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석랑, "환경윤리의 환원성 제거를 위한 자연개념: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한국하이데거학회 (56) : 321-352, 2020
2 김미영,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181-218, 2015
3 전홍석, "현대 문명의 생태학적 전환 - 생태와 문명의 교차점: 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회통 -" 한국동서철학회 (61) : 241-288, 2011
4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서광사 2012
5 모리스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20
6 한성훈, "제노사이드와 근대 이성에 대한 성찰 - 관계의 사회학과 공유 · 환대의 공동체 윤리" 한국문화사회학회 19 : 87-129, 2015
7 배용준, "자연법에 있어서 욕망의 자유와 윤리적 공동체에 관한 연구- 홉스와 헤겔의 자연법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90) : 315-352, 2018
8 심현주, "시장윤리와 공동체 윤리: 민주적 시장경제질서를 위한 가치체계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63-86, 2014
9 정동훈, "스마트 시티, 유토피아의 시작" 넥서스biz 2018
10 심귀연, "생태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생태공동체 연구" 대한철학회 160 : 87-110, 2021
1 송석랑, "환경윤리의 환원성 제거를 위한 자연개념: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한국하이데거학회 (56) : 321-352, 2020
2 김미영,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181-218, 2015
3 전홍석, "현대 문명의 생태학적 전환 - 생태와 문명의 교차점: 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회통 -" 한국동서철학회 (61) : 241-288, 2011
4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서광사 2012
5 모리스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20
6 한성훈, "제노사이드와 근대 이성에 대한 성찰 - 관계의 사회학과 공유 · 환대의 공동체 윤리" 한국문화사회학회 19 : 87-129, 2015
7 배용준, "자연법에 있어서 욕망의 자유와 윤리적 공동체에 관한 연구- 홉스와 헤겔의 자연법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90) : 315-352, 2018
8 심현주, "시장윤리와 공동체 윤리: 민주적 시장경제질서를 위한 가치체계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63-86, 2014
9 정동훈, "스마트 시티, 유토피아의 시작" 넥서스biz 2018
10 심귀연, "생태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생태공동체 연구" 대한철학회 160 : 87-110, 2021
11 심귀연, "생태공동체 모델 구축을 위한 인간, 자연, 기술 개념 연구" 새한철학회 100 (100): 97-114, 2020
12 모리스 메를로-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2004
13 스테이시 앨러이모, "말, 살, 흙 : 페미니즘과 환경정의" 그린비 2018
14 브뤼노 라투르, "녹색계급의 출현" 이음 2002
15 김옥경, "근대적 개인에서 탈-근대적 개인으로의 이행- 아담 스미스, 헤겔 그리고 탈-근대에서의 개인의 욕구 개념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37 : 177-202, 2014
16 이충한, "국가권력에 대한 사회계약론적 전통에 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63 : 53-74, 2012
17 박일준, "공생의 기호학 – 찰스 퍼어스(C.S. Peirce)와 야콥 폰 윅스퀼(Jacob von Uexküll) 그리고 앤디 클라크(Andy Clark)를 통해 구성하는 공생의 존재론" 인문학연구소 (56) : 157-191, 2020
18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의 복수" 세종서적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