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기 선종의 무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85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국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 선학과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28.7 판사항(6)

      • DDC

        294.392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86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문기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도의 대승불교 시대를 거쳐 중국에서 선종이 태동한 이후 초기 선종의 선법과 조사선의 성립 시기까지 明眼祖師들에 의해 심지법의 선법은 다양하게 설해 왔다. 초조 달마와 2조 혜가의 安心法門 은 벽관의 실천으로 공관을 제시했다. 이 선사상은 훗날 마조 이후의 조사선의 선법과 연관이 깊다. 또한 3조 승찬은 『능가경』을 바탕으로 하는 선법을 종지로 삼았다. 4조 도신은‘守一不移’5조 도신은 守心을 선법으로 가르침을 펼쳤다. 이들은 入道安心의 경지인 ‘자성청정심’을 추구하는 것을 가르침으로 전개하고 있다. 우두종은 도신의 방계 제자인 우두 법융에 의해서 개창되었다. 무심은 우두종의 핵심 종지로 대두된다. 5조 홍인은 본래 청정한 一心, 불성을 깨닫는 것은 守心에 있다고 밝혔다. 6조 혜능은 망념이 없는 청정심으로 無心한다면 불성을 볼 수 있다고 설했다. 혜능 이후 북종선과 남종선으로 나뉘면서 그의 제자 남악 혜충도 역시 무심을 주된 선관으로 주장한 다. 이처럼 선종의 시작인 달마로부터 조사선의 황벽까지 심지요문 또는 무심은 강조되어 왔다. 중생을 제도하는 선법을 무심으로 봤다는 것이다. 즉, 초기 선종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던 심법의 사상적 맥락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 그래서 心體의 근원적인 空性 과 현상적인 寂靜의 결정체로서 무심으로 볼 수 있다.
      혜능 이후 임제종 태동하기 이전 정법의 법맥은 남악 회양-마조 도일 –백장 회해-황벽 희운으로 이어진다. 홍주종 사상의 핵심 종지인 평상심, 본원청정심 등도 황벽의 無心으로 귀결된 것이라고 논구한다.
      번역하기

      ‘인도의 대승불교 시대를 거쳐 중국에서 선종이 태동한 이후 초기 선종의 선법과 조사선의 성립 시기까지 明眼祖師들에 의해 심지법의 선법은 다양하게 설해 왔다. 초조 달마와 2조 혜가...

      ‘인도의 대승불교 시대를 거쳐 중국에서 선종이 태동한 이후 초기 선종의 선법과 조사선의 성립 시기까지 明眼祖師들에 의해 심지법의 선법은 다양하게 설해 왔다. 초조 달마와 2조 혜가의 安心法門 은 벽관의 실천으로 공관을 제시했다. 이 선사상은 훗날 마조 이후의 조사선의 선법과 연관이 깊다. 또한 3조 승찬은 『능가경』을 바탕으로 하는 선법을 종지로 삼았다. 4조 도신은‘守一不移’5조 도신은 守心을 선법으로 가르침을 펼쳤다. 이들은 入道安心의 경지인 ‘자성청정심’을 추구하는 것을 가르침으로 전개하고 있다. 우두종은 도신의 방계 제자인 우두 법융에 의해서 개창되었다. 무심은 우두종의 핵심 종지로 대두된다. 5조 홍인은 본래 청정한 一心, 불성을 깨닫는 것은 守心에 있다고 밝혔다. 6조 혜능은 망념이 없는 청정심으로 無心한다면 불성을 볼 수 있다고 설했다. 혜능 이후 북종선과 남종선으로 나뉘면서 그의 제자 남악 혜충도 역시 무심을 주된 선관으로 주장한 다. 이처럼 선종의 시작인 달마로부터 조사선의 황벽까지 심지요문 또는 무심은 강조되어 왔다. 중생을 제도하는 선법을 무심으로 봤다는 것이다. 즉, 초기 선종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던 심법의 사상적 맥락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 그래서 心體의 근원적인 空性 과 현상적인 寂靜의 결정체로서 무심으로 볼 수 있다.
      혜능 이후 임제종 태동하기 이전 정법의 법맥은 남악 회양-마조 도일 –백장 회해-황벽 희운으로 이어진다. 홍주종 사상의 핵심 종지인 평상심, 본원청정심 등도 황벽의 無心으로 귀결된 것이라고 논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및 방법 3
      • 1.연구의 범위 3
      • 2.연구의 방법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및 방법 3
      • 1.연구의 범위 3
      • 2.연구의 방법 5
      • 제2장 無心의 源流 6
      • 제1절 무심의 어원 6
      • 제2절 무심의 원류 6
      • 1. 인도 대승 경전의 무심 6
      • (1)般若經의 무심 敎義 7
      • (2)寶積經의 무심 敎義 8
      • (3)楞伽經의 무심 敎義 10
      • 2. 선종 태동전 양나라 寶誌公의 무심 12
      • 제3장 황벽의 無心心地法門行化 14
      • 제1절傳心法要의 구성과 무심 분류 14
      • 1.전심법요의 구성 14
      • 2.전심법요의 무심 분류 16
      • 제2절 황벽의 心地法門과 行化 25
      • 1. 심지법문 26
      • (1) 心是空 27
      • (2) 心不用求(道不用求) 28
      • (3) 卽心是佛 31
      • 2. 선사상적 의의 35
      • 3. 시대적 배경과 行化 37
      • 제4장 초기선종의 선사상과 무심 39
      • 제1절 초조 달마의 壁觀安心과 無心 39
      • 제2절 2조 혜가의 心地法門과 無心 43
      • 제3절 3조 승찬의 無心 46
      • 제4절 東山法門의 선사상과 무심 48
      • 1. 4조 도신의 守一不移와 無心48
      • 2. 5조 홍인의 守心과 無心 53
      • 제5절 6조 혜능의 선사상과 무심 56
      • 1. 自性淸淨心과 無心 57
      • 2. 頓悟見性과 無心 58
      • 제6절 우두 법융의 무심 61
      • 1. 우두 법융의 絶觀과 無心 62
      • 2. 우두종의 무심 65
      • 제7절 남양 혜충의 무심 67
      • 제5장 마조계의 심지법문과 무심 70
      • 제1절 마조의 平常心卽心과 無心70
      • 제2절 백장의 心地法門과 無心 73
      • 제6장 결론 77
      • 참 고 문 헌 79
      • ABSTRACT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