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 Sino-Japanese Correspond to (C)aV of Modern 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4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spondences of Modern Chinese and Sino-Japanese through Chinese characters from Japanese Joyokanji Table(2010), which correspond to the syllable (C)aV in Modern Chinese.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u:ou”, “au:jou”. On the other hand, some rhymes of entering tone shown a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u:aku”, “au:jaku”.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e(蟹). Beside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Mo(陌), rhyme-Mai(麥). This is because stop coda was dropped in Modern Chinese, but in Sino-Japanese rhyme-Mo(陌), rhyme-Mai(麥) appear as -aku type or -jaku type.
      Correspondences shown as “au:ou”, “au:jou”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ao(效). Besides, correspondences “au:aku”, “au: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For the same reason,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appear as “au” in Modern Chinese but -aku type or -jaku type in Sino-Japanese.
      번역하기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spondences of Modern Chinese and Sino-Japanese through Chinese characters from Japanese Joyokanji Table(2010), which correspond to the syllable (C)aV in Modern Chinese.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co...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spondences of Modern Chinese and Sino-Japanese through Chinese characters from Japanese Joyokanji Table(2010), which correspond to the syllable (C)aV in Modern Chinese.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u:ou”, “au:jou”. On the other hand, some rhymes of entering tone shown a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u:aku”, “au:jaku”.
      Correspondences shown as “ai:ai”, “ai:a”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e(蟹). Besides, correspondences “ai:aku”, “ai: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Mo(陌), rhyme-Mai(麥). This is because stop coda was dropped in Modern Chinese, but in Sino-Japanese rhyme-Mo(陌), rhyme-Mai(麥) appear as -aku type or -jaku type.
      Correspondences shown as “au:ou”, “au:jou” among these 1st or 2nd rhymes in Group-Xiao(效). Besides, correspondences “au:aku”, “au:jaku” among entering tone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For the same reason, rhyme-Duo(鐸), rhyme-Jue(覺), rhyme-Wu(屋) appear as “au” in Modern Chinese but -aku type or -jaku type in Sino-Japane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중국어음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현대 중국어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중국어 내 중고음에서 현대음까지의 音韻變化 및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을 聲韻별, 系統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중국어 (C)ai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i:ai 대응, ai:a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i:aku 대응, ai: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중국어 (C)au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u:ou 대응, au:jou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u:aku 대응, au: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ai:ai 대응, ai:a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蟹攝 1・2等韻에 해당한다. 중고음에서 蟹攝 諸韻의 主母音이 합류하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 기본적으로 이를 계승하고 ai로, 일본한자음도 주로 -a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지 일본한자음에서 일부 한자가 陰韻尾가 탈락된 -a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중고음에서도 陰韻尾가 탈락 또는 약화된 방언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ai:aku 대응, ai:jaku 대응은 梗攝 開口2等 陌韻・麥韻에 해당한다. 陌韻・麥韻의 入聲韻尾가 p/t/k>ʔ>ø와 같은 변천과정을 거쳐 약화・탈락하였으며 蟹攝에 合流하였다. 따라서 현대 중국어에서 蟹攝韻과 같이 ai로 나타나지만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au:ou 대응, au:jou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效攝 1・2等韻에 해당한다. 현대 중국어의 (C)au는 기본적으로 중고음의 效攝 諸韻을 계승하고 있다. 일본한자음에서도 -au형으로 수용하였는데 재차 オ段長音開合의 혼동으로 인해 -au형>-ou형으로 변하였다. 2等韻의 경우 吳音이 -eu형으로 수용하였으며 재차 連母音의 長音化로 인해 -jou형으로 변한 것이다.
      u:aku 대응, au:jaku 대응은 宕攝 開口1等 鐸韻, 江攝 開口2等 覺韻, 通攝 開口1等 屋韻에 해당한다. 鐸韻・覺韻・屋韻은 모두 入聲韻에 해당하는데 入聲韻尾가 탈락하면서 현대 중국어에는 uo(o), au, ɤ 등 으로 변했다. 그러나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유지하고 있는 중고음을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난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중국어음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현대 중국어음과 일본한...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현대 중국어 (C)aV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중국어음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현대 중국어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중국어 내 중고음에서 현대음까지의 音韻變化 및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을 聲韻별, 系統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중국어 (C)ai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i:ai 대응, ai:a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i:aku 대응, ai: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중국어 (C)au와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에서 au:ou 대응, au:jou 대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入聲韻을 반영한 au:aku 대응, au:jaku 대응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ai:ai 대응, ai:a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蟹攝 1・2等韻에 해당한다. 중고음에서 蟹攝 諸韻의 主母音이 합류하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 기본적으로 이를 계승하고 ai로, 일본한자음도 주로 -a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지 일본한자음에서 일부 한자가 陰韻尾가 탈락된 -a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중고음에서도 陰韻尾가 탈락 또는 약화된 방언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ai:aku 대응, ai:jaku 대응은 梗攝 開口2等 陌韻・麥韻에 해당한다. 陌韻・麥韻의 入聲韻尾가 p/t/k>ʔ>ø와 같은 변천과정을 거쳐 약화・탈락하였으며 蟹攝에 合流하였다. 따라서 현대 중국어에서 蟹攝韻과 같이 ai로 나타나지만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au:ou 대응, au:jou 대응은 주로 중고음의 效攝 1・2等韻에 해당한다. 현대 중국어의 (C)au는 기본적으로 중고음의 效攝 諸韻을 계승하고 있다. 일본한자음에서도 -au형으로 수용하였는데 재차 オ段長音開合의 혼동으로 인해 -au형>-ou형으로 변하였다. 2等韻의 경우 吳音이 -eu형으로 수용하였으며 재차 連母音의 長音化로 인해 -jou형으로 변한 것이다.
      u:aku 대응, au:jaku 대응은 宕攝 開口1等 鐸韻, 江攝 開口2等 覺韻, 通攝 開口1等 屋韻에 해당한다. 鐸韻・覺韻・屋韻은 모두 入聲韻에 해당하는데 入聲韻尾가 탈락하면서 현대 중국어에는 uo(o), au, ɤ 등 으로 변했다. 그러나 일본한자음의 경우 入聲韻尾를 유지하고 있는 중고음을 반영하여 -aku형, -jaku형으로 나타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의 어두 반모음 ’w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97) : 1-20, 2021

