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금강 일대 군현의 세곡운송 = Change of the Grain Shipping System in Chungcheong-do and Tax Grain Transport of in the Whole Area of the Geumgang Ri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9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충청도의 조운제도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종과 중종 연간을 거치며 조운제도가 완비되었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발생한 임진왜란으로 조운선과 조군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

      충청도의 조운제도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종과 중종 연간을 거치며 조운제도가 완비되었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발생한 임진왜란으로 조운선과 조군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조선왕조는 사선(私船)이라 불리는 서울의 경강선이나 지방의 지토선을 활용하여 지방의 세곡을 상납하였다. 이를 직납(直納) 또는 직상납(直上納)이라고 한다. 직납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삼남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는데, 그 중 충청도의 직납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충청도에서 세곡을 직납하던 지역은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었다. 이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 직납을 하기 위해서는 세곡을 적재할 선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토선이 적었을 뿐 아니라 경강선주를 유인할 수 있는 여건도 부족했다. 경강선주들은 선박을 임대해주고 받는 임대료 즉, 선가(船價)에 예민하게 반응했는데 충청도는 전라도와 경상도에 비해 선가가 낮았다. 따라서 경강선주는 충청도의 세곡 운송을 회피하였고, 이로 인해 홍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바다에서 경강선을 강제로 잡는 착선(捉船)을 자행하기도 했다. 결국 조선왕조는 안정적으로 재원을 조달하고자 작대제(作隊制)를 실시하고, 경강선을 선계(船契)로 조직하고 충청도의 세곡운송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리고 정조대 등장한 주교사의 주교선이 작대제와 결부되면서, 19세기 충청도 직납 군현의 세곡은 주교선이 전담하였다.
      충청도 금강 일대에 위치한 11개 군현은 모두 주교선의 활동 무대였다. 각 군현에서는 금강 변에 강창과 해창을 설치하고, 경내에서 수취한 세곡을 집적하였다. 그러면 서울에서 주교선이 내려와 세곡을 운송해갔다. 주교선에는 감관, 색리, 선주, 격군 등 14명의 선원이 탑승했다. 이 중 감관과 색리는 세곡을 납부하는 군현에 거주하는 인물들이었고, 선주와 격군은 서울 용산 등지에 거주하던 한강민들이었다. 금강에서 출발한 주교선은 30일 정도 항해하여 서울에 도착하였다. 이와 같이 금강을 무대로 활동하던 주교선 중심의 세곡운송방식은 19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度支志"

      2 고동환, "한국 전근대 교통사" 들녘 2015

      3 김덕진, "포구와 지역경제사" 선인 2022

      4 문광균, "조선후기 홍주지역 세곡운송과 船價ㆍ後卜 대책" 조선시대사학회 (75) : 7-52, 2015

      5 고동환, "조선후기 錦江水運과 浦口市場圈" 호서사학회 (43) : 101-138, 2006

      6 임성수, "조선후기 田結稅 징수와 ‘중간비용’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92) : 7-52, 2015

      7 문경호, "조선시대 牙山 貢稅串倉의 역사적 변천과 倉城의 구조" 역사문화학회 22 (22): 209-239, 2019

      8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9 한정훈,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진단학회 (120) : 55-78, 2014

      10 최완기, "용암차문섭교수화갑기념논총"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9

      1 "度支志"

      2 고동환, "한국 전근대 교통사" 들녘 2015

      3 김덕진, "포구와 지역경제사" 선인 2022

      4 문광균, "조선후기 홍주지역 세곡운송과 船價ㆍ後卜 대책" 조선시대사학회 (75) : 7-52, 2015

      5 고동환, "조선후기 錦江水運과 浦口市場圈" 호서사학회 (43) : 101-138, 2006

      6 임성수, "조선후기 田結稅 징수와 ‘중간비용’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92) : 7-52, 2015

      7 문경호, "조선시대 牙山 貢稅串倉의 역사적 변천과 倉城의 구조" 역사문화학회 22 (22): 209-239, 2019

      8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9 한정훈,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진단학회 (120) : 55-78, 2014

      10 최완기, "용암차문섭교수화갑기념논총"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9

      11 변남주, "영광 법성포 조창과 수군진의 변화" 도서문화연구원 (44) : 91-131, 2014

      12 문경호,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 역사문화학회 17 (17): 65-102, 2014

      13 문광균, "반계 유형원의 조운제도 개혁론" 조선시대사학회 (79) : 213-250, 2016

      14 이철성, "나타난 인천 지역의 田結稅와" (6) : 2007

      15 김재근, "韓國의 배" 서울대출판부 1994

      16 "輿地圖書"

      17 "賦役實摠"

      18 "貢稅要略"

      19 "萬機要覽"

      20 今村鞆, "船の朝鮮" 螺炎書屋 1930

      21 "續大典"

      22 "經國大典"

      23 "磻溪隨錄"

      24 "烏山文牒"

      25 문경호, "林喬鎭의 『漕行日錄』을 통해 본 1863년 聖堂倉의 漕運 實態" 진단학회 (128) : 51-80, 2017

      26 吉田光男, "李朝末期の漕倉構造と漕運作業の一例-『漕行日錄』にみる1875年の聖堂倉" (113) : 1984

      27 "朝鮮王朝實錄"

      28 최완기, "朝鮮時代牙山貢津倉의 설치와 운영" (7) : 2001

      29 김옥근, "朝鮮時代漕運制硏究" (2) : 1981

      30 고동환, "朝鮮後期서울商業發達史硏究" 지식산업사 1998

      31 최완기, "朝鮮後期船運業史硏究" 一潮閣 1989

      32 강만길, "朝鮮後期商業資本의 發達"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33 김용곤, "朝鮮前期漕軍-漕運과 관련하여" (창간) : 1983

      34 "承政院日記"

      35 "忠淸監營啓錄"

      36 "忠淸水營啓錄"

      37 "大典通編"

      38 김덕진, "全羅道 順天 海倉의 설치와 풍경" 호남사학회 (22) : 227-252, 2004

      39 "備邊司謄錄"

      40 김덕진, "三南稅穀의 운송과 江華燕尾亭의 풍경" (7) : 2007

      41 안길정, "『조행일록』으로 본 19세기 조운의 운영실태" 수선사학회 (29) : 127-154, 2008

      42 문경호, "『漕行日錄』을 통해 본 朝鮮 後期 聖堂倉의 漕運路와 漕運船 護送 實態" 도서문화연구원 (49) : 7-39, 2017

      43 문광균, "19세기 후반 경상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汽船 도입" 대구사학회 129 : 1-39, 2017

      44 이욱, "18세기말 서울 商業界의 변화와 政府의 對策" (142) : 1994

      45 최주희, "18세기 전반 宣惠廳의 재정운영 양상 - 同春堂 後孫家 所藏 『消遣法』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47 : 149-183, 2015

      46 문광균, "17~18세기 경상도 세곡운송체계의 변화와 三漕倉의 설치" 대동문화연구원 (86) : 261-298, 2014

      47 한정훈, "15・16세기 漕倉制의 재정립과 그 이해방향" 부산경남사학회 (94) : 47-7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