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린캠퍼스를 위한 녹지계획분야 개선방안 연구 :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space planning for Green-campus: focusing on Sangmyung University in Cheon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8533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환경자원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122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97p.; 26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space planning for Green-campus: focusing on Sangmyung University in Cheonan
        지도교수:강현경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28-20000018309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temperature rise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caused by increased green house gas emissions emerge as problems of this age, The government is trying to establish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2030 policy and introduce Green Campus ...

      As the temperature rise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caused by increased green house gas emissions emerge as problems of this age, The government is trying to establish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2030 policy and introduce Green Campus System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 at Universities. Under this backgrou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uggested ways to be improved as a Green-campus to Universities and accordingly proposed specific guidelines. Selecting a Green-campus is progressing, focusing on the aspects of architecture, installation, education, and local participation. However, parts of green spaces have not been included or evaluated on poor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at the role of green spaces and their application can be extended to open-spaces as the ecological space associat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as well as to the ecological learning spaces for local residents and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emphasize that these application plans can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spread of participation, the participation of Campuses,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The current status of land-cover was analyzed with ArcGIS focusing on Sangmyung University in Cheona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current status of land-cover, the green structure, the percentage of green space, the green volume factors, the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the tree features,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As a result, in the type of land-cover, the ratio of buildings and pavement was the highest at 58.4%. Impervious pavement and pervious pavement were respectably followed as 34.9% and 19.7%. The percentage of green spaces was at 20.5%.
      In the current status of green spaces, the percentage of green area was the highest at 42.0% in learning spaces. The ratio of green coverage of trees and shrubs was the highest at 42.0% in learning spaces. In tree layers, 30.2% of space was at 0.5~1.0㎥/㎡ of the GVZ, which was the largest. 20.4% of space was under 0.5㎥/㎡ of the GVZ. In shrub layers, 30.1% of space was under 0.1㎥/㎡ of the GVZ, which was the highest. 19.3% of space was at 0.3∼0.4㎥/㎡ of the GVZ, which was high. As a result of tree planting density in green spaces, 58.0% of tree layers were under 0.05tree/㎡, and 62.7% of shrub layers were 0.1tree~0.3tree/㎡, which was more than 50%. As for the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in tree layers, 20~30cm of the DBH were at 41.6%,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15~20cm at 33.9% and by 10∼15㎝ at 11.7%. More than 30cm of large timbers were distributed in learning spaces at 14.2% and in rest spaces at 14.2%.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planting structure in green spaces, it was the highest in learning spaces: Native species (41%), Conifers (39%), Shrubs (47%), Layerd Structure (40.3%).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lowest in exercising and culture spaces. Kaizuka juniper was dominant planting species in learning spaces. Prunus yedoensis and Zelkova serrata were followed. Large timbers which had more than 30 cm DBH were mostly distributed.

      The plans for green spaces and the suggestions were drawn based on these results. Specifically, the guidelines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 (1) the expansion of pervious spaces, (2) the expansion of green spaces, (3) the installation of ecological green way for pedestrians. First, as an improvement plan of main pedestrian paths for expanding pervious spaces, if pedestrian paths with impervious cover were altered as main pedestrian paths with pervious cover or grass blocks, the rate of pervious pavement could be higher from 19.7% into 22.4%. If parking lots in the campus were changed with pervious pavement, the rate of pervious pavement could be enhanced from 19.7% to 28.4%. Secon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activation of green roofs, possible spaces in a campus were chosen. If the spaces were changed into green roofs, the rate of green space could be enlarged up to 22.5%. To improve grass spaces into multi-layer planting, possible green lands were proposed. To improve planting structure, the planting plan for landscape and the multi-layered planting were recommended in learning spaces - Hannuri building and College of Design -, and in exercise and culture spaces - playground, Gyedang building, and Sangmyung sports center. Third, to establish ecological green way for pedestrians, the walking center spaces focusing on large timber and the plans connected to ecological trails were suggested. The green-spaces in the campus can be improved and extended and can be used as ecological open-spaces for the expansion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for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activities of community members. In this respect, to construct sustainable Green Campuses, the expansion of pervious spaces and green space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application such as eco-friendly and ecological learning, and the guidelines for improvement will be needed.

