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교육 : 한국어에 나타나는 "진실" 표현 어휘의 담화표지 기능 연구 = Language,Education : A Corpus-based Study of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Used as Discourse Ma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7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rpus-based Study of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Used as Discourse Markers. Kim, Taeho & Jeong, Seon-yeong . 2012. Studies in Cross-cultur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which were originally noun or...

      A Corpus-based Study of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Used as Discourse Markers. Kim, Taeho & Jeong, Seon-yeong . 2012. Studies in Cross-cultur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which were originally noun or adverb with ``truth`` related meaning, can be used as discourse markers with the functions such as ``emphatic marker``, ``attention getter``, or ``hesitation marker``, and it argues that such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s are the result of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t is to say that the truth-related words have acquired new functions as discourse markers from their corresponding lexical items as a noun or an adverb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he truth-related words tend to appear sentence-initially or sentence-medially when they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We also show that they are most likely to be used as emphatic marker because of the lexical meaning of the truth-related words. Finally, we state that truth-related words differ from one another in where they appear and what function they are used wi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옥,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 연구" 역락 2002

      2 김향화,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113-140, 2004

      3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3 : 1-26, 1996

      4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 참 고찰" 국어문학회 43 (43): 235-254, 2007

      5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6 임규홍, "부사 ‘정말’류의 담화적 의미" 2 : 237-254, 1998

      7 강우원, "담화표지 ‘참’과 어찌말 ‘참’의 비교연구" 1 : 5-26, 2000

      8 서울대학교, "꼬꼬마 세종말뭉치"

      9 임규홍, "국어 담화 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2 : 1-20, 1996

      10 Hopper, Paul J., "Traugott. Grammaticalization,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 전영옥,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 연구" 역락 2002

      2 김향화,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113-140, 2004

      3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3 : 1-26, 1996

      4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 참 고찰" 국어문학회 43 (43): 235-254, 2007

      5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6 임규홍, "부사 ‘정말’류의 담화적 의미" 2 : 237-254, 1998

      7 강우원, "담화표지 ‘참’과 어찌말 ‘참’의 비교연구" 1 : 5-26, 2000

      8 서울대학교, "꼬꼬마 세종말뭉치"

      9 임규홍, "국어 담화 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2 : 1-20, 1996

      10 Hopper, Paul J., "Traugott. Grammaticalization,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1 Mey, Jacob L., "Pragmatics: An introduction" Blackwell 1994

      12 김태호, "Negation in Korean: its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process" 한국현대언어학회 24 (24): 685-705, 2009

      13 Grice, H. Paul, "Logic and conversation, In Syntax and semantics 3: Speech acts" Academic Press 41-58, 1975

      14 Schiffrin, Deborah, "Discourse Mar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5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 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ross-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58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