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2 억양에서 나타나는 모국어 간섭과 언어 보편적 간섭현상의 상호작용: 피치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1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 2언어 억양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 보편적 간섭현상인 피치대역(음역) 축소현상과 모국어 간섭현상이 어떤 양상으로 상호작용하며 한국어 습득과정에서 어떤 순서로 나...

      본 연구는 제 2언어 억양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 보편적 간섭현상인 피치대역(음역) 축소현상과 모국어 간섭현상이 어떤 양상으로 상호작용하며 한국어 습득과정에서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7명의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 초․중․고급 수준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각 10명 총 37명이 발화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난이도가 다른 한국어 담화 4개와 이를 중국어로 번역한 중국어 담화 4개를 낭독 발화하였다. 한국어화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이 산출한 음성자료는 음성분석 프로그램 Praat을 사용하여 각 문장별로 Pitch span, Pitch level, Pitch dynamic quotient(PDQ), 왜도와 첨도를 측정하였고 이후 언어 간 분석, 그룹 간 분석, 그룹 내 분석을 통해 두 현상의 상호작용양상을 살펴보았다. 언어 간 분석결과 중국어는 한국어보다 높은 Pitch span과 Pitch level로 특징지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초․중․고급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화문에 대한 그룹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급과 중급 학습자들에게서는 모국어 간섭보다는 음역 축소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고급 학습자들은 음역 축소현상이 완화되어 한국 화자에 근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목표어인 한국어와 모국어인 중국어 문장을 대상으로 한 그룹 내 분석에서도 숙달도가 높을수록 모국어와 목표어 간 피치 편차가 줄어들어 음역 축소현상이 완화되었다. 문장 내 피치 변동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PDQ분석에서 중국어 문장은 한국어 문장보다 음역 변동범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룹 간 분석에서는 초․중급 학습자들의 PDQ가 한국어와 중국어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고급학습자들도 한국어나 중국어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한국어에 근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숙달도가 낮은 화자일수록 음역 축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고급 화자의 경우 목표어인 한국어와 유사한 양상으로 실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음성학적 층위에서는 모국어 간섭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aspects between pitch reduction phenomena considered a universal language phenomenon and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the production of L2 intonation perform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investigat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aspects between pitch reduction phenomena considered a universal language phenomenon and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the production of L2 intonation perform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investigate their interaction,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using acoustic measures such as pitch span, pitch level, pitch dynamic quotient, skewness, and kurtosi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comprehension and pitch was examined. The analyzed material consisted of four Korean discourses containing five and seven sentences of varying difficulty. Sev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irty Chinese learners who differed in their Korean proficiency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test. The results, for differences by language, showed that Chinese had a more expanded pitch span, and a higher pitch level than Korean. The analysis between groups showed that at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pitch reduction was prominent, i.e., their Korean was characterized by a compressed pitch span, low pitch level, and less sentence internal pitch variation. Contrariwise, the pitch use of advanced speakers was most similar to Korean native spea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xt difficulty and pitch use. Through this study, we observed that pitch reduction was more pronounced than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the phonetic lay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한국어와 중국어 억양체계
      • 3. 연구 방법
      • 4. 결과
      • Abstract
      • 1. 서론
      • 2. 한국어와 중국어 억양체계
      • 3. 연구 방법
      • 4. 결과
      • 5. 결론
      • References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나타난강세구 실현 양상 연구" 우리말글학회 68 : 93-114, 2016

      2 박지현,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의 억양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박지연,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연구 : 대화체 문장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4 이미경, "중국어 자연 발화의 성조 음높이 변화" 영남중국어문학회 (55) : 373-398, 2010

      5 정혜인, "중국어 경성이 한국어 문말 억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6 Zimmerer, F., "Too cautious to vary more? A comparison of pitch variation in native and non-native productions of French and German speakers" 1037-1041, 2014

      7 Ueyama, M., "The phonology and phonetics of second language intonation: The case of “Japanese English”" 2411-2414, 1997

      8 Mennen, I.,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pitch range in German learners of English" 36 (36): 303-329, 2014

      9 Graham, C.,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intonation : Peak alignment in American English" 66 : 1-14, 2018

      10 Katarina, B., "Productions of "continuation contours" by French speakers in L1(French) and L2 (English)"

      1 김태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나타난강세구 실현 양상 연구" 우리말글학회 68 : 93-114, 2016

      2 박지현,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의 억양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박지연,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연구 : 대화체 문장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4 이미경, "중국어 자연 발화의 성조 음높이 변화" 영남중국어문학회 (55) : 373-398, 2010

      5 정혜인, "중국어 경성이 한국어 문말 억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6 Zimmerer, F., "Too cautious to vary more? A comparison of pitch variation in native and non-native productions of French and German speakers" 1037-1041, 2014

      7 Ueyama, M., "The phonology and phonetics of second language intonation: The case of “Japanese English”" 2411-2414, 1997

      8 Mennen, I.,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pitch range in German learners of English" 36 (36): 303-329, 2014

      9 Graham, C.,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intonation : Peak alignment in American English" 66 : 1-14, 2018

      10 Katarina, B., "Productions of "continuation contours" by French speakers in L1(French) and L2 (English)"

      11 Bartkova, K., "Production of “continuation contours” by French speakers in L1(French) and L2(English)"

      12 Mennen, I., "Non-native prosody: Phonetic description and teaching practice" De Gruyter Mouton 53-76, 2007

      13 Hosseini, A., "L1 interference in L2 prosody : Contrastive focus in Japanese and Persian" 11 : 55-67, 2013

      14 Jun, S. A., "K-ToBI (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15 Ladd, D. R., "Intonational ph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6 Yuan, J., "F0 declination in English and Mandarin broadcast news speech" 65 : 67-74, 2014

      17 Busà, M. G., "EIL, ELF, global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ssues" Peter Lang 207-228, 2010

      18 Ullakonoja, R., "Comparison of pitch range in Finnish (L1) and Russian (L2)" 1701-1704, 2007

      19 Andreeva, B., "Comparison of pitch range and pitch variation in Slavic and Germanic Languages" 776-780, 2014

      20 Mennen, I., "Bi-directional interference in the intonation of Dutch speakers of Greek" 32 (32): 543-563, 2004

      21 Jun, S. A.,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intonation" 73-76,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8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