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에 표명된 대화철학적 인간론 다시 보기 :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 Revisiting the Anthropology of Dialogue-Philosophy Expressed in Martin Buber’s I and You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Dialogue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6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 anthropology of dialogue philosophy and theological anthropology by re-reading Martin Buber’s Ich und Du(I and You). Buber divides the dual ways humans treat the world into ‘I-It’ (Ich-...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 anthropology of dialogue philosophy and theological anthropology by re-reading Martin Buber’s Ich und Du(I and You). Buber divides the dual ways humans treat the world into ‘I-It’ (Ich-Es) and ‘I-You’ (Ich-Du). He warned of the expansion of the world of ‘I-It’, which would lead to the destruction of impersonality by making others instrumental and objectified, and suggested reciprocal personalism of ‘I-You’ as an alternative to mitigate and correct it.
      Buber’s anthropology has points where it can overlap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it corrects the mechanical and impersonal anthropology of modern times, emphasizes openness and love for others, raises alarms against modern inhuman behaviors that objectify and instrumentalize others, and calls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Nevertheless, Buber’s anthropology has a fundamental limit to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anthropology's thinking and discourse.
      First, Buber’s theory of God and religion, which emphasize the reality of relig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ristian theology, which presupposes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consequently approaches panentheism. Second, Buber confines human attitude toward God to the dichotomous frame of ‘perception and presence,’ ‘propositional doctrine and personal fellowship.’ Third, unlike Christian anthropology, which accepts the total depravity of man and depends on God's sovereign work, Buber believes that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depends on man’s free choice and ability to transform. Fourth, to Buber, Jesus was only a Jew who lived a prophetic life, not an object of faith who became incarnated as the triune God and accomplished redemption on the cross. This is fundamentally contrary to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ains what humans ar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Christology.
      In conclusion, despite the relevance of the anthropological critical mind raised by Buber, his dialogue-philosophical anthropology allows contact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only in a limited range due to subtle or stark differences between Jewish and Christian belief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 다시 읽기를 통해 대화철학적 인간론과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가능성을 타진한다. 부버는 인간이 세계를 대하는 이중적 방식을‘...

      본 연구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 다시 읽기를 통해 대화철학적 인간론과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가능성을 타진한다. 부버는 인간이 세계를 대하는 이중적 방식을‘나-그것’(Ich-Es)과 ‘나-너’(Ich-Du)로 구분한다. 그는 타인을 도구화하고 대상화함으로써 비인격성의 파괴를 초래할 ‘나-그것’의세계의 확장을 경고하면서, 이를 완화하고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나-너’의 상호적 인격주의를 제시하였다.
      부버의 인간론은, 근대의 기계적이고 비인격적인 인간론을 교정하고, 타자를 향한 개방과 사랑을 강조하며, 타인을 대상화하고도구화하는 현대의 비인간적 행태에 경종을 울리며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신학적 인간론과 중첩된다. 그럼에도, 부버의 인간론은 기독교 인간론의 사유와 담론에 원용되는 데에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첫째, 종교의 현실성을 강조하는 부버의 신론과 종교론은 하나님의 초월성을 전제하는 기독교 신학과중대한 차이를 보이며 만유재신론에 근접한다. 둘째, 부버는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태도를 인식과 임재, 명제적 교리와 인격적 교제라는 이분법적 틀에 가두고 대립시킨다. 셋째, 인간의 전적 타락을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에 의존하는 기독교 인간론과 달리, 부버는 진정한 인간성의 실현이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전환하는 능력에 달려있다고 믿는다. 넷째, 부버에게 예수는예언자적 삶을 산 유대인일 뿐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성육신하고십자가에서 구속을 이루신 신앙의 대상이 아니다. 이는 기독론의중재를 통해서만 ‘인간이 무엇인지’가 해명되는 신학적 인간론과근본적으로 어긋난다.
      결론적으로, 부버가 제기한 인간론적 문제의식의 적실성에도불구하고, 그의 대화철학적 인간론은 유대교적 신념과 기독교적신념 사이의 미묘하거나 혹은 극명한 차이로 인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신학적 인간론과의 접점을 허용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uber, Martin, "하시디즘과 현대인:유대교의 경건주의" 대한기독교서회 1994

      2 박찬호,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에 대한 신학적 자리매김" 13 : 35-69, 2015

      3 Buber, Martin, "인간의 문제" 길 2007

      4 윤형철, "우상의 또 다른 얼굴,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의 우상화와 우상적 기능에 대한 비판"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8 (28): 175-207, 2020

      5 정재현, "우상과 신앙 : 종교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한울아카데미 2019

      6 Buber, Martin, "신의 일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84

      7 조효원, "신권 정치와 무정부주의 사이에서 -마르틴 부버의 성서적 휴머니즘에 관한 시론-" 인문과학연구소 (63) : 147-175, 2022

      8 곽태진 ; 강선보, "부버의 종교적 사회주의와 교육" 안암교육학회 22 (22): 169-192, 2016

      9 김태원, "마틴 부버의 인간론과 교육" 38 : 80-100, 1994

      10 최성식, "마틴 부버 철학에서의 인간화의 길" 105-129, 1995

      1 Buber, Martin, "하시디즘과 현대인:유대교의 경건주의" 대한기독교서회 1994

      2 박찬호,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에 대한 신학적 자리매김" 13 : 35-69, 2015

      3 Buber, Martin, "인간의 문제" 길 2007

      4 윤형철, "우상의 또 다른 얼굴,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의 우상화와 우상적 기능에 대한 비판"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8 (28): 175-207, 2020

      5 정재현, "우상과 신앙 : 종교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한울아카데미 2019

      6 Buber, Martin, "신의 일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84

      7 조효원, "신권 정치와 무정부주의 사이에서 -마르틴 부버의 성서적 휴머니즘에 관한 시론-" 인문과학연구소 (63) : 147-175, 2022

      8 곽태진 ; 강선보, "부버의 종교적 사회주의와 교육" 안암교육학회 22 (22): 169-192, 2016

      9 김태원, "마틴 부버의 인간론과 교육" 38 : 80-100, 1994

      10 최성식, "마틴 부버 철학에서의 인간화의 길" 105-129, 1995

      11 신현기,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07-133, 2014

      12 박홍규, "마르틴 부버" 홍성사 2012

      13 남정길, "대화의 철학자 마르틴 부버" 19 : 65-77, 1975

      14 박욱주, "대상화하는 인식과 관계의 체험: 부버와 본회퍼의 근원어 ‘나-너’에 반영된 종교적 인간학" 종교문제연구소 (36) : 39-70, 2019

      15 Buber, Martin, "나와 너" 문예출판사 1995

      16 정석환, "‘코로나-19’, 비대면 교육 그리고 부버의 만남 철학" 동아인문학회 (57) : 259-295, 2021

      17 Buber, Martin, "Two Types of Faith" Collier Books 1986

      18 Friedman, Maurice S, "Martin Buber’s Final Legacy : The Knowledge of Man" 5 : 4-9, 1965

      19 Friedman, Maurice S, "Martin Buber : The Life of Dialogue" Routledge 2002

      20 Moberly, R. W. L., "Knowing God and Knowing About God : Martin Buber’s Two Types of Faith Revisited" 65 (65): 402-420, 2012

      21 Silberstein, Laurence J., "Jewish Spirituality: From the Sixteenth-Century Revival to the Present" Herder & Herder 402-432, 1989

      22 Buber, Martin, "Between Man and Man" Routledge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