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화 시대 공공시설물의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성 연구 - 중국 지난시의 대명호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Direction of Public Facilities in Aging Age - Focusing on the public facilities of the Daemyungho Lake in Jinan, Chin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4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s the aging of the world becomes serious, it is emerging as a global social phenomenon. Public design is attracting great social attention, but public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still insufficient. China's Ganshi has a large elderly population base and an aging population will become a new normal. Urban construction needs research to prevent and improve aging. The main interest in public design targeting the elderly was found to be health style, safety, and u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opinions of the age group and improve the demand for presentation. The main discussion in the text is how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can supplement and adjust public design functions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elderly.
      Methods The first is to investigate the aging population of the past and to understand public facilities and general design. Second, the chair of Daemyeongho Lake in Jansi, Shandong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rd, it analyzes the collection situation and submits an improvement proposal.
      Result First,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regularly to avoid potential safety hazards. Seco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chair is suitable for the elderly. Third, the backrest and armrest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hair. It is indispensable. Fourth, the height of public chairs suitable for the elderly is investigated and improved.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that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aged is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elderly are concerned about safety.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age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번역하기

      Background As the aging of the world becomes serious, it is emerging as a global social phenomenon. Public design is attracting great social attention, but public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still insufficient. China's Ganshi has a large elderly po...

      Background As the aging of the world becomes serious, it is emerging as a global social phenomenon. Public design is attracting great social attention, but public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still insufficient. China's Ganshi has a large elderly population base and an aging population will become a new normal. Urban construction needs research to prevent and improve aging. The main interest in public design targeting the elderly was found to be health style, safety, and u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opinions of the age group and improve the demand for presentation. The main discussion in the text is how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can supplement and adjust public design functions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elderly.
      Methods The first is to investigate the aging population of the past and to understand public facilities and general design. Second, the chair of Daemyeongho Lake in Jansi, Shandong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rd, it analyzes the collection situation and submits an improvement proposal.
      Result First,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regularly to avoid potential safety hazards. Seco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chair is suitable for the elderly. Third, the backrest and armrest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hair. It is indispensable. Fourth, the height of public chairs suitable for the elderly is investigated and improved.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that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aged is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elderly are concerned about safety.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age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면서 세계적인 사회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공공디자인이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년층을 위한 공공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다. 중국 지난시는 노인 인구의 비중이 높아 고령화를 위한 도시 건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고령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도시 건설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시설 및 공간에 대한 노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한 공공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지난시의 고령화 인구를 조사하고 공공 시설물의 디자인을 파악한다. 둘째, 산둥성 지난시 대명호 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수집한 내용 및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해야 한다. 의자의 구조가 노인에게 적합한지 여부에 주의해야 한다. 등받이와 팔걸이는 의자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노인에게 적합한 공공 의자의 높이를 조사하여 수정 및 개선한다.
      결론 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응 방법을 설정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념을 중심으로 노인의 생활환경을 개선한다. 노인은 주로 안전성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령화 공공시설 개선방법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후속 연구에서 심층적인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면서 세계적인 사회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공공디자인이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년층을 위한 공...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면서 세계적인 사회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공공디자인이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년층을 위한 공공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다. 중국 지난시는 노인 인구의 비중이 높아 고령화를 위한 도시 건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고령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도시 건설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시설 및 공간에 대한 노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한 공공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지난시의 고령화 인구를 조사하고 공공 시설물의 디자인을 파악한다. 둘째, 산둥성 지난시 대명호 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수집한 내용 및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해야 한다. 의자의 구조가 노인에게 적합한지 여부에 주의해야 한다. 등받이와 팔걸이는 의자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노인에게 적합한 공공 의자의 높이를 조사하여 수정 및 개선한다.
      결론 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응 방법을 설정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념을 중심으로 노인의 생활환경을 개선한다. 노인은 주로 안전성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령화 공공시설 개선방법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후속 연구에서 심층적인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숙 ; 안소미 ; 박재현 ; 이지연,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79-390, 2021

      2 김현정 ; 유보현, "공공시설에 적용된 사용자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149-157, 2009

      3 李若男, "老龄化社会下公共交通系统辅助设施优化设计研究" 39 (39): 74-79, 2017

      4 孙翠翠, "老年人对城市公共座椅和公共卫生间利用情况的调查研究" 3 (3): 206-210, 2013

      5 朱冬梅, "济南市城乡老年人口状况调查报告" 364-371, 2007

      6 姜向群, "对我国当前人口老龄化问题研究的概念和理论探析" 4 (4): 10-13, 2004

      7 曹菲菲, "基于老年人心理社会因素需求的多功能便携式座椅研究" (28) : 161-162, 2017

      1 이연숙 ; 안소미 ; 박재현 ; 이지연,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79-390, 2021

      2 김현정 ; 유보현, "공공시설에 적용된 사용자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149-157, 2009

      3 李若男, "老龄化社会下公共交通系统辅助设施优化设计研究" 39 (39): 74-79, 2017

      4 孙翠翠, "老年人对城市公共座椅和公共卫生间利用情况的调查研究" 3 (3): 206-210, 2013

      5 朱冬梅, "济南市城乡老年人口状况调查报告" 364-371, 2007

      6 姜向群, "对我国当前人口老龄化问题研究的概念和理论探析" 4 (4): 10-13, 2004

      7 曹菲菲, "基于老年人心理社会因素需求的多功能便携式座椅研究" (28) : 161-16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