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민,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7 (47): 81-103, 2018
2 Spradley, J. P, "참여관찰" 시그마프레스 2009
3 Sen, A,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2009
4 손민정, "음악생태학(ecomusicology)의 개념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서양음악연구소 29 : 36-59, 2017
5 박순용,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6 이은영, "예술 경험은 민주적 시민성에 어떻게 관계하는가?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153-177, 2020
7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육연구원 31 : 183-205, 2015
8 손민정,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9-151, 2019
9 박수경, "세계시민교육에서 다원적 정체성의 의미와 내러티브 교수법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585-610, 2016
10 서용선,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교육적 맥락, 의미, 방향" 교육연구원 29 (29): 393-417, 2013
1 이경민,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7 (47): 81-103, 2018
2 Spradley, J. P, "참여관찰" 시그마프레스 2009
3 Sen, A,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2009
4 손민정, "음악생태학(ecomusicology)의 개념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서양음악연구소 29 : 36-59, 2017
5 박순용,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6 이은영, "예술 경험은 민주적 시민성에 어떻게 관계하는가? -누스바움의 관점에 기초하여 -"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153-177, 2020
7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육연구원 31 : 183-205, 2015
8 손민정,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9-151, 2019
9 박수경, "세계시민교육에서 다원적 정체성의 의미와 내러티브 교수법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585-610, 2016
10 서용선,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교육적 맥락, 의미, 방향" 교육연구원 29 (29): 393-417, 2013
11 김인실, "국제교류를 통한 음악 중심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71-96, 2016
12 Nussbaum, M. C,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2
13 임수연, "고등학교에서의 음악ㆍ사회 통합형 프로그램 모형 개발: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2019
14 Nussbaum, M. C, "감정의 격동" 새물결 2015
15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그린비 2002
1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2014
17 UNESCO,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sustainable development: Content in social science textbooks" 2015
18 Oslo, A., "Changing citizenship, democracy and inclusion in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