voting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1983

      23 "Effects of brand awareness on choice for a comm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1-148, 1990

      24 "Converting image into equity Advertising'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lishers 67-82, 1993

      25 "Consumer ranking of risk reduction methods Journal of Marketing" 56-61, 1971

      26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1991

      27 "Building brand equity by managing the brand's relationship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79-90, 1983

      28 "Brand salience versus brand image: Two theori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38 : 77-82, 1998

      29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24 (24): 25-40, 1995

      30 "Brand Awareness as a Tool for Profitability" Cahners Publishing Co 1980

      31 "Advertising: Principles & practices" Prentice-Hall 1998

      32 "Advertising'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raum Associate Publishers 143-161, 1993

      33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59-62, 1961

      34 "A Laboratory Test of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1-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광고연구</br>외국어명 : Advertising Research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