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으로 분석한 혐오표현의 발생 및 대항 구도 =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Counteractions Analyzed through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7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the process of countering hate speech in terms of Axel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Honneth’s recognition theory explains the formation of identity centered on relationship of social recognition. In primordial relationships, the physical needs and emotional instincts of individuals are respected, and the individuals form the capacity for moral judgment in the legal relations, and accept the value of solidarity and form their own value in the community of valu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n individual’s identity develops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practical relationship to self and expanding the structure of social value while accepting the viewpoints of others. This study borrows the structure of this relationship of recognition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the development of countermovement against it. The positions on hate speech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position of those who make hate speech, the position of those who are subjected to hate speech, and the position of those who oppose the hate speech even though it is not directed at them.
      In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the reason why an individual resists the hate speech toward him is explained by the disregard for recognition, that is, the destruction of an individual’s legal relations and solidarity in a community of value. One who opposes hate even though it is not directed at him faces the minority targeted by hate speech as a subject, a being with a distinctive and individual identity. Hence he tries to resist reification of the minorit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person who makes hate speech can be seen a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recognition within the in-group occurs while ignoring the re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equal rights. Such an attempt appears as an action to reify others,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establishing a practical relationship to self; hence such an attempt leads to the reification of the self.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the process of countering hate speech in terms of Axel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Honneth’s recognition theory explains the formation of identity centered on relationship of socia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the process of countering hate speech in terms of Axel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Honneth’s recognition theory explains the formation of identity centered on relationship of social recognition. In primordial relationships, the physical needs and emotional instincts of individuals are respected, and the individuals form the capacity for moral judgment in the legal relations, and accept the value of solidarity and form their own value in the community of valu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n individual’s identity develops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practical relationship to self and expanding the structure of social value while accepting the viewpoints of others. This study borrows the structure of this relationship of recognition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hate speech and the development of countermovement against it. The positions on hate speech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position of those who make hate speech, the position of those who are subjected to hate speech, and the position of those who oppose the hate speech even though it is not directed at them.
      In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the reason why an individual resists the hate speech toward him is explained by the disregard for recognition, that is, the destruction of an individual’s legal relations and solidarity in a community of value. One who opposes hate even though it is not directed at him faces the minority targeted by hate speech as a subject, a being with a distinctive and individual identity. Hence he tries to resist reification of the minorit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person who makes hate speech can be seen a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recognition within the in-group occurs while ignoring the re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equal rights. Such an attempt appears as an action to reify others,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establishing a practical relationship to self; hence such an attempt leads to the reification of the sel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혐오표현의 발생과 그에 대한 대항의 과정을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은 사회적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정체성의 형성을 설명한다. 각 개인은 원초적 관계에서 신체적 욕구와 정서의 본능을 충족하고, 권리관계 속에서 도덕적 판단 능력을 형성하며, 자신이 속한 가치 공동체 속에서 연대의 가치를 수용하고 자기 가치를 형성한다. 그렇기에 한 개인의 정체성은 타자적 관점을 받아들이면서 자기 관계를 성립하고 또 사회적 가치의 구조를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인정 관계의 구조를 차용해서 혐오표현의 발생과 대항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혐오표현을 둘러싼 입장을 혐오표현을 하는 자, 혐오표현에 대항하는 자, 자신을 향한 혐오가 아님에도 대항하는 자로 각각 나누어서 분석했다. 이 각각의 입장이 인정 질서 안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전개되는가를 고찰하고 각 입장이 사회적 인정의 어떤 방식에 해당하며, 어떤 실천적 자기 관계를 맺고 있는지 등에 관해서 파악하고자 했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에서 자신을 향한 혐오표현에 저항하게 되는 계기는 인정의 무시, 즉 한 개인의 권리관계 및 가치공동체 속의 연대의 파괴로 설명된다. 자신을 향한 혐오가 아님에도 대항하는 자는 혐오표현이 겨냥하는 소수자를 개별적이고 개성 있는 정체성을 가지는 하나의 실존인 주체로 직면하기에 그들에 대한 물화에 저항하고자 한다. 반면에 혐오표현을 하는 자의 입장은 내집단 안에서의 인정이 동등한 권리관계의 실현을 도외시하면서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타자를 향한 물화의 시도로 나타나며, 실천적 자기관계의 정립 실패로 이어지기에 자아를 향한 물화로 이어지게 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혐오표현의 발생과 그에 대한 대항의 과정을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은 사회적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정체성의 형성을 설명한다. 각 개...

