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상상계(imaginary)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상상계의 유형 = The Historicity of Imaginary and East Asian type of Imagi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7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상상계의 문제를 문화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상상계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것의 본질적 의미를 다루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상상계(imaginary)는 상상력이 작동하는 기반이 되는 각종 요소들의 총체를 말하는데, 그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상상계의 유형 분류 중에서 뒤랑의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그의 분류학이 심리적·논리적 차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실증적인 차원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뒤랑의 이런 시각은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실증성을 바탕으로 상상계의 유형을 구성할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동아시아의 상상계는 크게 화하적(華夏的) 상상계, 묘만적(苗蠻的) 상상계, 동이적(東夷的) 상상계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고대 동북아의 문화사적 구도와 관련이 있다. 화하적 상상계는 주나라의 인문정신에 기반한 합리성과 코스모스, 논리성, 현실주의 등을 그 특징으로 지니며, 묘만적 상상계는 괴력난신과 같은 비합리성, 카오스, 초논리성, 낭만주의 등을, 동이적 상상계는 그것의 종합으로서 카오스모스를 그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상계의 근원적인 차이는 초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화하적 상상계는 초월을 인정하지 않고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해결 방식을 선호하며, 묘만적 상상계는 외재적 초월을 추구하며, 동이적 상상계는 내재적 초월을 인정한다. 이런 상상계는 상극의 관계가 아니라 상생의 관계에 놓여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상상계의 문제를 문화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상상계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것의 본질적 의미를 다루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상상계(imaginary)는 상상력이 작동...

      본고는 상상계의 문제를 문화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상상계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것의 본질적 의미를 다루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상상계(imaginary)는 상상력이 작동하는 기반이 되는 각종 요소들의 총체를 말하는데, 그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상상계의 유형 분류 중에서 뒤랑의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그의 분류학이 심리적·논리적 차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실증적인 차원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뒤랑의 이런 시각은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실증성을 바탕으로 상상계의 유형을 구성할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동아시아의 상상계는 크게 화하적(華夏的) 상상계, 묘만적(苗蠻的) 상상계, 동이적(東夷的) 상상계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고대 동북아의 문화사적 구도와 관련이 있다. 화하적 상상계는 주나라의 인문정신에 기반한 합리성과 코스모스, 논리성, 현실주의 등을 그 특징으로 지니며, 묘만적 상상계는 괴력난신과 같은 비합리성, 카오스, 초논리성, 낭만주의 등을, 동이적 상상계는 그것의 종합으로서 카오스모스를 그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상계의 근원적인 차이는 초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화하적 상상계는 초월을 인정하지 않고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해결 방식을 선호하며, 묘만적 상상계는 외재적 초월을 추구하며, 동이적 상상계는 내재적 초월을 인정한다. 이런 상상계는 상극의 관계가 아니라 상생의 관계에 놓여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et the type of the imaginary of East Asia, and deals with its essential meaning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imaginary through cultural studies. Imaginary is the tot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imagination to work. Various classifi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its content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imagina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Gilbert Durand. He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psychological and logical levels, also the empirical level. Durand`s vision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to configure the type of imaginary in East Asia. The imaginary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Hwaha imaginary, Myoman imaginary and Dongyi imaginary. It is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ic structure of the ancient East Asia. Hwaha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osmos, logicality, realism, humanity based on the spirit of rationality, Myoman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 illogicality, surrealism. And Dongyi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mo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imaginaries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ce. We can not find any transcendence in Hwaha imaginary, and we can find an extrinsic transcendence in Myoman imaginary. But we can find an immanent transcendence or ``beyond-here``, in Dongyi imaginary. These imaginaries are auxiliary to each other.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et the type of the imaginary of East Asia, and deals with its essential meaning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imaginary through cultural studies. Imaginary is the tot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imagin...

      This paper aims to set the type of the imaginary of East Asia, and deals with its essential meaning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imaginary through cultural studies. Imaginary is the tot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imagination to work. Various classifi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its content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imagina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Gilbert Durand. He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psychological and logical levels, also the empirical level. Durand`s vision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to configure the type of imaginary in East Asia. The imaginary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Hwaha imaginary, Myoman imaginary and Dongyi imaginary. It is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ic structure of the ancient East Asia. Hwaha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osmos, logicality, realism, humanity based on the spirit of rationality, Myoman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 illogicality, surrealism. And Dongyi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mo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imaginaries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ce. We can not find any transcendence in Hwaha imaginary, and we can find an extrinsic transcendence in Myoman imaginary. But we can find an immanent transcendence or ``beyond-here``, in Dongyi imaginary. These imaginaries are auxiliary to each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澤厚, "화하미학" 동문선 1-316, 1990

      2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대출판부 1-464, 2008

      3 이형성,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1-405, 1997

      4 민병도, "한국사상" 우석출판사 1-637, 2004

      5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898, 1997

      6 袁珂, "중국신화전설1" 민음사 1-543, 1999

      7 馮時, "중국 문자의 기원에 대한 시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 : 171-189, 2009

      8 傅斯年, "이하동서설(夷夏東西說)" 우리역사연구재단 1-335, 2011

      9 최행귀, "우리 겨레의 미학사상" 보리 1-479, 2006

      10 이정우, "영혼론 입문" 살림출판사 1-94, 2003

      1 李澤厚, "화하미학" 동문선 1-316, 1990

      2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대출판부 1-464, 2008

      3 이형성,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1-405, 1997

      4 민병도, "한국사상" 우석출판사 1-637, 2004

      5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898, 1997

      6 袁珂, "중국신화전설1" 민음사 1-543, 1999

      7 馮時, "중국 문자의 기원에 대한 시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 : 171-189, 2009

      8 傅斯年, "이하동서설(夷夏東西說)" 우리역사연구재단 1-335, 2011

      9 최행귀, "우리 겨레의 미학사상" 보리 1-479, 2006

      10 이정우, "영혼론 입문" 살림출판사 1-94, 2003

      11 김성호,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 푸른숲 1-410, 2000

      12 박기현, "상상력의 구조로 본 예술 - 질베르 뒤랑의 문화연상에 대한 구조적 접근 1-" 한국불어불문학회 (58) : 499-520, 2004

      13 김무경, "상상력과 사회:질베르 뒤랑의 '심층사회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304-338, 2007

      14 Durand, Gilbert,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1-711, 2007

      15 李澤厚, "미의 역정" 동문선 1-540, 1991

      16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332, 1992

      17 송태현, "뒤랑의 바슐라르 비판" 한국불어불문학회 (55) : 362-391, 2003

      18 정재서, "동양적인 것의 슬픔" 살림 1-204, 1996

      19 박선미, "동북아시아의 交流史 復原을 위한 明刀錢의 초보적 探討"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93-213, 2009

      20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 신채호 전집 제3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1-435, 2007

      21 임재해, "단군신화로 본 고조선 문화의 기원 재인식" 고조선단군학회 19 : 277-372, 2008

      22 윤내현, "고조선연구" 일지사 1-905, 1994

      23 리지린, "고조선 연구" 열사람 1-410, 1989

      24 조법종, "고조선 고구려사 연구" 신서원 1-574, 2006

      25 김인희, "韓‧中 巨人神話 比較 硏究Ⅰ:거인신화의 생성 배경을 중심으로" 32 (32): 63-89, 2000

      26 선정규, "楚문화의 東夷문화 특성과 韓민족과의 관계" 중국학연구소 (26) : 63-96, 2009

      27 徐旭生, "我國古代部族三集團考, In 中國上古史論文選集1" 華世出版社 325-447,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