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생산된 탐정소설을 대상으로 식민지 탐정소설의 역사적 특수성과 서사적 규범 및 미학적 이데올로기를 규명하여 그 고유한 특성을 밝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생산된 탐정소설을 대상으로 식민지 탐정소설의 역사적 특수성과 서사적 규범 및 미학적 이데올로기를 규명하여 그 고유한 특성을 밝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생산된 탐정소설을 대상으로 식민지 탐정소설의 역사적 특수성과 서사적 규범 및 미학적 이데올로기를 규명하여 그 고유한 특성을 밝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추리소설 장르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그 본질과 성격, 이데올로기를 장르 형성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추리소설은 19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대중문학의 장르이다. 그런데 추리소설 장르는 그 출발에서부터 지금까지 일관된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장르가 아니다. 흔히 추리소설 장르는 정통 추리소설, 비정파 탐정소설(스릴러), 범죄소설(서스펜스)로 그 장르의 외형과 서사 규범이 변형되고 확대되어 왔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문제는 이러한 장르의 확대와 변화를 통괄하는 이론적 시각이 부재하여, 추리소설의 장르적 본질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추리소설의 다양한 장르적 이종(異種)들을 아우를 수 있는 총체적 관점의 정립을 시도했다. 이때 본고가 핵심적인 단서로 삼은 것은 범죄에 대한 역사적 관념의 변화이다. 범죄는 추리소설의 핵심적인 서사 요소이며, 다양한 장르적 변형과 확대 속에서도 여전히 잔존하는 근본적 요소이다. 추리소설이라는 장르가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기원적 공간을 범죄에 대한 인식이 근대적인 틀을 갖추는 시기로 이해하고 이 점을 논구했다.
범죄 관념의 근대적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가 주목한 것은 폭력을 독점화하는 근대 국가체제의 성립 여부이다. 특히 부르주아 계급이 지배권력을 장악하면서 등장한 근대적인 국가 형태가 정립되는 곳에는 문학사적으로 의적소설 또는 악한소설이라 불리는 ‘사회적 악당’을 다룬 전통이 소멸되며 이를 대신해 범죄를 형상하는 새로운 문학적 방식으로 추리소설이 등장한다. 악한소설에서 추리소설로 이행하는 과정에 신문연재소설로서의 범죄소설이 등장하고, 단기간에 융성하고 소멸한 이 범죄소설에 주목하여 이행기적 계기와 단계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추리소설 장르가 성립되기 위한 또하나의 요소는 바로 추리이다. 추리는 단순히 과학성과 합리성을 근간으로 하는 사고의 방법이 아니라, ‘형식화’라고 부를 수 있는 근대 이성의 새로운 인식론적 패러다임이다. 이 ‘형식화’는 소설뿐만 아니라 의학, 미술, 정신분석학, 시학 등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모든 분야에서 동시적으로 태어난 이성적 사고의 형태이다. 이 형식화는 1950년대 무렵 탈구조주의적 사유가 등장하기 전까지 이어지는데, 추리소설은 이 형식화의 사고를 서사적 장치와 구조를 적극 도입한 특유의 사례이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추리소설이 출현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조건, 즉 폭력을 독점화한 정치결사체로서 근대국가의 성립, 범죄에 대한 근대적 인식 변화, 형식화로 요약되는 근대 이성의 새로운 인식론적 탐구방법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제3장에서는 2장에서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탐정소설이 형성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론적으로 도출된 결과에 따라 개화기 공간을 주목하여 부르주아 계급(개화파 지식인)이 지배하는 근대적 국가체제가 형성됨에 따라 범죄에 대한 인식이 근대적인 전환을 겪는 과정을 개화기의 언론의 잡보란, 개화파 및 개화 언론의 담론, 신소설과 번안소설 등을 분석하면서 살펴보았다. 서구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화기 공간에서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영웅적인 악당, 즉 의적이 사라지고 정치적 담론이나 문학적 재현물 속에서 사회적 ․ 정치적 의미를 띤 범죄가 점차 소멸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근대 탐정소설의 최초의 형태로서 정탐소설에서 범죄는 사회적 성격이 박탈되고 기괴하고 허구적인 모험적 요소를 강하게 지닌다. 본고는 이를 범죄가 물신적 성격을 갖게 되는 마지막 단계이자 근대 탐정소설이 성립하기 위한 기초라고 보았다.
제4장에서는 1920년대 이후부터 해방까지 추리소설들을 탐정 주체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서사구조와 미학적 특질을 논의하였다. 여기에서 근대 탐정소설을 크게 소년탐정소설, 󰡔별건곤󰡕 소재 단편탐정소설, 김동인과 염상섭의 탐정소설, 김내성의 탐정소설 등으로 나누어 이들 각각의 탐정 주체의 형상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지사적 탐정, 본능적 탐정, 정감적 탐정, 예술가 탐정 등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들은 하나의 공통된 특질이 작가적 세계관 등 개별적인 주관성에 따라 각각 분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았다. 그 공통성은 두 가지로 기술된다. 하나는 탐정소설의 본질을 둘러싼 대중성과 예술성의 대립 현상이다. 1930년대부터 이전의 모험적인 성격이 강하고 통속적인 대중성이 가미된 정탐소설에 대한 반감을 표시하면서 정통 탐정소설의 예술성과 문학성을 강조한 견해들이 등장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김내성이다. 정탐소설에서 탐정소설의 변화는 통속성과 예술성, 대중성과 문학성의 대립을 함축하고 있는 현상이며, 이러한 대립이 결국에는 해소되지 못한 채 탐정소설은 대중적인 독자층의 확보에 실패한다는 점을 볼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식민지 사회구조적인 한계로 결부된 것으로, 연애서사와 추리서사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탐정소설의 특수성은 부르주아 계급 성장의 식민지적 한계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기술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다양한 탐정유형들, 즉 지사적 탐정, 본능적 탐정, 정감적 탐정, 예술가 탐정이 출현한다는 점을 논구한다. 이는 부르주아 계급의 지배권력이 곧바로 추리의 합리성을 결정한다는 사회학적 관점에 따른 분석의 결과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Nae-seong gained popularity in Korea as the most popular detective novelist from 1930s to 1950s. Two detective stories, "Oval Mirror" and "Murder of a Detective Novelist" written by Kim, Nae-seong in Japan in 1935, were mainly examined in this st...
Kim, Nae-seong gained popularity in Korea as the most popular detective novelist from 1930s to 1950s. Two detective stories, "Oval Mirror" and "Murder of a Detective Novelist" written by Kim, Nae-seong in Japan in 1935, were mainly exam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identity problems and language issues for Korean writers in the colonial times and the problems of detective novels and modernism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t was thought that detective novels were the product of scientific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detective novels were deep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n Japan at that time. Also Kim, Nae-seong shared these kinds of thoughts, he wanted detective novels to be rooted in Chosun. Looking at novels written by Kim, Nae-seong at the colonial era, it looks like there are lacks of awareness of the colonial reality, but he was concerned about Chosun's modernization and enlightenment. In case of Kim, Nae-seong, the criteria for recognizing nationality was in detective novels.
Also he always kept the formation of national literary and the development culture as well as the achievement of modernism and civilization in is mind.
However, Kim, Nae-seong who had the limitation that he kept the mind of development and internalized the philosophy of Japanese empire, he had liberal ideas more than any other contemporary writers for the boundar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