      본 연구는 혐오표현의 발생과 그에 대한 대항의 과정을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은 사회적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정체성의 형성을 설명한다. 각 개인은 원초적 관계에서 신체적 욕구와 정서의 본능을 충족하고, 권리관계 속에서 도덕적 판단 능력을 형성하며, 자신이 속한 가치 공동체 속에서 연대의 가치를 수용하고 자기 가치를 형성한다. 그렇기에 한 개인의 정체성은 타자적 관점을 받아들이면서 자기 관계를 성립하고 또 사회적 가치의 구조를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인정 관계의 구조를 차용해서 혐오표현의 발생과 대항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혐오표현을 둘러싼 입장을 혐오표현을 하는 자, 혐오표현에 대항하는 자, 자신을 향한 혐오가 아님에도 대항하는 자로 각각 나누어서 분석했다. 이 각각의 입장이 인정 질서 안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전개되는가를 고찰하고 각 입장이 사회적 인정의 어떤 방식에 해당하며, 어떤 실천적 자기 관계를 맺고 있는지 등에 관해서 파악하고자 했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에서 자신을 향한 혐오표현에 저항하게 되는 계기는 인정의 무시, 즉 한 개인의 권리관계 및 가치공동체 속의 연대의 파괴로 설명된다. 자신을 향한 혐오가 아님에도 대항하는 자는 혐오표현이 겨냥하는 소수자를 개별적이고 개성 있는 정체성을 가지는 하나의 실존인 주체로 직면하기에 그들에 대한 물화에 저항하고자 한다. 반면에 혐오표현을 하는 자의 입장은 내집단 안에서의 인정이 동등한 권리관계의 실현을 도외시하면서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타자를 향한 물화의 시도로 나타나며, 실천적 자기관계의 정립 실패로 이어지기에 자아를 향한 물화로 이어지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정립, "호네트의 인정투쟁모델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저항 이론의 새로운 모색" 5.18연구소 11 (11): 511-533, 2011

      2 고미숙, "호네트의 인정이론적 정의관과 도덕교육"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0) : 291-322, 2021

      3 박문범 ; 김회용, "호네트(A. Honneth)의 인정이론에 나타난‘연대’ 개념과 교육적 의의" 한국교육사상학회 34 (34): 43-66, 2020

      4 홍성수, "혐오표현의 해악과 개입의 정당성: 금지와 방치를 넘어서" 한국법철학회 22 (22): 27-64, 2019

      5 유민석, "혐오표현의 해악: 월드론의 확신 논변" 한국윤리학회(8A3209) 8 (8): 35-59, 2019

      6 권경휘, "혐오표현의 수행성과 그것에 대한 저항 : 표현을 통하여 무언가를 행하는 법" 법과사회이론학회 (63) : 151-188, 2020

      7 이광진,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한국법정책학회 17 (17): 321-346, 2017

      8 이현정, "혐오표현: 표현의 자유와 차별 금지 ― 유럽인권재판소의 최신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공익인권법센터 (28) : 531-563, 2022

      9 임옥희, "혐오발언, 혐오감, 타자로서 이웃" 도시인문학연구소 8 (8): 79-101, 2016

      10 Butler, J, "혐오 발언" 알렙 2022

      1 주정립, "호네트의 인정투쟁모델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저항 이론의 새로운 모색" 5.18연구소 11 (11): 511-533, 2011

