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上堡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8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isting viewpoints, however,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Liaodong region were transferred to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T...

      The existing viewpoints, however,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Liaodong region were transferred to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The present study reconsidered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Go-joseon focusing o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hich mostly appeared in the Eastern region of Liaodong as far as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as established based on indigenous cultures such as Zhengjiawazi Culture Pattern and further developed by accepting the material culture of Yan system. Both pit tombs and stone tombs were found, and the stone tombs were characterized by the addition of stone mound installation.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a combination of weaponry such as bronze daggers, bronze halberds, and bronze socketed spearheads, and bronze mirrors with two or three knobs were found, and patterns such as leaf patterns and slanting checkered pattern were in fashion. In addition, earthenware is characterized by widely found bowls with clay stripes and mounted dishes.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as established in Tienshan Mountains in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the 1st period of Liaodong) and proliferated into the Hun River basin and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part of the Warring States Period(the 2nd period of Liaodong). At that time, the relationship network connecting the two regions was strengthened. After the earlier Han(3rd period of Liaodong), the relationship network in the eastern part of Liaodong was reorganized with the Hun River basin in the center, and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gradually replaced the Liaoning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Go-joseon is judg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network of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sider ‘Manfanha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border between Go-joseon and Yan, to be the western border of the Tianshan Mountains. The fact that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transitional zone where the Liaoning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were crossing should be fully consid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견해들은 세형동검문화의 분화과정에서 요동지역의 문화요소들이 한반도의 서북지역으로 전이되는 점을 주목하지 못하였다. 여기서는 요동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서북지역...

      기존 견해들은 세형동검문화의 분화과정에서 요동지역의 문화요소들이 한반도의 서북지역으로 전이되는 점을 주목하지 못하였다. 여기서는 요동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서북지역까지 나타나는 ‘상보촌유형’의 세형동검문화에 주목하여 후기고조선의 물질문화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상보촌유형은 동대장자유형-정가와자유형과의 직간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립하였으며, 전국연계 물질문화를 수용하여 더욱 발전한다. 토광묘와 석축묘가 모두 확인되며, 석축묘의 경우 적석시설이 부가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청동유물에는 검ㆍ과ㆍ모 등의 청동무기와 다뉴조세문경이 확인되며, 엽맥문ㆍ사격자문 등의 문양들이 유행하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토착 토기류와 함께 점토대토기발과 평저장경호는 물론 두형토기가 널리 확인되는 점도 주목된다.
      상보촌유형은 전국 중기(요동 1기) 무렵 천산산맥 일대에서 성립하며, 전국 후기(요동 2기)에는 혼강유역과 한반도의 서북지역까지 확산된다. 이때에는 두 지역을 결속시켜 주는 관계망이 강화된다. 서한 초기(요동 3기) 이후 요동 동부지역은 혼강유역을 중심으로 관계망이 재편되고, 한반도의 서북지역은 한국식 세형동검문화가 요령식 세형동검문화를 대체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쇠퇴한다.
      그러므로 전국 후기 단계 후기고조선의 물질문화는 상보촌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고조선과 연의 경계라고 하는 ‘만번한’을 천산산맥 서변으로 보는 선학들의 연구 성과와도 부합된다. 한반도의 서북지역은 요령식 세형동검문화와 한국식 세형동검문화가 교차하는 점이지대이며, 고조선은 요하 방면에서 한반도의 서북방면으로 후퇴하였다는 점을 충분하게 고려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桓仁縣馮家堡子積石墓群的發掘" 2016

      2 김민경, "遼寧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변천과 파급" 한국청동기학회 (15) : 102-136, 2014

      3 大貫靜夫, "遼寧を中心とする東北アジア古代史の再構成" 2007

      4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海記憶" 遼寧人民出版社 2014

      5 이청규,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95-147, 2014

      6 이후석,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149-205, 2014

      7 宮里修,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8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9 천진기, "한·중·일 문화 속의 뱀" 국립민속박물관 2012

