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수-학습 개념 측정을 위한 TLCQ 단축형 모델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s Questionnaire Short 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9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은 교사가 실제로 가르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개념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예비교사의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을 측정하는 단축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교사의 신념 및 교수-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를 기초로 홍콩 예비교사 대상 연구에서 실험용 척도를 선택하였다. 이를 이용해 설문 문항의 번역 및 수정, 문항 검토, 척도 확인, 변인 설계, 문항 선택의 과정을 거쳐 단축형 도구를 제시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 전과 후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로 자료를 얻었고, 정규성, 상관도,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석 등으로 단축형 도구를 검증 및 재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하는 교수-학습 개념 척도는 구성주의적 개념과 전통적 개념의 하위 척도에서 각각 8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중등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에서 구성주의적 개념을 강하게 지지하였다.
      번역하기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은 교사가 실제로 가르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개념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예비교사의 교수-학습에...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은 교사가 실제로 가르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개념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예비교사의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을 측정하는 단축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교사의 신념 및 교수-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를 기초로 홍콩 예비교사 대상 연구에서 실험용 척도를 선택하였다. 이를 이용해 설문 문항의 번역 및 수정, 문항 검토, 척도 확인, 변인 설계, 문항 선택의 과정을 거쳐 단축형 도구를 제시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 전과 후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로 자료를 얻었고, 정규성, 상관도,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석 등으로 단축형 도구를 검증 및 재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하는 교수-학습 개념 척도는 구성주의적 개념과 전통적 개념의 하위 척도에서 각각 8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중등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에서 구성주의적 개념을 강하게 지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예비교사의 신념
      • 2. 예비교사의 교수-학습 개념
      • 3. 연구 문제
      • 요약
      • Ⅰ. 서론
      • 1. 예비교사의 신념
      • 2. 예비교사의 교수-학습 개념
      • 3. 연구 문제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척도개발 절차
      • 3. 분석방법
      • Ⅲ. 연구 결과
      • 1. 신뢰도 검증
      • 2. 타당도 검증
      • 3. TLCQ-S 재검증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첨부 1. 단축형 교수-학습 개념 척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가정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따른 교직신념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7 : 156-157, 2008

      2 김혜진,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관 분석: 2007년과 2010년의 결과 비교" 과학교육연구소 52 (52): 464-473, 2013

      3 이광호, "중등 수학 예비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성향" 한국학교수학회 12 (12): 1-25, 2009

      4 강옥기,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381-393, 2007

      5 조정수,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 14 : 371-394, 2002

      6 이진경, "사범대학 영어 예비교사들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2 (52): 393-408, 2013

      7 강경리, "교육실습 과정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50 : 197-226, 2011

      8 Thompson, A. G.,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to instructional practice" 15 : 105-127, 1984

      9 Ernest, P., "The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of the mathematics teacher : A model" 15 : 13-34, 1989

      10 Aypay, A., "The adapt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conceptions questionnaire and its relationships with epistemological beliefs" 11 (11): 21-29, 2011

      1 김정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가정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따른 교직신념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7 : 156-157, 2008

      2 김혜진,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관 분석: 2007년과 2010년의 결과 비교" 과학교육연구소 52 (52): 464-473, 2013

      3 이광호, "중등 수학 예비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성향" 한국학교수학회 12 (12): 1-25, 2009

      4 강옥기,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381-393, 2007

      5 조정수,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 14 : 371-394, 2002

      6 이진경, "사범대학 영어 예비교사들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2 (52): 393-408, 2013

      7 강경리, "교육실습 과정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50 : 197-226, 2011

      8 Thompson, A. G.,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to instructional practice" 15 : 105-127, 1984

      9 Ernest, P., "The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of the mathematics teacher : A model" 15 : 13-34, 1989

      10 Aypay, A., "The adapt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conceptions questionnaire and its relationships with epistemological beliefs" 11 (11): 21-29, 2011

      11 Pajares, M. F., "Teacher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62 (62): 307-332, 1992

      12 Nettle, E. B., "Stability and change in the beliefs of student teachers during practice teaching" 14 (14): 193-204, 1998

      13 Chan, K., "Relational analysis of personal epistemology and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20 : 817-831, 2004

      14 Chan, K., "Preservice teachers’epistemological beliefs and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 Cultural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29 (29): 1-13, 2004

      15 Yilmaz, H.,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conceptions of teaching" 36 (36): 73-88, 2011

      16 Cheng, M.,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udents’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conceptions of teaching" 25 : 319-327, 2009

      17 배병렬,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도서출판 청람 2006

      18 Bramald, R., "Initial teacher trainees and their views of teaching and learning" 11 : 23-31, 1995

      19 Richardson, V.,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02-119, 1996

      20 Thompson, A. G.,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 127-146, 1992

      21 Chai, C. S., "Epistemological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 a survey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Singapore" 43 (43): 285-298, 2006

      22 Abell, N., "Developing and validating rapid assessment instr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3 Scheurman, G., "Constructivist strategies for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1996

      24 Cooney, T. J., "Conceptualizing belief structure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29 (29): 306-333, 1998

      25 Brown, C. A., "A study of the socialization to teaching of a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336-341, 1986

      26 Widden, M., "A cri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on learning to teach : Making the case for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inquiry" 68 (68): 130-17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