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Network analysis of issue diffusion on the sanitary pad cancer-causing agent via Twitter and Youtub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8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슈가 SNS를 통해 확산되는데 매체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을 기...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슈가 SNS를 통해 확산되는데 매체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되는 이슈의 확산성을 비교했다. 노드엑셀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트위터와 유튜브를 분석 대상으로 했는데 트위터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낮은 트위터는 ‘제한형’으로, 유튜브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높은 ‘소통ㆍ확산형’으로 분류했다. 제한형에서는 이슈 확산 네트워크가 방사형으로 나타났고, 소통ㆍ확산형에서는 거미줄형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에서 의견의 다양성이 높았고, 트위터에서 보다 이슈가 더 활발하게 공유되면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이슈의 확산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용자들이 얼마나 쉽게 메시지를 공유하고, 댓글을 달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가 플랫폼으로서 SNS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밝혔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트위터와 유튜브의 특성을 파악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SNS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volume of sanitory pad issue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diffusion of issue in the process of crisis issue. SNS is categorized into com...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volume of sanitory pad issue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diffusion of issue in the process of crisis issue. SNS is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ㆍdiffusion, communicationㆍrestriction,, diffusion, restriction base on the media interactivity and the user interactivity, In case of Twitter, media interactivity is low and user interactivity is low. In case of Youtube, media interactivity and user interactivity are all high. Crisiss issue is interactively diffused via Youtube compared to via Twitter. There was a negative public opinion in social media even if the government and the manufacturer said that there was no harm in the sanitary goods.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government prepared for the use of SNS in crisis because there was a negative opinion on the government and the manufacturer via S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주현,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이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 및 메시지 확산 유형에 미치는 영향 :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 및 국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8 (18): 89-103, 2017

      2 Marika Steenkamp, "The use of Facebook for political commentary in South Africa" Elsevier BV 31 (31): 91-97, 2014

      3 Choi, S., "The Two-Step Flow if Communication in Twitter-Based Public Forums" 1-21, 2017

      4 Edwards, A. R.,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7 : 3-20, 2002

      5 Henry Jenkins, "The Cultural Logic of Media Convergence" SAGE Publications 7 (7): 33-43, 2016

      6 Smith, B.G., "Socially distributing public relations: Twitter, Haiti, and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36 : 329-335, 2013

      7 Andrea L. Kavanaugh, "Social media use by government: From the routine to the critical" Elsevier BV 29 (29): 480-491, 2012

      8 안대천,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23 (23): 53-84, 2012

      9 김진태, "SNS 상호작용성, 위기책임성, 메시지전략이 PR공중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9 (59): 149-182, 2015

      10 Yaron Ariel, "Information, Interactivity, and Social Media" Informa UK Limited 23 (23): 19-30, 2015

      1 홍주현,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이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 및 메시지 확산 유형에 미치는 영향 :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 및 국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8 (18): 89-103, 2017

      2 Marika Steenkamp, "The use of Facebook for political commentary in South Africa" Elsevier BV 31 (31): 91-97, 2014

      3 Choi, S., "The Two-Step Flow if Communication in Twitter-Based Public Forums" 1-21, 2017

      4 Edwards, A. R.,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7 : 3-20, 2002

      5 Henry Jenkins, "The Cultural Logic of Media Convergence" SAGE Publications 7 (7): 33-43, 2016

      6 Smith, B.G., "Socially distributing public relations: Twitter, Haiti, and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36 : 329-335, 2013

      7 Andrea L. Kavanaugh, "Social media use by government: From the routine to the critical" Elsevier BV 29 (29): 480-491, 2012

      8 안대천,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23 (23): 53-84, 2012

      9 김진태, "SNS 상호작용성, 위기책임성, 메시지전략이 PR공중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9 (59): 149-182, 2015

      10 Yaron Ariel, "Information, Interactivity, and Social Media" Informa UK Limited 23 (23): 19-30, 2015

      11 Pin Luarn, "Influence of network density on information diffusion on social network sites" SAGE Publications 32 (32): 389-397, 2016

      12 Lee, Y.H., "History of news media" Communication books 2013

      13 Steuer, J.,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24 (24): 73-93, 1992

      14 James, 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56 (56): 414-41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0.8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