      2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와 일본한자음의 대응 -어두자음 h/x/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91) : 191-206, 2021

      3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 齒音系 J・Q・X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62) : 193-218, 2021

      4 YANG YU ; 이경철, "중국어의 어두 반모음 y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44 : 289-310, 2021

      5 이재돈, "중국어음운학" 學古房 59-63, 2019

      6 薛鳳生, "중국어 음운학 특강" 현학사 48-49, 2004

      7 林燾, "중국어 음성학" 교육과학사 169-175, 2013

      8 YANG YU ; 이경철, "중국어 齒音系 破擦音 Z, C, ZH, CH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한국일본어교육학회 (98) : 173-192, 2021

      9 YANG YU ; 이경철, "대응규칙을 통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한자음 학습 - 현대 중국어음 G・K를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55 : 43-59, 2021

      10 坂井健一, "魏晉南北朝字音硏究" 汲古書院 345-398, 1975

      1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의 어두 반모음 ’w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97) : 1-20, 2021

      2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와 일본한자음의 대응 -어두자음 h/x/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91) : 191-206, 2021

      3 YANG YU ; 이경철, "현대 중국어 齒音系 J・Q・X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62) : 193-218, 2021

      4 YANG YU ; 이경철, "중국어의 어두 반모음 y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인문과학연구소 44 : 289-310, 2021

      5 이재돈, "중국어음운학" 學古房 59-63, 2019

      6 薛鳳生, "중국어 음운학 특강" 현학사 48-49, 2004

      7 林燾, "중국어 음성학" 교육과학사 169-175, 2013

      8 YANG YU ; 이경철, "중국어 齒音系 破擦音 Z, C, ZH, CH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 한국일본어교육학회 (98) : 173-192, 2021