      10 박진욱, "초기좁은놋단검문화의 내용과 발전과정에 대하여" 1987

      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桓仁縣馮家堡子積石墓群的發掘" 2016

      2 김민경, "遼寧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변천과 파급" 한국청동기학회 (15) : 102-136, 2014

      3 大貫靜夫, "遼寧を中心とする東北アジア古代史の再構成" 2007

      4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海記憶" 遼寧人民出版社 2014

      5 이청규,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95-147, 2014

      6 이후석,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149-205, 2014

      7 宮里修,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8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9 천진기, "한·중·일 문화 속의 뱀" 국립민속박물관 2012

      10 박진욱, "초기좁은놋단검문화의 내용과 발전과정에 대하여" 1987

      11 이청규, "청동기 보급의 주체와 지석묘 축조 집단" 백산학회 (106) : 5-30, 2016

      12 여호규, "졸본시기의 고구려 역사" 동북아역사재단 2008

      13 박진욱, "조선고고학전서(고대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14 朴淳發, "우리나라 初期鐵器文化의 展開過程에 대한 약간의 고찰" 3 : 1993

      15 김상민, "요령지역 철기문화의 전개와 한반도 초기철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55) : 61-116, 2017

      16 이후석, "세형동검 단계 중국 동북지역의 동과와 동모 遼寧式銅戈와 柳葉形銅鉾·細身形銅鉾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7) : 4-41, 2013

      17 오강원, "서단산문화와 길림지역의 청동기문화" 學硏文化社 2008

      18 李健茂, "북한의 문화유산Ⅰ" 고려원 1990

      19 강인욱, "러시아 沿海州 세형동검 관계유적의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42 : 1-34, 2003

      20 李健茂, "동아시아의 靑銅器文化" 國立文化財硏究所 1994

      21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22 강인욱,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비파형동검문화로 동물장식의 유입과정" 호남고고학회 36 : 97-126, 2010

      23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24 박선미,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 학연문화사 2010

      25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8) : 5-46, 2017

      26 한국고고학회, "개정신판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10

      27 오강원, "高句麗初期積石墓의 出現과 形成過程" 고구려발해학회 43 : 9-56, 2012

      28 여호규, "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 역사문화연구소 (39) : 173-228, 2011

      29 李淸圭,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6 : 2005

      30 오강원, "琵琶形銅儉~細形動劍 T字形 靑銅製劍柄의 型式과 時空間的 樣相 琵琶形銅儉~細形動劍 T字形 靑銅製劍柄의 型式과 時空間的 樣相" 한국상고사학회 41 : 5-32, 2003

      31 정인성, "燕系 鐵器文化의 擴散과 그 背景" 영남고고학회 (74) : 4-33, 2016

      32 정인성,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 細竹里·蓮花堡類型의 이해를 바탕으로 -" 백산학회 (100) : 193-242, 2014

      33 吳磬軍, "燕下都瓦當" 古宮出版社 2014

      34 宮里 修, "東北アジア靑銅器と初期鐵器-細竹里 蓮花堡類型の評價を中心に-, In 戰國燕系鐵器の特質と韓半島の初期鐵器文化" 2011

      35 야자와 타다유키(失澤忠之), "戰國 貨幣로 본 秦漢시대 山東반도에 있어서의 戰國 習俗의 殘存" 역사교육학회 (41) : 251-287, 2008

      36 이후석, "尹家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중앙문화재연구원 (19) : 1-32, 2016

      37 강인욱, "古朝鮮의 毛皮貿易과 明刀錢" 한국고대사학회 (64) : 243-284, 2011

      38 徐榮洙, "古朝鮮의 位置와 疆域" 一潮閣 2 : 1988

      39 盧泰敦, "古朝鮮 中心地의 變遷에 대한 硏究" 23 : 1990

      40 조진선, "北韓地域 細形銅劍文化의 發展과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47 (47): 59-87, 2005

      41 古澤義久, "中國東北地方·韓半島西北部における戰國·秦·漢初代の方孔圓錢の展開" 64 : 2010

      42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43 이후석, "中國 東北地域 細形銅劍文化 硏究-遼寧式細形銅劍을 中心으로" 21 : 2008

      44 國家文物局, "1999 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
      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2.135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