      2 고미숙, "호네트의 인정이론적 정의관과 도덕교육"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0) : 291-322, 2021

      3 박문범 ; 김회용, "호네트(A. Honneth)의 인정이론에 나타난‘연대’ 개념과 교육적 의의" 한국교육사상학회 34 (34): 43-66, 2020

      4 홍성수, "혐오표현의 해악과 개입의 정당성: 금지와 방치를 넘어서" 한국법철학회 22 (22): 27-64, 2019

      5 유민석, "혐오표현의 해악: 월드론의 확신 논변" 한국윤리학회(8A3209) 8 (8): 35-59, 2019

      6 권경휘, "혐오표현의 수행성과 그것에 대한 저항 : 표현을 통하여 무언가를 행하는 법" 법과사회이론학회 (63) : 151-188, 2020

      7 이광진,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한국법정책학회 17 (17): 321-346, 2017

      8 이현정, "혐오표현: 표현의 자유와 차별 금지 ― 유럽인권재판소의 최신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공익인권법센터 (28) : 531-563, 2022

      9 임옥희, "혐오발언, 혐오감, 타자로서 이웃" 도시인문학연구소 8 (8): 79-101, 2016

      10 Butler, J, "혐오 발언" 알렙 2022

      11 김자영 ; 정수진, "초등학생의 혐오표현 문제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법교육학회 16 (16): 93-117, 2021

      12 "중앙일보"

      13 이충한, "정의의 차원들, 인정과 분배- 프레이저와 호네트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85) : 541-567, 2017

      14 Honneth, A., "인정투쟁 :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사월의 책 2015

      15 문성훈, "인정개념의 네 가지 갈등구조와 역동적 사회발전"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0) : 145-168, 2005

      16 김원식, "인정(Recognition)과 재분배(Redistribution) - 한국사회 갈등 구조 해명을 위한 모색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7) : 97-128, 2009

      17 Honneth, A., "인정 : 하나의 유럽 사상사" 나남출판 2021

      18 남미영, "월드론의 혐오표현 규제옹호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분석철학회 (46) : 63-98, 2021

      19 이종주, "악셀 호네트의 사랑의 인정이론의 현상학적 재구성 - 사랑의 인정이론의 방법론, 다른 인정과의 관계, 도덕적 정당성 및 사회철학적 전략해명" 철학연구소 42 : 291-323, 2015

      20 이현재, "악셀 호네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21 최현정, "성소수자 혐오폭력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질적 분석: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심리학회 39 (39): 385-420, 2020

      22 Honneth, A., "분배냐, 인정이냐? : 정치철학적 논쟁" 사월의 책 2022

      23 Honneth, A., "물화 : 인정이론적 탐구" 나남출판 2015

      24 이현재, "도시적 여성 혐오에 나타난 왜곡된 ‘인정’의 논리 - 과열된 성취인정과 인정의 이데올로기화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3-327, 2016

      25 오창우, "공중의 심리적 기저 ‘인정받기’의 개념적 논의: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09-133, 2017

      26 Adorno, Th., "계몽의 변증법 : 철학적 단상" 문학과 지성사 2021

      27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 : 야만으로 후퇴하는 현대" 살림 2019

      28 김선숙 ; 왕경수, "결혼이주여성의 인정투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Hegel과 Honneth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6 (16): 1-27, 2022

      29 양영희, "가치교육을 통한 어휘교육의 인성 함양 교수ㆍ학습 시안 -혐오 표현을 대상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88) : 83-106, 2022

      30 이정훈, "‘혐오표현’의 규제에 관한 비판적 성찰" 법학연구원 29 (29): 195-223, 2019

      31 조나영, "‘인정’ 패러다임 안에서 주체로 ‘투쟁’하기: 호네트(A. Honneth)의 ‘인정 이론’과 교육 비판"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139-163,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