      9 YANG YU ; 이경철, "대응규칙을 통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한자음 학습 - 현대 중국어음 G・K를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소 55 : 43-59, 2021

      10 坂井健一, "魏晉南北朝字音硏究" 汲古書院 345-398, 1975

      11 이경철, "韓國漢字音의 一音節化 경향에 대하여‒1・2等韻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62) : 125-140, 2018

      12 蔣冀騁, "近代漢語音韻研究" 商務印書館 175-176, 2021

      13 董建交, "近代官話音韻演變硏究" 商務印書館 297-, 2021

      14 儲泰松, "薪火編" 山西高校聯合出版社 356-357, 1996

      15 竺家寧, "聲韻學" 五南圖書 1-709, 1992

      16 맹요 ; 이경철, "磨光韻鏡에 걸친 流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53 : 285-302, 2021

      17 이경철 ; YANG YU, "現代 中國語의 語頭 母音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50 : 217-231, 2020

      18 董同龢, "漢語音韻學" 中華書局 172-173, 2011

      19 王力, "漢語語音史" 商務印書館 636-659, 2015

      20 唐作藩, "漢語語音史" 學古房 261-262, 2018

      21 구현아, "淸末民初 漢語學習書에 나타난 음계 기초 연구 ― ≪ENGLISH-CHINESE DICTIONARY OF THE STANDARD CHINESE SPOKEN LANGUAGE≫, ≪官話萃珍≫, ≪支那四聲字典≫, ≪支那聲音字彙≫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55) : 1-29, 2017

      22 福島直恭, "江戸語におけるae, oi, uiの長母音化" 1 : 17-29, 1999

      23 満田新造, "朝鮮字音と日本吳音との類似點に就いて-朝鮮に於ける字音傳來の經路" 15 : 384-410, 1926

      24 高山知明, "日本語における連接母音の長母音化" 101 : 14-34, 1992

      25 李京哲, "日本漢字音의 理解" 책사랑 393-, 2009

      26 沼本克明, "日本漢字音の歷史的硏究" 汲古書院 186-189, 1997

      27 岡本勲, "日本漢字音の比較音韻史的硏究" 櫻楓社 239-270, 1991

      28 이경철 ; 이상이, "日本漢字音 蟹攝 1·2等韻의 -a형에 대하여" 한국일어일문학회 93 (93): 129-145, 2015

      29 "日本文化庁 常用漢字表の音訓索引"

      30 이경철 ; 송재한, "日本吳音에 혼입된 記紀萬葉의 字音形에 대하여 - 陰聲韻을 中心으로 -" 일본연구소 (53) : 349-364, 2012

      31 이상이 ; 이경철, "常用漢字表 梗攝韻의 字音 분류" 한국일본어학회 (47) : 121-134, 2016

      32 羅濟立, "客家語と日本漢音, 鎌倉宋音の比較對照硏究-閩南語文語音, 浙江吳語との関わりをめぐって" 九州大学大学院 2005

      33 羅常培, "唐五代西北方音" 商務印書館 194-196, 2012

      34 이경철 ; YANG YU, "中國語音과 日本漢字音의 對應 - 中國語 唇音을 중심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3) : 133-156, 2020

      35 崔玲愛, "中國語音韻學" 통나무 20-, 2000

      36 Xu Mei Ling, "『滿洲語問答會話集』의 中·韓 轉寫音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81) : 27-55, 2013

      37 李京哲, "『佛母大孔雀明王經』 諸本에 걸친 漢音의 變遷 및 各 本의 加點時期에 對하여" 2 : 171-190, 2000

      38 Duanmu, San, "The phonology of Standard Chinese" Oxford University Press 82-84, 2007

      39 Pulleyblank, E. G, "Middle Chinese :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19-, 1984

      40 Cheng, Robert L, "Mandarin Phonological Structure" 2 (2): 135-262, 1966

      41 김훈호, "Goodrich의 ≪官話萃珍≫에 反映된 淸末 北京音系" 중국인문학회 (55) : 101-11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2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