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 = Comparison of the Singing Pitch Characteristic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ir Choir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4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명과 장애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창경험이 없는 9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음도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raat을 사용하여 편안한 음역대에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도록 하여 녹음하였고, 음도 도약이 포함된 특정구간(‘합니다-사랑하는’)을 발췌하여 음절별 개별 산출음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합창단원 그룹의 경우 음역대가 넓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음과 최고음에서는 모두 합창단원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 축하> 노래 중 구간에서의 개별 음절별산출음도를 분석한 결과, 기대음도와 실제 산출음도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정확도가 모든 음절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 ‘다’와 ‘하’ 완전 5도, 완전 8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음도산출치의 경우, 음절 ‘니’,‘다’, ‘하’, 완전5도, 완전4도, 완전 8도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윤곽의 경우 개인이 부른 멜로디의 음도가 얼마나 기대음도에 유사하게 진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합창단원의 경우 음도산출 정확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대되는 선율진행의 윤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합창단원 그룹의 확장된 음역대와 음도산출 정확도는 일정수준의 노래 부르기 지속 시 음도 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명과 장애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창경험이 없는 9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음도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raat을 사용하여 편안한 음역대에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도록 하여 녹음하였고, 음도 도약이 포함된 특정구간(‘합니다-사랑하는’)을 발췌하여 음절별 개별 산출음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합창단원 그룹의 경우 음역대가 넓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음과 최고음에서는 모두 합창단원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 축하> 노래 중 구간에서의 개별 음절별산출음도를 분석한 결과, 기대음도와 실제 산출음도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정확도가 모든 음절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 ‘다’와 ‘하’ 완전 5도, 완전 8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음도산출치의 경우, 음절 ‘니’,‘다’, ‘하’, 완전5도, 완전4도, 완전 8도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윤곽의 경우 개인이 부른 멜로디의 음도가 얼마나 기대음도에 유사하게 진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합창단원의 경우 음도산출 정확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대되는 선율진행의 윤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합창단원 그룹의 확장된 음역대와 음도산출 정확도는 일정수준의 노래 부르기 지속 시 음도 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oice pitch between who have choir experiences and those who do not.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1 mal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2 choir group members and 9 non-choir group). Praa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itch,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while they were singing in their comfortable pitch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ge of melodic contour in the choir group was broad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non choir group.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a lower pitch in the beginning note, and they produced a higher pitch compared to the non-choir group on the highest and lowest note of the song. An analysis on the pitch of the individual note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d revealed a gap between the expected pitch notes and the actual notes produced while singing. In all syllables of the song,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of the pitch production, an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on the perfect fifth and eighth intervals. Regarding to the relative pitch,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notes on perfect fifth, perfect fourth, and perfect eighth interval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nstant singing experience enable them to have pitch training. It also implies for further studies regarding to singing abilit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oice pitch between who have choir experiences and those who do not.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1 mal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2 choir group memb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oice pitch between who have choir experiences and those who do not.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1 mal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2 choir group members and 9 non-choir group). Praa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itch,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while they were singing in their comfortable pitch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ge of melodic contour in the choir group was broad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non choir group.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a lower pitch in the beginning note, and they produced a higher pitch compared to the non-choir group on the highest and lowest note of the song. An analysis on the pitch of the individual note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d revealed a gap between the expected pitch notes and the actual notes produced while singing. In all syllables of the song,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of the pitch production, an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on the perfect fifth and eighth intervals. Regarding to the relative pitch, participants in the choir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notes on perfect fifth, perfect fourth, and perfect eighth interval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nstant singing experience enable them to have pitch training. It also implies for further studies regarding to singing abilit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