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음악교사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음악 수업 사례연구 : 갈등과 화해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Music Clas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of Preliminary Music Teachers : Focused o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2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usic education serving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what prospective music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music classe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heir social awaren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ppeared to have “re-discovered” the universal problem of conflict through their first project, “Sound of Conflict”. Through empirical learning, which re-recognizes conflicts and realizes that the main agent of change for co-prosperity and coexistence is myself, the teachers were able to see themselves through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as an inclusive global citizen. Second, participants showed how individuals can encounter common good by choosing to coexist with others and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resolve conflicts of ideology from a national and global community perspective through the second project, “Sound of Reconciliation”.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y could change the world when they know, empathize, imagine, and take action regarding the conflicts of the world, through musically experiencing and feeling the lives of others who are suffering on the other side or the worl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usic education serving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what prospective music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music classe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heir so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usic education serving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what prospective music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music classe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heir social awaren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ppeared to have “re-discovered” the universal problem of conflict through their first project, “Sound of Conflict”. Through empirical learning, which re-recognizes conflicts and realizes that the main agent of change for co-prosperity and coexistence is myself, the teachers were able to see themselves through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as an inclusive global citizen. Second, participants showed how individuals can encounter common good by choosing to coexist with others and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resolve conflicts of ideology from a national and global community perspective through the second project, “Sound of Reconciliation”.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y could change the world when they know, empathize, imagine, and take action regarding the conflicts of the world, through musically experiencing and feeling the lives of others who are suffering on the other side or th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음악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페다고지를 기반으로 한 음악 수업을 구안ㆍ적용하고,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를 성찰함으로써 세계시민성 함양의 기제로서 음악 수업이 가지는 의미를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대학교 음악교육과에 개설된 <창의ㆍ융합수업역량개발> 교과목의 목표를 ‘세계시민성 함양’으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해 총 2개의 수업을 설계ㆍ적용했고, 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 관찰, 학생 활동지, 심층 면담, 성찰일지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다각적으로 관찰ㆍ분석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갈등의 소리’ 창작 활동을 통해 갈등이라는 인류 보편적 문제를 ‘재발견’하고, 상생과 공존을 위한 변화의 주체가 다름 아닌 나 자신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됨으로써 주체적인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화해의 소리’ 공연 활동을 통해 개인이 공공선과 조우하면서 공동체적 삶을 진보시키고자 하는 실천적인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음악 활동이 다원적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윤활유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음악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음악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페다고지를 기반으로 한 음악 수업을 구안ㆍ적용하고,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를 성찰함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음악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페다고지를 기반으로 한 음악 수업을 구안ㆍ적용하고,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를 성찰함으로써 세계시민성 함양의 기제로서 음악 수업이 가지는 의미를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대학교 음악교육과에 개설된 <창의ㆍ융합수업역량개발> 교과목의 목표를 ‘세계시민성 함양’으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해 총 2개의 수업을 설계ㆍ적용했고, 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 관찰, 학생 활동지, 심층 면담, 성찰일지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다각적으로 관찰ㆍ분석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갈등의 소리’ 창작 활동을 통해 갈등이라는 인류 보편적 문제를 ‘재발견’하고, 상생과 공존을 위한 변화의 주체가 다름 아닌 나 자신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됨으로써 주체적인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화해의 소리’ 공연 활동을 통해 개인이 공공선과 조우하면서 공동체적 삶을 진보시키고자 하는 실천적인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음악 활동이 다원적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윤활유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음악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민,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7 (47): 81-103, 2018

      2 Spradley, J. P, "참여관찰" 시그마프레스 2009

      3 Sen, A,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2009

      4 손민정, "음악생태학(ecomusicology)의 개념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서양음악연구소 29 : 36-59, 2017

      5 박순용,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6 이은영, "예술 경험은 민주적 시민성에 어떻게 관계하는가?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153-177, 2020

      7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육연구원 31 : 183-205, 2015

      8 손민정,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9-151, 2019

      9 박수경, "세계시민교육에서 다원적 정체성의 의미와 내러티브 교수법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585-610, 2016

      10 서용선,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교육적 맥락, 의미, 방향" 교육연구원 29 (29): 393-417, 2013

      1 이경민,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7 (47): 81-103, 2018

      2 Spradley, J. P, "참여관찰" 시그마프레스 2009

      3 Sen, A,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2009

      4 손민정, "음악생태학(ecomusicology)의 개념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서양음악연구소 29 : 36-59, 2017

      5 박순용,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6 이은영, "예술 경험은 민주적 시민성에 어떻게 관계하는가?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153-177, 2020

      7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육연구원 31 : 183-205, 2015

      8 손민정,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9-151, 2019

      9 박수경, "세계시민교육에서 다원적 정체성의 의미와 내러티브 교수법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585-610, 2016

      10 서용선,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교육적 맥락, 의미, 방향" 교육연구원 29 (29): 393-417, 2013

      11 김인실, "국제교류를 통한 음악 중심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71-96, 2016

      12 Nussbaum, M. C,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2

      13 임수연, "고등학교에서의 음악ㆍ사회 통합형 프로그램 모형 개발: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2019

      14 Nussbaum, M. C, "감정의 격동" 새물결 2015

      15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그린비 2002

      1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2014

      17 UNESCO,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sustainable development: Content in social science textbooks" 2015

      18 Oslo, A., "Changing citizenship, democracy and inclusion in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