      Keywords : Green-campus, Green, Open space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기온의 상승과 환경의 파괴가 시대적인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2030정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의 온실가스감축을 위해 그린캠퍼스...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기온의 상승과 환경의 파괴가 시대적인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2030정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의 온실가스감축을 위해 그린캠퍼스 제도를 도입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환경부에서는 그린캠퍼스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그린캠퍼스의 선정을 위한 세부내용으로 건축적, 설치적인 측면과 교육과 지역참여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녹지에 관한 부분이 포함되지 않거나 미비한 기준으로 평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지의 역할과 활용을 통해 지역 주민의 참여와 구성원들의 생태 학습공간 뿐만 아니라 주변 산림지와 연계된 생태적 공간으로의 오픈스페이스까지 확대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이러한 활용방안을 그린캠퍼스의 평가지표상의 참여 확산과 캠퍼스 참여, 공공 참여의 평가분류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이며 연구항목으로 토지피복현황은 ArcG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토지피복율, 녹지구조, 녹피율, 녹지용적계수, 평균흉고직경, 수목성상, 층위구조는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토지피복 유형은 불투수성인 건물과 포장의 비율이 5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투수포장은 34.9%, 투수포장은 19.7%, 녹지의 비율은 20.5%로 나타났다.
      녹지현황에서 녹지면적은 학습공간이 42.0%로 가장 높았으며 교목과 관목의 녹피율은 학습공간이 42.0%로 가장 높았다. 교목층의 녹지용적계수는 0.5∼1.0㎥/㎡의 녹지가 30.2%로 가장 넓었으며, 0.5㎥/㎡이하의 녹지가 20.4%로 나타났다. 관목층의 녹지용적계수는 0.1㎥/㎡미만의 지역이 30.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0.3∼0.4㎥/㎡인 지역이 19.3%로 높게 나타났다. 녹지의 식재밀도를 파악한 결과 교목층은 0.05주/㎡이하가 58.0%, 관목층은 0.1주∼0.3주/㎡가 62.7%로 50%이상을 나타내었다. 교목층 평균흉고직경을 파악한 결과 20∼30㎝가 41.6%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며, 15∼20㎝는 33.9%, 10∼15㎝가 11.7%로 나타났고, 30㎝이상의 대경목은 학습공간 14.2%, 휴게공간 14.2%로 규격이 큰 수종들이 분포하였다. 녹지의 식재구조 현황에서는 학습공간이 자생종의 비율(41.0%), 침엽수의 비율(39.0%), 관목층의 비율(47.0%), 층위구조(40.3%)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운동문화공간으로 나타났다. 학습공간의 식재 수종은 가이즈카향나무가 우점하였고 왕벚나무, 느티나무의 순으로 흉고직경이 30cm이상의 대경목이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녹지계획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세부적으로 투수공간 확대, 녹지공간 확대, 보행생태녹도설정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투수공간 확대를 위한 주보행로의 개선방안으로 불투수층인 보행로를 캠퍼스 구성원의 주보행로로서 투수블럭이나 잔디블럭으로 개선할 경우, 투수포장율은 22.4%로 2.7% 개선시킬 수 있으며 캠퍼스 주차장을 투수포장으로 변경할 경우 28.4%로 확대되어 8.7%의 개선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둘째, 녹지공간 확대를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으로는 캠퍼스내의 가능지를 선정하였으며 옥상녹화 조성시, 녹지율이 22.5%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잔디공간을 다층식재로 개선하기 위해 녹지유효가능지를 제안하였다. 식재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학습공간인 한누리관, 디자인관과 운동문화공간인 운동장, 계당관, 상명스포츠센터를 경관적 기능의 식재와 다층구조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보행생태녹도 설정을 위하여 대경목 중심의 보행중심공간을 제안하고, 생태탐방로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캠퍼스내 녹지의 개선과 확장이 가능하며 생태적인 오픈스페이스로서 지역 주민의 참여확대와 구성원의 생태교육 및 활동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해 투수공간 및 녹지공간의 확대, 친환경적인 생태학습등 활용방안을 통한 제도적 기준과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그린캠퍼스, 녹지, 녹지계획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4
      • 제 1 절 그린캠퍼스의 개요 4
      • 1. 그린캠퍼스의 개념 4
      • 2. 그린캠퍼스 가이드라인 5
      •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4
      • 제 1 절 그린캠퍼스의 개요 4
      • 1. 그린캠퍼스의 개념 4
      • 2. 그린캠퍼스 가이드라인 5
      • 제 2 절 그린캠퍼스에 관한 연구 9
      • 제 3 절 그린캠퍼스의 녹지효과에 관한 연구 10
      • 제 4 절 녹지계획에 관한 연구 11
      • 제 5 절 소결 13
      • 제 3 장 연구범위 및 방법 14
      • 제 1 절 연구범위 14
      • 1. 공간적 범위 14
      • 2. 시간적 범위 17
      • 3. 연구대상지 개황 17
      • 4. 공간별 식재유형 18
      •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20
      • 1. 연구내용 20
      • 2. 연구방법 21
      • 제 3 절 연구 수행체계 24
      • 제 4 장 연구결과 및 고찰 26
      • 제 1 절 토지피복현황 26
      • 제 2 절 캠퍼스 녹지현황 28
      • 1. 녹지구조 28
      • 2. 식재구조 51
      • 제 3 절 소결 60
      • 제 4 절 그린캠퍼스화를 위한 오픈스페이스 개선방안 64
      • 1. 투수공간 확대 64
      • 2. 녹지공간 확대 68
      • 3. 보행생태녹도 설정 74
      • 제 5 장 결론 79
      • 인 용 문 헌 82
      • ■ 부록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